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조사의 유형과 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집단 조사의 유형과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소시오메트리와 사회네트워크 분석
Ⅱ: 델파이 기법과 초점집단

본문내용

는 다시 (5)와 같은 정리와 요약 과정
- 이전 응답에서 제시된 각각의 아이디어에 대한 강점과 약점, 실행가능성 등이
참가자들에 의해 평가된 것을 정리해서 분석, 요약
(8) 만약 여기까지의 과정에서 델파이 조사팀이 당초 기대했던 정도의 합의적
의견이 도출되었으면, (9)의 보고서 작성의 단계로 넘어감
- 의견 합치가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6)의 단계로 가서 되풀이
(9) 특정한 아이디어(들)가 매우 높게 평가되어 합의에 도달하면, 델파이 의견
수렴은 종료된 것으로 선언
3) 델파이 기법의 적용과 한계
- 델파이 기법으로 수집된 자료의 객관성에 관한 문제
- 외부적으로는 집단의 자유로운 의견 개진을 표방하면서, 실제로는 조정자가
사전에 결정된 목적 방향으로 의견을 유도해 나가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 특히 불명확한 미래 사건에 대한 예측 도구로서 델파이 기법은 그 유용성을
널리 인정받고 있음
2. 초점집단
- 집단 참가자의 대면적 물리 회합을 필요
- 특정 시안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목적으로 보통 쓰임
1) 초점집단의 자료 수집
- 조사자가 제공한 토픽에 근거해서 참가자 간에 집단적 토의와 의사 표현 활동이
수행되도록 함
2) 초점집단의 구조
- 보통은 6~10명 정도의 크기가 적절
3) 진행조정자의 역할
- 질 높은 자료 수집을 하는 데는 진행조정자의 역할이 결정적
4) 초점집단의 진행 단계
(1) 의도의 규정과 질문 작성
(2) 참가자의 확인과 모집
(3) 회의 진행
(4) 자료 분석 및 해석
(5) 보고서 작성
5) 초점집단의 유용성과 한계
(1) 초점집단의 장점
① 맥락 정보
- 집단적 상호작용과 역할을 통해 특정 주제에 관한 맥락적 정보를 획득
② 타당도
③ 효율성
④ 자료 수집 시간의 단축
⑤ 시행의 용이성
(2) 초점집단의 단점
① 통제력(제한)
- 참가자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강조하기 때문에, 조사자가 과정상의 주도권을
갖기가 쉽지 않음
② 개인의 독자적 견해(구분 애로)
③ 민감한 주제(다루기 어려움)
④ 일반화의 제한
⑤ 집단 소집의 어려움
참고문헌
김 영종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1999
열린교육-사회복지사1급기본서사회복지조사론
박문각-감이좋은사회복지학개론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 집, 2001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김치영, 『사회복지조사론』, 교문사, 2007
김훈,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대왕사, 2006
  • 가격2,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10.30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45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