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리
본문내용
e 용액이나 70%알코올과 같은 소독용액으로 말리거나 멸균된 거즈로 닦아내어 피부에 남아있는 소독용액이 혈액 검사물과 섞이지 않도록 함
- 기구나 카테터 점검, 용도에맞는 기구 선택
- 대상자에게 방법 절차등을 설명
- ‘정상 혈액 검사치’ 와 같은 지식을 바탕으로 혈액검사 결과를 활용하여, 대상자에게 효과적인 간호계획을 세움
(2)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① 방치로 인한 변화
- 혈구의 형태학적 변질
- 채혈 후 혈청분리가 지연되거나 장기간 실온에 방치하면, 검사결과에 차이가 발생
② 외부 요인에 의한 변화
- 운동, 고단백식사, 공복상태
③ 용혈로 인한 변화
(3) 전혈구 검사
(4) 혈액화학검사
- 효소와 혈청포도당, 갑상선 호르몬과 같은 여러 가지 호르몬,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리드 같은 성분을 분석 하여 귀중한 진단적 단서를 제공
- 혈중요소질소, 크레아티닌: 신장 기능 평가에 이용
(5) 당뇨검사
① 혈당검사
- 최고혈당치 : 식후 30분~1시간
(정상치 100-140mg), 당뇨병이 아닌 경우는 150g을 넘지 않는다.
- 모세혈관을 천자하는 혈당검사는 손가락 말단이나 끝부분을 피하고 손가락 말달 가까이에 있는 측면을 천자하여 한 방울의 혈액만으로도 검사할 수 있다.
- 손가락 천자가 어려울 경우: 귓불천자
- 휴대용 혈당 측정기로 모세혈관에서 혈당검사를 하게 됨으로써 가정에서도 혈당검사를 쉽게 할 수 있어 혈당의 자가측정 가능
② 공복시 혈당 검사 FBS
- 4시간 동안 물 이외 음식을 제한
(정상치 : 70-110mg/100mg
140mg이상이 2회이상 측정시 의심)
③ 식후 혈당 검사 2pp test
- 표준 식후 정맥혈 채취하여 검사
- 대부분 2시간 후 혈당이 정상으로돌아옴
- 당질의 소화가 잘 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방법으로 75-100g의 고당질을 섭취하고 2시간 후 정맥혈을 채취하는 방법
④ 당화 혈색소 검사 Hb AIC test
- 병원 첫 방문 시, 인슐린 자가주사하는 대상자가 자신이 측정한 혈당치 변화가 심해서 정확한 결과 알고 싶을 때, 처방된 요법을 이행치 않는 자를 확인할 때
⑤ 경구용 당부하 검사 OGTT
2) 소변검사
(1) 소변검사물 수집
① 수시 방출뇨
- 시간에 상관없이 깨끗한 용기에 수집한 소변물
② 아침 첫 소변
- 아침에 일어나 바로 받아낸 소변검사물
③ 두 번째 소변
- 첫 번째 소변 후 물 섭취후 30분경과 후 다시 소변을 보도록 하여 얻은 소변검사물
④ 깨끗한 중간뇨
- 요도세포, 미생물, 점액 등으로 인한 오염을 피해서 수집한 것
⑤ 도뇨 검사물
- 단순도뇨나 유치도뇨를 한 후에 얻는 검사물
⑥ 24시간 수집뇨
- 24시간동안에 나오는 모든소변을 모은것
⑦ 치골상부 흡입뇨
- 소변검사물 수집을 위해 방광에 직접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수집한 소변
(2) 일반 소변검사
- 물리학적, 화학적, 현미경적 검사과정
- 소변검사물 :아침첫소변(농축도↑)
3) 대변검사
(1) 현미경적 검사
- 대변검사물의 현미경적 검사에는 백혈구, 상피세포, 정질의 지방, 육류 섬유소, 기생충 등의 검사가 포함
(2) 함유물질 검사
- 대변검사물 : 잠혈, 지방, 트립신, 유로빌리노겐, 담즙 등
- 식이에 따라 결과 달라짐
(3) 미생물학적 검사
- 대변배양을 통한 원인세균 규명
4) 신체 분비물 검사
- 미생물을 배양하거나 현미경 검사를 위해 수집: 인후, 질, 음경, 직장, 눈, 귀, 상처나 병변에서 분비물 채취
4. 진단적 검사
1) 흡인검사
- 인체기관이나 체강으로 바늘이나 그와 유사한 기구를 삽입해서 체액이나 조직을 흡인하여 검사
(1) 간생검
- 간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시행
- 위험성: 간출혈, 간조직손상, 염증
- 검사 전 프로트롬빈시간이나 혈소판 수 측정이 미리 시행되어야 함
- 검사 전 4-6시간 동안 음식,수분 제한
- 검사 전 진정제 투여 가능
- 검사 전 비타민K 투여 가능
- 대상자 체위: 오른팔을 올려 머리 옆에 오게 하거나, 머리밑으로 넣은 채 누운자세
- 생검 할 부위를 노출시켜 소독 및 국소 마취를 한 후 숨을 깊게 내쉰 후 숨을 멈추게 한 상태에서 바늘을 삽입하여 검사물 채취 후 바늘제거, 호흡을 다시 시작하도록 지시하고 생검부위에 압박드레싱
(2) 요추천자
- 척추관 안에 있는 지주막하 공간에 바늘을 삽입하여 뇌척수액을 채취하는 것
- 정상 뇌척수액에서는 세포나 미생물 존재하지 않으며 무색, 투명함.
- 뇌척수액 5-0ml 정도씩 3개의 멸균튜브에 받아서 검사실로 보냄
- 대상자 체위: 옆으로
- 기구나 카테터 점검, 용도에맞는 기구 선택
- 대상자에게 방법 절차등을 설명
- ‘정상 혈액 검사치’ 와 같은 지식을 바탕으로 혈액검사 결과를 활용하여, 대상자에게 효과적인 간호계획을 세움
(2)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① 방치로 인한 변화
- 혈구의 형태학적 변질
- 채혈 후 혈청분리가 지연되거나 장기간 실온에 방치하면, 검사결과에 차이가 발생
② 외부 요인에 의한 변화
- 운동, 고단백식사, 공복상태
③ 용혈로 인한 변화
(3) 전혈구 검사
(4) 혈액화학검사
- 효소와 혈청포도당, 갑상선 호르몬과 같은 여러 가지 호르몬,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리드 같은 성분을 분석 하여 귀중한 진단적 단서를 제공
- 혈중요소질소, 크레아티닌: 신장 기능 평가에 이용
(5) 당뇨검사
① 혈당검사
- 최고혈당치 : 식후 30분~1시간
(정상치 100-140mg), 당뇨병이 아닌 경우는 150g을 넘지 않는다.
- 모세혈관을 천자하는 혈당검사는 손가락 말단이나 끝부분을 피하고 손가락 말달 가까이에 있는 측면을 천자하여 한 방울의 혈액만으로도 검사할 수 있다.
- 손가락 천자가 어려울 경우: 귓불천자
- 휴대용 혈당 측정기로 모세혈관에서 혈당검사를 하게 됨으로써 가정에서도 혈당검사를 쉽게 할 수 있어 혈당의 자가측정 가능
② 공복시 혈당 검사 FBS
- 4시간 동안 물 이외 음식을 제한
(정상치 : 70-110mg/100mg
140mg이상이 2회이상 측정시 의심)
③ 식후 혈당 검사 2pp test
- 표준 식후 정맥혈 채취하여 검사
- 대부분 2시간 후 혈당이 정상으로돌아옴
- 당질의 소화가 잘 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방법으로 75-100g의 고당질을 섭취하고 2시간 후 정맥혈을 채취하는 방법
④ 당화 혈색소 검사 Hb AIC test
- 병원 첫 방문 시, 인슐린 자가주사하는 대상자가 자신이 측정한 혈당치 변화가 심해서 정확한 결과 알고 싶을 때, 처방된 요법을 이행치 않는 자를 확인할 때
⑤ 경구용 당부하 검사 OGTT
2) 소변검사
(1) 소변검사물 수집
① 수시 방출뇨
- 시간에 상관없이 깨끗한 용기에 수집한 소변물
② 아침 첫 소변
- 아침에 일어나 바로 받아낸 소변검사물
③ 두 번째 소변
- 첫 번째 소변 후 물 섭취후 30분경과 후 다시 소변을 보도록 하여 얻은 소변검사물
④ 깨끗한 중간뇨
- 요도세포, 미생물, 점액 등으로 인한 오염을 피해서 수집한 것
⑤ 도뇨 검사물
- 단순도뇨나 유치도뇨를 한 후에 얻는 검사물
⑥ 24시간 수집뇨
- 24시간동안에 나오는 모든소변을 모은것
⑦ 치골상부 흡입뇨
- 소변검사물 수집을 위해 방광에 직접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수집한 소변
(2) 일반 소변검사
- 물리학적, 화학적, 현미경적 검사과정
- 소변검사물 :아침첫소변(농축도↑)
3) 대변검사
(1) 현미경적 검사
- 대변검사물의 현미경적 검사에는 백혈구, 상피세포, 정질의 지방, 육류 섬유소, 기생충 등의 검사가 포함
(2) 함유물질 검사
- 대변검사물 : 잠혈, 지방, 트립신, 유로빌리노겐, 담즙 등
- 식이에 따라 결과 달라짐
(3) 미생물학적 검사
- 대변배양을 통한 원인세균 규명
4) 신체 분비물 검사
- 미생물을 배양하거나 현미경 검사를 위해 수집: 인후, 질, 음경, 직장, 눈, 귀, 상처나 병변에서 분비물 채취
4. 진단적 검사
1) 흡인검사
- 인체기관이나 체강으로 바늘이나 그와 유사한 기구를 삽입해서 체액이나 조직을 흡인하여 검사
(1) 간생검
- 간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시행
- 위험성: 간출혈, 간조직손상, 염증
- 검사 전 프로트롬빈시간이나 혈소판 수 측정이 미리 시행되어야 함
- 검사 전 4-6시간 동안 음식,수분 제한
- 검사 전 진정제 투여 가능
- 검사 전 비타민K 투여 가능
- 대상자 체위: 오른팔을 올려 머리 옆에 오게 하거나, 머리밑으로 넣은 채 누운자세
- 생검 할 부위를 노출시켜 소독 및 국소 마취를 한 후 숨을 깊게 내쉰 후 숨을 멈추게 한 상태에서 바늘을 삽입하여 검사물 채취 후 바늘제거, 호흡을 다시 시작하도록 지시하고 생검부위에 압박드레싱
(2) 요추천자
- 척추관 안에 있는 지주막하 공간에 바늘을 삽입하여 뇌척수액을 채취하는 것
- 정상 뇌척수액에서는 세포나 미생물 존재하지 않으며 무색, 투명함.
- 뇌척수액 5-0ml 정도씩 3개의 멸균튜브에 받아서 검사실로 보냄
- 대상자 체위: 옆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