목차
1. 간호진단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
2. 도뇨의 목적, 준비물품 방법
3. 만성퇴행성질환자의 간호중재방법
4. 치료적 커뮤니케이션의 방법5. 아동 및 청소년의 문제
6. 간호력 작성 시 물어볼 것
7. 공기, 비말, 접촉 매개 격리방법
8. 만성신부전질환자의 ca, P의 작용기전
9. 월경곤란증과 월경 전 증후군에 대해 설명하라
10. 전향적 코호트 연구와 후향적 코호트 연구에 대해 설명하라.
2. 도뇨의 목적, 준비물품 방법
3. 만성퇴행성질환자의 간호중재방법
4. 치료적 커뮤니케이션의 방법5. 아동 및 청소년의 문제
6. 간호력 작성 시 물어볼 것
7. 공기, 비말, 접촉 매개 격리방법
8. 만성신부전질환자의 ca, P의 작용기전
9. 월경곤란증과 월경 전 증후군에 대해 설명하라
10. 전향적 코호트 연구와 후향적 코호트 연구에 대해 설명하라.
본문내용
이러스성 감염
Adenovirus, Influenza, Mumps, Parvovirus B19, Rubella
3) 접촉경계(contact precaution)
병원감염에서 가장 중요하고, 빈번하게 적용되는 방법으로 환자의 치료과정에서 의료인의 손이나 피부의 직접 접촉으로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기본경계 지침에 접촉경계 지침을 함께 사용한다.
① 일반적인 지침
ⓐ 병실
반드시 독방이나 cohort 격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환자의 상황에 따라 결정한다.
ⓑ 장갑과 손씻기
㉠ 방에 들어갈 때 반드시 장갑을 착용한다.
㉡ 환자 처치 후 오염된 장갑으로 다른 환자나 기구를 만지지 않도록 한다.
㉢ 환자의 방을 나오기 전에 반드시 손을 씻고, 씻을 수 없을 때는 waterless 손소독제
를 사용한다.
ⓒ 가운
㉠ 깨끗하게 세탁된 가운을 착용한다.
㉡ 환자를 처치할 때 감염원과 접촉하여 옷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엔 입는다.
㉢ 입었던 가운이 주위 환경에 닿아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며, 처치 후 환자가 있
는 병실을 떠나기 전에 가운을 벗고 나온다.
ⓓ 환자의 이동
가능한 한 이동을 제한하고, 이동시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주의한다.
ⓔ 사용한 의료기구 및 용품
㉠ 환자가 사용했던 물건이나 만졌던 것은 매일 깨끗이 청소한다.
㉡ 청진기, 혈압계, 이동변기, 직장체온계와 같은 기구는 다른 환자와 같이 사용하지 않
는다.
㉢ 재사용 물품은 소독 후 다른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다.
② 해당질환
ⓐ 소화기계, 호흡기계, 피부 또는 창상의 감염이나 다제내성인 세균이 정착된 경우
ⓑ 감염률이 낮지만, 오랫동안 환경에서 생존하는 장 감염
㉠ Clostridium difficile
㉡ 기저귀를 사용하거나 실금환자의 경우: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H7, Shigella, hepatitis A, Rotavirus
㉢ Respiratory syncytial virus, Parainfluenza virus, 신생아와 유아의
Enterovurus 감염
㉣ 높은 전염력을 가진 또는 피부를 통해 전염될 수 있는 피부감염
Diphteria, cutaneous, Herpes simplex virus (neonatal 또는 mucocutaneous)
Impetigo, Major (noncontained) abscesses, cellulitis, Pediculosis
Scabies. 신생아와 유아의 staphylococcal furunculosis, Staphylococcal caled
skin syndrome , Zoster (disseminated or in the immunocompromised host)
㉤ Viral hemorrhagic conjunctivitis
㉥ Viral heamorrhagic infections (Ebola, Lassa, Marburg virus)
8. 만성신부전질환자의 ca, P의 작용기전
만성신부전으로 신기능이 감소되면 음식물을 통해 섭취되는 인이 신장을 통해 배서되지 않아 체내에 축적-> 증가된 혈중 인은 칼슘을 뼈로 가져가면서 저칼슘혈증 유발 -> 보상기전으로 저칼숨혈증을 회복시키기 위해 부갑상선에서 호르몬 분비 -> 칼슘 농도 유지
*신부전증 한자는 부갑상선 호르몬 작용에 저항성을 가지면서 정상인에 비해 더 높은 부갑상선 호르몬 분비
*부갑상선 호르몬
:신장에 작용하여 칼슘 재흡수를 증진시키고, 뼈에서는 칼슘 &인의 유출을 증가시켜 혈증 칼슘농도를 증가시키는 홀몬
*칼슘과 인의 상호작용
-칼슘 증가: 식욕저하, 집중력 저하, 의식불명
-칼슘 감소: 손, 발이 저리거나 쥐가 남, 경련
-인: 단독적으로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간과하기 쉬움
게슘과 인이 서로 적절하게 작용하지 못 할 경우
뼈이상: Ca감소/P 증가, PTH분비 -> 뼈를 자극하여 파괴 & 재생성 일어남
-> 뼈의 변형 &통증유발
석회화: Ca, P 모두 높을 때 바랭하기 쉬움
-근육, 폐, 피부, 눈 등의 장기에 발생
-증상: 눈충혈, 피부 가려움, 관절 통증
동맥경화: 혈관에도 석회화 발생. Ca,P가 높아져 발생하거나 콜레스테롤이 높아져 발생
소양증: 인이 높아지면 칼슘과 작용하여 피부 등과 같은 부드러운 조직에 쌓여 가려움 발생
9. 월경곤란증과 월경 전 증후군에 대해 설명하라
10. 전향적 코호트 연구와 후향적 코호트 연구에 대해 설명하라.
환자 대조군 연구: 특정질병을 가진 사람(환자)과 그 질병이 없는 사람을 선정하여 질병발생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는 어떤 배경인자나 위험요인에 대해 노출된 정도를 상호 비교하는 연구설계를 의미한다.
코호트 연구: 모집단에서 어떤 질병의 원인으로 의심되는 위험요인에 노출된 집단(노출 코호트)과 노출되지 않은 집단(비노출 코호트)을 대상으로 일정기간 두 집단의 질병발생 빈도를 추적 조사하여 위험요인에 대한 노출과 특정 질병 발생의 연관성을 구명하는 분석역학 연구의 하나이다.
*환자대조군 연구와 코호트 연구를 구분 짓는 차이점.
-환자대조군 연구: subjects를 질병유무에 따라 분류
-코호트 연구: subjects를 노출여부에 따라 분류
전향적: 연구시작 지점에서 앞으로 발생하는 자료를 이용
후향적: 이미 있는 과거자료를 이용
따라서 환자 대조군 연구는 이미 발생한 노출, 질병 자료를 이용하므로 후향적 연구이고, 코호트 연구는 전향적일 수도 있고 후향적일 수 도 있다.
과거의 자료를 이용하지만 먼저 subjects를 노출여부로 나눈 뒤 질병의 발생여부를 비교하면 후향적 코호트 연구가 된다.
backward, forward의 의미: 원인과 결과를 추론하는 direction에서 결정
먼저 원인이 되는 노출여부를 먼저 살핀 뒤 질병을 보면 forward이고 질병을 본 뒤 노출을 보면 backward이다. 따라서 환자대조군연구는 backward, 코호트연구는 forward라고 할 수 있다. 후향적 코호트 연구로 과거의 자료를 이용한다고 해도 어쨌든 방향성은 원인-> 결과 이므로 무조건 forward이다.
backward: 결과-> 원인
forward: 원인-> 결과
Adenovirus, Influenza, Mumps, Parvovirus B19, Rubella
3) 접촉경계(contact precaution)
병원감염에서 가장 중요하고, 빈번하게 적용되는 방법으로 환자의 치료과정에서 의료인의 손이나 피부의 직접 접촉으로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기본경계 지침에 접촉경계 지침을 함께 사용한다.
① 일반적인 지침
ⓐ 병실
반드시 독방이나 cohort 격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환자의 상황에 따라 결정한다.
ⓑ 장갑과 손씻기
㉠ 방에 들어갈 때 반드시 장갑을 착용한다.
㉡ 환자 처치 후 오염된 장갑으로 다른 환자나 기구를 만지지 않도록 한다.
㉢ 환자의 방을 나오기 전에 반드시 손을 씻고, 씻을 수 없을 때는 waterless 손소독제
를 사용한다.
ⓒ 가운
㉠ 깨끗하게 세탁된 가운을 착용한다.
㉡ 환자를 처치할 때 감염원과 접촉하여 옷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엔 입는다.
㉢ 입었던 가운이 주위 환경에 닿아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며, 처치 후 환자가 있
는 병실을 떠나기 전에 가운을 벗고 나온다.
ⓓ 환자의 이동
가능한 한 이동을 제한하고, 이동시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주의한다.
ⓔ 사용한 의료기구 및 용품
㉠ 환자가 사용했던 물건이나 만졌던 것은 매일 깨끗이 청소한다.
㉡ 청진기, 혈압계, 이동변기, 직장체온계와 같은 기구는 다른 환자와 같이 사용하지 않
는다.
㉢ 재사용 물품은 소독 후 다른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다.
② 해당질환
ⓐ 소화기계, 호흡기계, 피부 또는 창상의 감염이나 다제내성인 세균이 정착된 경우
ⓑ 감염률이 낮지만, 오랫동안 환경에서 생존하는 장 감염
㉠ Clostridium difficile
㉡ 기저귀를 사용하거나 실금환자의 경우: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H7, Shigella, hepatitis A, Rotavirus
㉢ Respiratory syncytial virus, Parainfluenza virus, 신생아와 유아의
Enterovurus 감염
㉣ 높은 전염력을 가진 또는 피부를 통해 전염될 수 있는 피부감염
Diphteria, cutaneous, Herpes simplex virus (neonatal 또는 mucocutaneous)
Impetigo, Major (noncontained) abscesses, cellulitis, Pediculosis
Scabies. 신생아와 유아의 staphylococcal furunculosis, Staphylococcal caled
skin syndrome , Zoster (disseminated or in the immunocompromised host)
㉤ Viral hemorrhagic conjunctivitis
㉥ Viral heamorrhagic infections (Ebola, Lassa, Marburg virus)
8. 만성신부전질환자의 ca, P의 작용기전
만성신부전으로 신기능이 감소되면 음식물을 통해 섭취되는 인이 신장을 통해 배서되지 않아 체내에 축적-> 증가된 혈중 인은 칼슘을 뼈로 가져가면서 저칼슘혈증 유발 -> 보상기전으로 저칼숨혈증을 회복시키기 위해 부갑상선에서 호르몬 분비 -> 칼슘 농도 유지
*신부전증 한자는 부갑상선 호르몬 작용에 저항성을 가지면서 정상인에 비해 더 높은 부갑상선 호르몬 분비
*부갑상선 호르몬
:신장에 작용하여 칼슘 재흡수를 증진시키고, 뼈에서는 칼슘 &인의 유출을 증가시켜 혈증 칼슘농도를 증가시키는 홀몬
*칼슘과 인의 상호작용
-칼슘 증가: 식욕저하, 집중력 저하, 의식불명
-칼슘 감소: 손, 발이 저리거나 쥐가 남, 경련
-인: 단독적으로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간과하기 쉬움
게슘과 인이 서로 적절하게 작용하지 못 할 경우
뼈이상: Ca감소/P 증가, PTH분비 -> 뼈를 자극하여 파괴 & 재생성 일어남
-> 뼈의 변형 &통증유발
석회화: Ca, P 모두 높을 때 바랭하기 쉬움
-근육, 폐, 피부, 눈 등의 장기에 발생
-증상: 눈충혈, 피부 가려움, 관절 통증
동맥경화: 혈관에도 석회화 발생. Ca,P가 높아져 발생하거나 콜레스테롤이 높아져 발생
소양증: 인이 높아지면 칼슘과 작용하여 피부 등과 같은 부드러운 조직에 쌓여 가려움 발생
9. 월경곤란증과 월경 전 증후군에 대해 설명하라
10. 전향적 코호트 연구와 후향적 코호트 연구에 대해 설명하라.
환자 대조군 연구: 특정질병을 가진 사람(환자)과 그 질병이 없는 사람을 선정하여 질병발생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는 어떤 배경인자나 위험요인에 대해 노출된 정도를 상호 비교하는 연구설계를 의미한다.
코호트 연구: 모집단에서 어떤 질병의 원인으로 의심되는 위험요인에 노출된 집단(노출 코호트)과 노출되지 않은 집단(비노출 코호트)을 대상으로 일정기간 두 집단의 질병발생 빈도를 추적 조사하여 위험요인에 대한 노출과 특정 질병 발생의 연관성을 구명하는 분석역학 연구의 하나이다.
*환자대조군 연구와 코호트 연구를 구분 짓는 차이점.
-환자대조군 연구: subjects를 질병유무에 따라 분류
-코호트 연구: subjects를 노출여부에 따라 분류
전향적: 연구시작 지점에서 앞으로 발생하는 자료를 이용
후향적: 이미 있는 과거자료를 이용
따라서 환자 대조군 연구는 이미 발생한 노출, 질병 자료를 이용하므로 후향적 연구이고, 코호트 연구는 전향적일 수도 있고 후향적일 수 도 있다.
과거의 자료를 이용하지만 먼저 subjects를 노출여부로 나눈 뒤 질병의 발생여부를 비교하면 후향적 코호트 연구가 된다.
backward, forward의 의미: 원인과 결과를 추론하는 direction에서 결정
먼저 원인이 되는 노출여부를 먼저 살핀 뒤 질병을 보면 forward이고 질병을 본 뒤 노출을 보면 backward이다. 따라서 환자대조군연구는 backward, 코호트연구는 forward라고 할 수 있다. 후향적 코호트 연구로 과거의 자료를 이용한다고 해도 어쨌든 방향성은 원인-> 결과 이므로 무조건 forward이다.
backward: 결과-> 원인
forward: 원인-> 결과
추천자료
부산YMCA시장 세분화의 기준기준
부산항만공사(BPA),허치슨부두, 신항만, 경제자유구역청
부산은행 경영전략과 마케팅 전략 및 기업분석
부산의 해양문화탐방 프로젝트
추천서,대학추천서,교수추천서,입학추천서,대학원추천서
교수추천서,입학추천,추천서,대학추천서,대학원추천서
[도심항만][항만 워터프런트][부산 도심항만 워터프런트 개발]도심항만의 장소적 의미, 항만 ...
부산의 멘토링실태와 발전 방향
청소년 상담관련 논문요약(청소년의 내외통제성 및 성별이상담태도와 상담만족도에 미치는 영...
[조각][미술 조각][미술][후삼국시대 조각][부산 조각][조각의 정의][조각의 역사]조각(미술 ...
[기장대변멸치축제][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축제]지역축제 개념과 지역축제 방문동기분석의 의...
[지역기업][창원지역 기업][울산지역 기업][부산지역 기업][제주지역 기업][연변지역 기업]강...
부산대 서머스쿨 제도 - PISC(Pusan International Summer Course) 도입 제안서
부산 문화산업의 발전적 방향에 대한 레포트 : 우수 레포트(부산문화산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