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저자소개
Ⅱ.내용요약
Ⅲ. 발췌 논평
1. 강물과 언덕 그 사이의 도
2. 기술과 제도가 구비되고 의식주가 넉넉하다면 덕이 바로잡힌다!
3. 중국의 장관은 깨진 기와 조각과 냄새 나는 똥거름에 있다.
4. 내 스스로 다다를 수 있는 도의 경지
Ⅳ. 서술논평
열하일기를 통해 본 지도자의 덕목
Ⅱ.내용요약
Ⅲ. 발췌 논평
1. 강물과 언덕 그 사이의 도
2. 기술과 제도가 구비되고 의식주가 넉넉하다면 덕이 바로잡힌다!
3. 중국의 장관은 깨진 기와 조각과 냄새 나는 똥거름에 있다.
4. 내 스스로 다다를 수 있는 도의 경지
Ⅳ. 서술논평
열하일기를 통해 본 지도자의 덕목
본문내용
세상을 통치하는 기술에 대해 비평하는 구절이 자주 나온다. 연암은 선왕의 업적들을 신랄히 비판하거나 칭찬하며 올바른 정치를 역설한다. 그런 그는 1770년에 감시에 응하여 수석으로 합격하였으나 회시에서는 답안지를 끝내 제출하지 않고 시험장을 나온다. 1771년 이후로 연암은 다시는 과거에 응시하지 않는다.
연암의 집안은 반남 박씨 명문이었다. 그러나 당시의 시대 상황은 집안이 속한 정파에 따라 벼슬길에 제약이 따랐고 심지어 목숨을 잃는 일까지 벌어졌다. 그의 할아버지는 그런 세상에 염증을 느끼고 마흔이 넘도록 과거에 응시하지 않았으며 아버지는 아예 벼슬길에 나서지 않았다고 한다. 이런 가정 분위기가 연암이 정치에 뜻을 두지 않은 것에 많은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혼란의 시대, 연암이 당세의 영웅호걸로서 벼슬에 나가 세상을 위해 일하지 않은 것은 참 안타까운 일이다. 그의 냉철한 관찰력과 실생활로의 적용능력은 지도자가 갖춰야할 중요할 덕목들이다.
과거 중국의 임금들이 추진했던 국가사업은 당시 인민에게 복을 누리게 하는 것이 아니었다. 하지만 후대에 본받을만한 점을 만들었고, 임금 자신들 또한 성인의 본받을 점을 실천하여 중국을 풍요롭게 하였다. 이는 현대 사회의 지도자들에게 던지는 중요한 메시지가 아닐까?
상기에서 연암은 ‘이 세계는 우리의 좁은 식견으로 이해하기에는 너무 넓기에, 편견을 버리고 평등한 좀 더 열린 시각을 가져야한다.’라고 말한다. 신분·당파를 떠나 허구적 담론에 빠진 조선의 현실을 쇄신하고자 노력했던 연암 박지원, 그가 정계에 있었다면 지금쯤 우리네 삶도 많이 달라져 있지 않았을까?
연암의 집안은 반남 박씨 명문이었다. 그러나 당시의 시대 상황은 집안이 속한 정파에 따라 벼슬길에 제약이 따랐고 심지어 목숨을 잃는 일까지 벌어졌다. 그의 할아버지는 그런 세상에 염증을 느끼고 마흔이 넘도록 과거에 응시하지 않았으며 아버지는 아예 벼슬길에 나서지 않았다고 한다. 이런 가정 분위기가 연암이 정치에 뜻을 두지 않은 것에 많은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혼란의 시대, 연암이 당세의 영웅호걸로서 벼슬에 나가 세상을 위해 일하지 않은 것은 참 안타까운 일이다. 그의 냉철한 관찰력과 실생활로의 적용능력은 지도자가 갖춰야할 중요할 덕목들이다.
과거 중국의 임금들이 추진했던 국가사업은 당시 인민에게 복을 누리게 하는 것이 아니었다. 하지만 후대에 본받을만한 점을 만들었고, 임금 자신들 또한 성인의 본받을 점을 실천하여 중국을 풍요롭게 하였다. 이는 현대 사회의 지도자들에게 던지는 중요한 메시지가 아닐까?
상기에서 연암은 ‘이 세계는 우리의 좁은 식견으로 이해하기에는 너무 넓기에, 편견을 버리고 평등한 좀 더 열린 시각을 가져야한다.’라고 말한다. 신분·당파를 떠나 허구적 담론에 빠진 조선의 현실을 쇄신하고자 노력했던 연암 박지원, 그가 정계에 있었다면 지금쯤 우리네 삶도 많이 달라져 있지 않았을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