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닥등록 : 2000년 4월 27일
소속연예인 : 강타, 문희준, 슈, Fly to the Sky, BoA, 유영진, 다나, M.I.L.K, Black Beat, 송광식, 추가열, 김영철, 이삭N지연
계열 회사 : (주)판당고 코리아, (주)SM 엔터테인먼트 Japan, (주)스타라이트
SM의 해외사업부분
일본
SM Entertainment Japan 설립 (2001년 1월)
보아 2001년 일본 데뷔, 일본 최대의 레코드사인 Avex를 통한 Album 발매
보아 2002년3월 \"Listen to my heart\", 2003년1월 \"VALENTI\" Oricon Chart 1위
- 중국
SM Entertainment China 설립 예정
2000년 이후 매해 소속 Artist들의 대형 Concert 개최 (한류 열풍의 주역)
현지 Casting을 통한 현지인 Artist 발굴 (H.O.T. China, S.E.S. China Audition)
- 홍콩, 대만
홍콩, 대만, 싱가포르 등에 License out Album 발매
아시아 문화 Network 구축의 전략적 기지
- 미국
보아 등 소속 가수들의 미국 Hollywood 진출 계획
SM Entertainment Hollywood 설립 예정
5. SM 엔터테인 먼트의 해외(일본)진출 전략
sm 엔터테인먼트는 해외 진출 첫 번째 목표 시장으로 일본을 결정했다.이유는 앞에서 보았듯이 세계 2위의 규모와 저작권등의 보호, 그리고 SM 엔터테인먼트와 같은 방식의 10대 미소년,소녀 그룹을 키우는 매니지 먼트사가 발달한 곳이 일본 시장이었기 때문이다.
1. 기존 국내에서의 SM 엔터테인먼트의 사업전략 및 핵심역량
SM 엔터테인먼트는 자사의 핵심 경쟁력인 각종의 연예 상품과 스타 브랜드를 중심 원천으로 (one source) 연예 산업내에서 다양한 매체를 통해 활용하고 (multi use) 각각의 사업이 유기적 관계를 맺으며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하는 방법으로 국내 연예 산업에서 성공을 이뤘다. 이는 sm 아카데미를 통해 배우, 피디, 가수 등의 예비 연예인들의 발굴과 육성을 하고( 제조업에서는 R&D 분야와 유사하다 ) 육성에서 드는 비용을 상쇄하기 위해 연예 전문 학원을 설립하여 수익을 내며 상품 개발을 하도록 운영하며, 이렇게 개발된 연예 상품을 지속적으로 유지, 향상시키며 드라마 외주제작 프로덕션및, PD 메이커 시스템을 통해 인터넷과 TV등 매체 활용을 강화한 후 자회사인 인터넷 컴퍼니(판당고 코리아)등을 통해 인터넷을 통한 음반 수익 (예 브라운 아이즈) 외에도 캐릭터사업, 모바일 영상집 등 수익원을 창출하는 등 온-오프라인상 에서 상호 보완 효과를 누리며 시너지 효과를 누리는 방식의 사업전략을 보였다. 이에 더나아가 해외진출을 시도하여 만들어진 상품의 산출물이나 혹은 그 연예인 자체를 브랜드와 하여 직접 해외에 진출하기에 이른다.
2. 초기 진입 전략결정.
1) 기존사업의 확대를 통한 진입 (Licencing and Publish)
브랜드 수출 및 라이센싱: 초기일본 및 중국에 진출할때 이용, 기존 한국내 마케팅 능력을 발판삼아 알본기업과 라이센싱계약을 맺어 일본진출이 쉬었다. 그러나 일본진출을 목표로 만든 SES의 해외 콘서트 및 현지 라이센싱을 통한 싱글 앨범 발매를 했으나 실패하고 말았다.
2) SM JAPAN (현지법인 설립)과 제휴(보아 상품 개발)
SM엔터테인먼트는 일본의 레코드 회사인 에이백스(AVEX), 일본 최고의 TV프로덕션인 요시모토와 함께 현지법인 SM재팬을 설립해 보아를 선보였다. 기업으로 따지면 해외 지사가 설립되고 본격적인 수출의 길이 열린 셈이다.
3. 마케팅 전략 및 상품 제조 전략
1)초기 SES 의 실패를 거울 삼음
S.E.S는 일본진출을 염두에 두고 기획한 그룹. 한국에서의 성공과 SM엔터테인먼트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일본에 진출. S.E.S는 98년부터 해체될 때까지 두 장의 정규앨범과 여러 개의 싱글, 믹스앨범, 베스트 앨범까지 발표했지만 기대와는 달리 일본 싱글차트 50위권에도 들지 못했다. 대부분의 일본인들이 S.E.S의 존재를 모름
S.E.S가 SM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실패한 이유
첫째, S.E.S는 일본의 수많은 미소녀 댄싱그룹과의 차별성을 두지 못했다.
둘째, 일본진출에 대한 준비 부족으로 현지적응에 실패했다.
S.E.S에서 슈를 제외한 멤버들은 일본대중문화와 언어에 대한 충분한 교육을 받지 못하였다.
셋째, 현지 기획사의 마케팅 지원이 부족했다.
SES의 현지 기획사였던 스카이 플래닝은 시장 창출보다는 스타성만을 앞세운 음반을 발매하였고, 음반 판매 위주의 홍보보다는 얼굴 알리기 활동위주의 마 케팅만 펼쳤다.
2) 보아 상품의 개발과 마케팅전략 4P\'s
일본 AVEX사와 제휴 일본 최고 TV프로덕션인 요시모토와 합작현지법인 SM Japan설립,현지의 R&D, 생산, 마케팅, 유통등의 인프라 적극 활용
* 마케팅전략 ‘보아’의 4p전략 (분석)
① PRODUCT
- 상표명 보아
본명이 권보아이기 때문에 성만 빼고 이름을 그대로 썼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스타의 이름은 브랜드의 네이밍과 같은 개념으로 생각해야 한다. 즉, 철저히 전략적으로 사고로 부르기 쉽고 이국적임
- 외모와 패션
일본인들의 미인관은 한국과는 달리 작고 귀여운 이미지의 얼굴을 대체로 선호한다. 160센치의 작은키, 귀여운 얼굴, 천진스러운 미소의 보아는 이런 일본인들의 미인관에 맞음.
- 음악스타일
일본 대중 음악은 기본적으로 록이 바탕이며, 댄스 음악의 경우도 샘플링(컴퓨터를 이용한 기존 음악 차용)보다는 진짜 악기 연주와 록비트(rock bit)가 중심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 이러한 특성을 염두에 두고 제작 또한 기존의 소프트한 J-pop과는 차별화를 둔 강렬한 비트의 댄스음악음 선보임
- 뛰어난 춤실력과 가창을 동시에 겸비
보아의 최대 무기는 파워풀하고 뛰어난 춤 실력과 호소력 짙은 가창력을 동시에 보여줄 수 있다는 점이다.(일본 최고 전문 프로듀서와 댄서교육(현지인 등용)
- 자유로운 의사소통가능 - 뛰어난 어학실력 겸비
해외진출 목표 어린나이에 등용해서 외국어
소속연예인 : 강타, 문희준, 슈, Fly to the Sky, BoA, 유영진, 다나, M.I.L.K, Black Beat, 송광식, 추가열, 김영철, 이삭N지연
계열 회사 : (주)판당고 코리아, (주)SM 엔터테인먼트 Japan, (주)스타라이트
SM의 해외사업부분
일본
SM Entertainment Japan 설립 (2001년 1월)
보아 2001년 일본 데뷔, 일본 최대의 레코드사인 Avex를 통한 Album 발매
보아 2002년3월 \"Listen to my heart\", 2003년1월 \"VALENTI\" Oricon Chart 1위
- 중국
SM Entertainment China 설립 예정
2000년 이후 매해 소속 Artist들의 대형 Concert 개최 (한류 열풍의 주역)
현지 Casting을 통한 현지인 Artist 발굴 (H.O.T. China, S.E.S. China Audition)
- 홍콩, 대만
홍콩, 대만, 싱가포르 등에 License out Album 발매
아시아 문화 Network 구축의 전략적 기지
- 미국
보아 등 소속 가수들의 미국 Hollywood 진출 계획
SM Entertainment Hollywood 설립 예정
5. SM 엔터테인 먼트의 해외(일본)진출 전략
sm 엔터테인먼트는 해외 진출 첫 번째 목표 시장으로 일본을 결정했다.이유는 앞에서 보았듯이 세계 2위의 규모와 저작권등의 보호, 그리고 SM 엔터테인먼트와 같은 방식의 10대 미소년,소녀 그룹을 키우는 매니지 먼트사가 발달한 곳이 일본 시장이었기 때문이다.
1. 기존 국내에서의 SM 엔터테인먼트의 사업전략 및 핵심역량
SM 엔터테인먼트는 자사의 핵심 경쟁력인 각종의 연예 상품과 스타 브랜드를 중심 원천으로 (one source) 연예 산업내에서 다양한 매체를 통해 활용하고 (multi use) 각각의 사업이 유기적 관계를 맺으며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하는 방법으로 국내 연예 산업에서 성공을 이뤘다. 이는 sm 아카데미를 통해 배우, 피디, 가수 등의 예비 연예인들의 발굴과 육성을 하고( 제조업에서는 R&D 분야와 유사하다 ) 육성에서 드는 비용을 상쇄하기 위해 연예 전문 학원을 설립하여 수익을 내며 상품 개발을 하도록 운영하며, 이렇게 개발된 연예 상품을 지속적으로 유지, 향상시키며 드라마 외주제작 프로덕션및, PD 메이커 시스템을 통해 인터넷과 TV등 매체 활용을 강화한 후 자회사인 인터넷 컴퍼니(판당고 코리아)등을 통해 인터넷을 통한 음반 수익 (예 브라운 아이즈) 외에도 캐릭터사업, 모바일 영상집 등 수익원을 창출하는 등 온-오프라인상 에서 상호 보완 효과를 누리며 시너지 효과를 누리는 방식의 사업전략을 보였다. 이에 더나아가 해외진출을 시도하여 만들어진 상품의 산출물이나 혹은 그 연예인 자체를 브랜드와 하여 직접 해외에 진출하기에 이른다.
2. 초기 진입 전략결정.
1) 기존사업의 확대를 통한 진입 (Licencing and Publish)
브랜드 수출 및 라이센싱: 초기일본 및 중국에 진출할때 이용, 기존 한국내 마케팅 능력을 발판삼아 알본기업과 라이센싱계약을 맺어 일본진출이 쉬었다. 그러나 일본진출을 목표로 만든 SES의 해외 콘서트 및 현지 라이센싱을 통한 싱글 앨범 발매를 했으나 실패하고 말았다.
2) SM JAPAN (현지법인 설립)과 제휴(보아 상품 개발)
SM엔터테인먼트는 일본의 레코드 회사인 에이백스(AVEX), 일본 최고의 TV프로덕션인 요시모토와 함께 현지법인 SM재팬을 설립해 보아를 선보였다. 기업으로 따지면 해외 지사가 설립되고 본격적인 수출의 길이 열린 셈이다.
3. 마케팅 전략 및 상품 제조 전략
1)초기 SES 의 실패를 거울 삼음
S.E.S는 일본진출을 염두에 두고 기획한 그룹. 한국에서의 성공과 SM엔터테인먼트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일본에 진출. S.E.S는 98년부터 해체될 때까지 두 장의 정규앨범과 여러 개의 싱글, 믹스앨범, 베스트 앨범까지 발표했지만 기대와는 달리 일본 싱글차트 50위권에도 들지 못했다. 대부분의 일본인들이 S.E.S의 존재를 모름
S.E.S가 SM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실패한 이유
첫째, S.E.S는 일본의 수많은 미소녀 댄싱그룹과의 차별성을 두지 못했다.
둘째, 일본진출에 대한 준비 부족으로 현지적응에 실패했다.
S.E.S에서 슈를 제외한 멤버들은 일본대중문화와 언어에 대한 충분한 교육을 받지 못하였다.
셋째, 현지 기획사의 마케팅 지원이 부족했다.
SES의 현지 기획사였던 스카이 플래닝은 시장 창출보다는 스타성만을 앞세운 음반을 발매하였고, 음반 판매 위주의 홍보보다는 얼굴 알리기 활동위주의 마 케팅만 펼쳤다.
2) 보아 상품의 개발과 마케팅전략 4P\'s
일본 AVEX사와 제휴 일본 최고 TV프로덕션인 요시모토와 합작현지법인 SM Japan설립,현지의 R&D, 생산, 마케팅, 유통등의 인프라 적극 활용
* 마케팅전략 ‘보아’의 4p전략 (분석)
① PRODUCT
- 상표명 보아
본명이 권보아이기 때문에 성만 빼고 이름을 그대로 썼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스타의 이름은 브랜드의 네이밍과 같은 개념으로 생각해야 한다. 즉, 철저히 전략적으로 사고로 부르기 쉽고 이국적임
- 외모와 패션
일본인들의 미인관은 한국과는 달리 작고 귀여운 이미지의 얼굴을 대체로 선호한다. 160센치의 작은키, 귀여운 얼굴, 천진스러운 미소의 보아는 이런 일본인들의 미인관에 맞음.
- 음악스타일
일본 대중 음악은 기본적으로 록이 바탕이며, 댄스 음악의 경우도 샘플링(컴퓨터를 이용한 기존 음악 차용)보다는 진짜 악기 연주와 록비트(rock bit)가 중심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 이러한 특성을 염두에 두고 제작 또한 기존의 소프트한 J-pop과는 차별화를 둔 강렬한 비트의 댄스음악음 선보임
- 뛰어난 춤실력과 가창을 동시에 겸비
보아의 최대 무기는 파워풀하고 뛰어난 춤 실력과 호소력 짙은 가창력을 동시에 보여줄 수 있다는 점이다.(일본 최고 전문 프로듀서와 댄서교육(현지인 등용)
- 자유로운 의사소통가능 - 뛰어난 어학실력 겸비
해외진출 목표 어린나이에 등용해서 외국어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기업의 중국진출 현황과 중국시장 진출방안
종가집김치의 해외시장 진출 성공사례
[중국][무선인터넷][무선인터넷컨텐츠]중국 무선인터넷업체의 현황, 중국 무선인터넷컨텐츠의...
해외직접투자전략에 따른 기업의 성공사례-싸이월드의 중국시장 진출에 관하여
롯데리아의 해외시장(중국시장) 진출 실패사례-진출전략과 실패요인분석, 재성공을 위한 대안...
지멘스 성공전략 및 실패사례,지멘스 한국시장진출전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
락앤락(LOCK&LOCK) - 락앤락경영전략, 락앤락마케팅성공사례, Five Force model, SWOT, ...
<굽네치킨, 태국시장 진출> 굽네치킨 소개 , 국내시장 성공전략, 해외시장조사, 시장진출전략...
락&락 (LOCK & LOCK) (락&락 기업분석, 마케팅 분석, 성공전략사례, SWOT 분석, ...
중국진출 한국기업사례-오리온 제과 중국시장진출 성공사례,오리온 초코파이의 중국진출,브랜...
세계 초일류 유통마켓 기업 ‘월마트 (Wal-Mart)’ 한국 진출기 - 세계 초일류 기업의 시장확...
월마트(Walmart) 기업분석과 글로벌마케팅 성공사례(미국-세계1위 등극 요인)와 글로벌 전략 ...
EMART 이마트E-mart 기업분석과 중국진출 마케팅사례분석/ 이마트 한국시장 성공사례분석/ ...
한국기업의 일본시장 진출 실패와 해결방안 PPT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