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신학]하나님의 선교와 한국교회 - 하나님의 선교의 수용 배경, 하나님의 선교의 수용, 비판적 반응(신학적 논쟁, 복음주의 선교대회), 평가와 과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선교신학]하나님의 선교와 한국교회 - 하나님의 선교의 수용 배경, 하나님의 선교의 수용, 비판적 반응(신학적 논쟁, 복음주의 선교대회), 평가와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하나님의 선교’의 수용 배경
1) 도시산업선교(UIM)
2) 사회책임에 대한 선교적 노력
3) 토착화 논의

2. ‘하나님의 선교’의 수용

3. 비판적 반응
1) 신학적 논쟁
2) 복음주의 선교대회

4. 평가와 과제

본문내용

tion이해라고 비판하였고, 그 어떠한 타종교와의 Dialogue도 거부하였다.
또 다른 evangelical Conference가 1982년 개최되어 "The Seoul Declaration: Toward an Evangelical Theology for the Third World"가 채택되었다. 이 Conference는 "Theology and the Bible in Context"라는 주제로 한국복음주의가 초대하였으며, "the Asia Theological Association, the Theological Commission of the Association of Evangelicals in Africa and Madagascar, and the Latin American Theological Fraternity"와 공동으로 개최하였다. "Asia, Africa, Latin America, the Caribbean and Pacifie Islands"에서 온 82명의 대표들은 자신들의 context에서의 복음의 Contextualization을 토론하였다. 이 논의는 서구신학의 비판으로 이어졌고, 시급한 과제로서 자신들의 서로 다른 상황 속에서 복음주의 신학의 정립이었다. 이를 위해 복음전파에 방해가 된 것들이 무엇인지 지금까지 자신들의 제3세계 신학을 비판하였고, 고난당하는 자들의 관점에서 자신들의 해석학을 찾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결과 그들도 Missio Dei를 선언문에서 고백하였다.
4. 평가와 과제
Missio Dei에 대한 거부감이 높았던 한국의 복음주의자들도 1982년 서울선언에서 Missio Dei를 수용하였다. 이것은 1974년 Lausanne ‘세계 복음화 국제대회’대회에서 제3세계대표들이 별도의 모임을 갖고 “로잔으로부터 로잔에 답함”이라는 성명서에서 Missio Dei를 수용한 것과 유형론적 유비를 갖는다. 즉 제3세계가 자신들의 상황을 진지하게 수용한 결과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일부 복음주의자들은 Missio Dei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한국교회의 첫 번째 과제는 Missio Dei를 복음의 토착화를 위한 단초로 삼는 것이다. ‘Missio Dei’라는 술어가 서구인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나 제3세계의 도전에 의한 결과이기에 우리의 신학이며 제3세계를 포함한 모두의 신학적 술어이다. 따라서 하나님의 선교에 근거한 한국의 선교신학을 정립하고 이것을 이 땅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발전시켜가야 할 것이다.
둘째 과제는 ‘Missio Dei’를 한국교회의 일치를 위한 신학적 근거로 활용해야 한다. Missio Dei에 대한 가장 큰 오해는 WCC의 정치적 사회적 참여를 뒷받침하는 급진주의적인 신학이라는 인식이다. 이것은 후켄다이크에 의해 강조된 현재적 종말론적의 시각에서 ‘Missio Dei’를 해석하였기 때문이다. 또 다른 오해는 복음주의 선교와 적대된다는 인식이다. 그러나 1974년 로잔언약의 지도자 J.R.S. Stott는 복음전도와 사회적 책임은 선교의 양면으로서 서로 뗄 수 없는 관계임을 강조하면서 Missio Dei를 구속사적 시각에서 수용하였다. ‘Missio Dei’는 구속사적인 시각과 현재적 종말론적 시각 모두 포괄하는 통전적 선교신학이다. 따라서 많은 교파로 분열된 한국교회는 대립과 양극화를 극복하고 Missio Dei를 통해 일치를 위한 신학적 공동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과제는 ‘Missio Dei’를 성령론적 관점에서 발전시켜야 한다. 삼위일체 하나님 선교의 초점은 성령의 선교로 모아진다. 성령은 그리스도를 대신하는 것이 아니라 성령의 현존이 곧 그리스도의 현존이며, 아들의 선교는 성령의 선교로 계속되며 세계 속에서 그의 제자들의 선교로 구체화된다(요 20: 21-22). 그리스도의 선교위임령에는 성령의 약속이 따른다. 성령의 자유로운 활동은 우리를 가로막고 있는 인종, 문화, 이념과 종교적 장벽을 넘게 해준다.
또한 Missio Dei의 성령론적 관점은 환경파괴와 생태계의 위기 속에서 “모든 피조물이 다 이제까지 함께 탄식하며 함께 고통하며”(롬 8:22) 그의 구속을 기다리는 상황 속에서 선교를 위한 새로운 창조신학적 관점을 열어줄 수 있다. 그리고 세계선교를 위해 함께 힘을 모아야 할 오순절교회들과 지금까지도 독특한 성령론을 유지하면서 공산주의의 붕괴로 우리와의 협력이 더욱 긴요해진 동방 정교회와의 대화를 위해서도 ‘Missio Dei’의 삼위일체적 이해가 필요하다.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10.07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06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