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스마트폰 옵티머스시리즈 마케팅실패 사례분석과 LG전자 새로운 전략제안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LG전자 스마트폰 옵티머스시리즈 마케팅실패 사례분석과 LG전자 새로운 전략제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LG전자 기업소개

II. LG 스마트폰 마케팅 실패요인분석
-LG전자 옵티머스 마케팅의 배경
-LG전자 마케팅믹스 4P별 실패원인분석
1) Product
2) Place
3) Price
4) Promotion

Ⅲ. 결론
-LG 스마트폰 마케팅전략 제언
1) Product
2) Place
3) Price
4) Promotion
-LG전자의기타전략 제안
1) 히트상품과 매니아층의 필요성
2) 블루오션전략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핸드폰 시장이 피쳐폰 중심에서 스마트폰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LG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프라다폰 이외에는 디자인으로 시장에 어필하지 못했다. 반면에 경쟁 제품인 애플의 아이폰과 삼성의 갤럭시 시리즈의 성공에 디자인이 상당부분 기여하였다. 시장으로 바뀌면서 소프트웨어가 중시되면서 시장에서는 LG전자가 집중하던 UI가아닌 소프트웨어 경쟁이 주가 되었다. 하지만, LG전자는 하드웨어를 집중하면서 스마트폰 시장에서 뒤쳐지게 되었다. 또한, LG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옵티머스q, 옵티머스z, 옵티머스 마하 등의 많은 종류의 스마트폰을 출시하였다. 이는 오히려 lg의 스마트폰 주력모델이 없는 것으로 시장에서 각인되어서 브랜드 이미지에 많은 혼란을 야기하였다. 반면에 애플은 아이폰, 삼성은 갤럭시 시리즈라는 주도 모델을 앞세워 시장의 관심을 불러모았다. LG 전자의 옵티머스Q는 2010년 6월 출시된 스마트폰이다. 퀄컴의 스냅드래곤을 CPU로 가지며, QWERTY자판, 4방향 네비게이션키, 트랙볼을 탑재하였다. 옵큐라고도 불리는 이 스마트폰은 출시당시 안드로이드 OS의 1.6버전인 도넛으로 출시하였고, 이후 2.1 이클레어버전으로 업데이트 되었고, 2.2 프로요 버전까지 업데이트 지원을 하였다. 옵티머스Q의 경우 2010년 11월 10일 이후 생산이 중단되었다. 옵티머스Q의 경우를 자세히 보면 첫 번째로 한국형 어플리케이션 100여종을 탑재하고, 한국형 스마트폰을 표방하며 출시되었다. 한국인들이 생활할 때 유용한 어플들을 조사 후 그 어플들을 기본어플로 탑재한 것이다. 두번째로 쿼티자판과 트랙볼이라는 독특한 점이 구별된다. 터치화면을 제외하고 쿼티라는 독특한 자판을 추가하면서 터치스크린을 사용할 때 오류가 자주 나는 오타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도왔다. 때문에 옵티머스Q는 메시지 입력시 다른 스마트폰보다 정확하게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트랙볼이라는 것은 핸드폰 정면의 우측하단부에 있는 것인데, 마우스처럼 휠을 돌려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세번째로 퀄컴사의 스냅드래곤을 탑재한 것인데, 모바일기기에 기반한 프로세서로서 최적의 스마트폰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장점들 사이에도 단점이 존재한다. 쿼티 키보드를 따로 탑재한 까닭에 다른 스마트폰보다 두께가 굵어질 수 밖에 없었고, 또한 무게 또한 증가했다. 갤럭시S는 121G으로 157G이였던 옵티머스Q보다 약 30g정도 더 가볍다. 또한 쿼티자판을 쓰기 위해선 가로로 화면을 전환해야하는 불편도 따랐다. 또한 옵티머스Q의 경우 출시당시 안드로이드 OS가 1.6버전이었다. 하지만 약 한달 뒤 국내에서 출시된 삼성의 갤럭시S의 경우 옵티머스Q가 8월이 되어야 업데이트를 지원한 2.1 이클레어버전으로 출시되었다. 약 한달의 차이가 있지만 6월 초 삼성의 갤럭시S가 싱가포르에서 먼저 출시되었기 때문에, 삼성과 비교가 될 수 있는 제품인 옵티머스Q가 갤럭시S보다 저 사양이었음을 알 수 있다
(LG전자 스마트폰 모델변화 과정)
옵티머스Q
옵티머스원
옵티머스마하
옵티머스블랙
옵티머스시크
<표로 비교하는 옵티머스 시리즈와 타사 스마트폰의 스펙비교>
아이폰4
갤럭시S
옵티머스Q
넥서스원
통신사
KT(예정)
SKT(예정)
LGT
KT(예정)
제조사
Apple
삼성전자
LG전자
HTC(대만)
출고가
89만원(예상)
100만원(예상)
90만원
70만원(예정)
형태


바+슬라이드

크기(표준, mm)
58.6 x 9.3 x 115.2
64.2 x 9.9 x 122.4
57 x 14.3 x 118.8
59.8 x 11.5 x 119
무게(표준, g)
137
121
157
130
OS
iOS4
안드로이드 2.1
안드로이드 1.6
안드로이드 2.2
쿼티 기보드
X
X
O
X
기타 입력방식
X
X
트랙볼, 네비 키
트랙볼
대기시간(표준)
300시간
450시간
250시간
250시간
연속통화(표준, H)
420분
450분
200분
420분
배터리(표준, mAH)
1450(교체 불가)
1500
1350
1400
LCD 크기
3.5인치, 640 x 960
4인치, 480 x 800
3.5인치, 480 x 800
480 x 800
LCD 타입
HD LCD
Super AMOLED
HD LCD
AMOLED
CPU
Apple A4 1GHz
Cortex A8 1GHz
QSD8650 1GHz
QSD8250 1GHz
DviX 재생
X (MP4로 인코딩)
O
O
O
RAM
512MB
512MB
512MB
512MB
제공 메모리
16GB or 32GB 내장
16GB 내장
3GB 내장, 4GB 외장
16GB
외장 메모리(인식)
X
32GB
32GB
32GB
영상통화
아이폰끼리 가능
일반 영상통화
X
X
카메라
CMOS 500만
CMOS 500만
CMOS 500만
CMOS 500만
카메라 촛점방식
AF
AF+MF
AF+MF
AF
카메라 플래시
내장 LED
X
X
X
DMB 서비스
X
TDMB
TDMB
X
자막지원
X
X
SMI
X
블루투스
v2.1
v3.0
v2.0
v2.1
GPS
내장
내장
내장
내장
USIM
O
O
X
O
적외선 통신
X
X
X
X
2) Place
초기 옵티머스Q의 경우에는 이용가능한 통신사가 자사 통신사인 LGT뿐이였다. LG전자는 옵티머스 Q가 2010년 6월에 출시되어 실패를 겪으면서도 시장을 확대하는 노력은 부진했다. 옵티머스Q는 LG뿐만아니라 KT와 SK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옵티머스Q는LG U+전용으로 출시되었다. 이는 LG U+의 가입자 확보를 위한 방책이기도 했는데, 이는 도리어 옵티머스Q의 발목을 잡는 것이 되었다. 이는 기기를 자주 변경하고 또 통신사를 자주 이동하는 한국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특성을 감안하면 기기도 변경하며 통신사도 이동하려는 일부 고객층을 놓쳤음이 분명하다. SK나 KT와는 달리 LGT 가진 스마트폰들에 대한 인프라가 부족하여 고객들이 LGT 으로 옮기기를 꺼려하고, 장기적으로 타 통신사를 이용해 온 소비자의 경우 기본료, 국내통화료 할인 등 장기가입혜택이 주어지기 때문에 쉽게 통신사를 옮기려 하지 않았다. 결국 고객들은 차라리 sk전용으로 출시된 삼성의 갤럭시s를 택하게 되었다. LG U+의 소비자 층이
  • 가격5,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4.10.01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96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