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본 론
1. SWOT 분석을 통해 알아본 CGV
2. CGV의 BPR
2.1 BPR의 개념
2.2 CGV의 BPR
1) 근본적(Radical)
2) 프로세스(Process)
3) 새롭게(Radical)
2.3 BPR의 결과
1) 고객만족
2) 높은 시장점유율
3) 영업이익의 지속적인 증가
결 론
1. CGV의 대안
2. 우리의 대안
본 론
1. SWOT 분석을 통해 알아본 CGV
2. CGV의 BPR
2.1 BPR의 개념
2.2 CGV의 BPR
1) 근본적(Radical)
2) 프로세스(Process)
3) 새롭게(Radical)
2.3 BPR의 결과
1) 고객만족
2) 높은 시장점유율
3) 영업이익의 지속적인 증가
결 론
1. CGV의 대안
2. 우리의 대안
본문내용
V가 업계1위를 유지하는 다양한 방법 중 하나로써의 BPR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제 우리는 이러한 BPR을 적극 활용하여 CGV가 업계1위를 넘어 지속적 매출의 성장을 도모할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CGV의 대안
이러한 추이를 파악한 CGV는 국내시장은 이제 포화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판단하여 해외시장을 개척하기 시작했다. 그림7.은 CGV의 해외 진출 현황을 나타내고 있다. 인구가 많아 영화관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에 5곳을, 그리고 한인들(교포)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미국 LA 등 총 6곳에 진출해 있는 상황이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영화산업은 관람객수 유치로 인한 수익창출이라는 양적인 측면에서는 정체기 즉 포화상태를 맞이하고 있지만 질적인 측면에서는 그렇게 보지 않는다. 여기서 질적인 측면이란 3G, 4G등 체험하는 영화산업의 성장도 있지만 특히 CGV는 지난 11월에 OPEN한 Culture Flex를 대안으로 내세웠다. CGV 서울 청담 씨네시티는 CGV에서 야심차게 준비한 지점으로 단순히 영화관에서 영화만 보는 것에서 진화하여 쇼핑, 외식등과 같이 연계하였다. 특히 최첨단 4D CGV 영화관에 빕스, 비비고, 뚜레쥬르, 투썸플레이스 등 외식 브랜드와 CJ오쇼핑이 운영하는 패션매장 \'퍼스트룩 마켓\'등의 CJ계열사의 역량을 집대성했다. 과거 복합쇼핑몰 등이 단순히 외식, 쇼핑, 영화 등의 문화 영역에서 여러 브랜드와 아이템을 섞고 조합하는 짜깁기 형태였다면 CGV 청담 씨네시티는 문화공간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놓았다는 평가와 함께 복합쇼핑몰의 가장 진화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렇듯 CGV 스스로가 꾸준한 영화산업에서의 1위를 유지하며 매출을 극대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2. 우리의 대안
그러나 현재 CGV가 추진 중인 해외진출, 컬쳐플랙스도입 등은 막대한 비용이 들고 또한 실패했을 때의 손해 또한 상당히 클 것으로 예상한다. 우리는 이렇듯 많은 비용이 드는 방법이 아닌 국내영화시장의 점유율을 더 높이고 수익구조를 바꾸는 방안들에 대하여 생각해보았다.
첫째, 영화관의 수익 구조를 기존의 티켓중심에서 매점과 같은 요소들도 발전시켜 나가야될 필요가 있다.
위의 표 4는 CGV의 영화관내 수익 구조이다. 보다시피 티켓판매의 비중이 66%로 단연
앞서고 그다음이 매점판매이다. 보통 영화관을 보면 먹을거리(팝콘, 콜라 등)를 들고 들어가서 영화를 보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런 메뉴들이 다양하지 못하고 최근 몇 년 전 부턴 외부음식물의 반입 또한 가능해짐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의 수익을 창출해 내지 못하고 있다.
매점을 이용하는 관객들은 예전의 티켓을 살 때와 마찬가지로 긴 줄을 서야 하는데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이에 우리는 무인티켓판매기와 같은 원리로 무인매점판매기를 설치 또는 티켓판매기에 접목시켜 영화티켓을 발권할 때 매점 구매내역도 함께 인쇄되어 매점에 제시만 하면 바코드을 읽고 주문한 메뉴를 바로 수령할 수 있어 고객의 대기시간을 줄이고 영화시간이 임박하여 매점구매를 망설였던 고객을 잡을 수 있는 기회로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보았다. 또한 모바일 APP을 통해서도 미리 매점음식을 구매 가능하도록 하여, 앱을 통해 사전 구매를 하는 것에 대해 5%할인 등을 해주어 고객의 관심을 이끌도록 하는 방안도 고려해 보았다.
우리는 젊은 세대뿐 아니라 50~60대의 영화관람객에 관심을 갖고 매점메뉴의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오리엔탈 웰빙컨셉으로 강냉이와 헛개수차, 훈제닭가슴살과 맥반석 달걀, 구운감자&고구마와 식혜 등과 같이 이색메뉴 상품을 개발하여 매점판매의 수익구조를 신장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우리는 고객 개인별
1. CGV의 대안
이러한 추이를 파악한 CGV는 국내시장은 이제 포화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판단하여 해외시장을 개척하기 시작했다. 그림7.은 CGV의 해외 진출 현황을 나타내고 있다. 인구가 많아 영화관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에 5곳을, 그리고 한인들(교포)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미국 LA 등 총 6곳에 진출해 있는 상황이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영화산업은 관람객수 유치로 인한 수익창출이라는 양적인 측면에서는 정체기 즉 포화상태를 맞이하고 있지만 질적인 측면에서는 그렇게 보지 않는다. 여기서 질적인 측면이란 3G, 4G등 체험하는 영화산업의 성장도 있지만 특히 CGV는 지난 11월에 OPEN한 Culture Flex를 대안으로 내세웠다. CGV 서울 청담 씨네시티는 CGV에서 야심차게 준비한 지점으로 단순히 영화관에서 영화만 보는 것에서 진화하여 쇼핑, 외식등과 같이 연계하였다. 특히 최첨단 4D CGV 영화관에 빕스, 비비고, 뚜레쥬르, 투썸플레이스 등 외식 브랜드와 CJ오쇼핑이 운영하는 패션매장 \'퍼스트룩 마켓\'등의 CJ계열사의 역량을 집대성했다. 과거 복합쇼핑몰 등이 단순히 외식, 쇼핑, 영화 등의 문화 영역에서 여러 브랜드와 아이템을 섞고 조합하는 짜깁기 형태였다면 CGV 청담 씨네시티는 문화공간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놓았다는 평가와 함께 복합쇼핑몰의 가장 진화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렇듯 CGV 스스로가 꾸준한 영화산업에서의 1위를 유지하며 매출을 극대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2. 우리의 대안
그러나 현재 CGV가 추진 중인 해외진출, 컬쳐플랙스도입 등은 막대한 비용이 들고 또한 실패했을 때의 손해 또한 상당히 클 것으로 예상한다. 우리는 이렇듯 많은 비용이 드는 방법이 아닌 국내영화시장의 점유율을 더 높이고 수익구조를 바꾸는 방안들에 대하여 생각해보았다.
첫째, 영화관의 수익 구조를 기존의 티켓중심에서 매점과 같은 요소들도 발전시켜 나가야될 필요가 있다.
위의 표 4는 CGV의 영화관내 수익 구조이다. 보다시피 티켓판매의 비중이 66%로 단연
앞서고 그다음이 매점판매이다. 보통 영화관을 보면 먹을거리(팝콘, 콜라 등)를 들고 들어가서 영화를 보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런 메뉴들이 다양하지 못하고 최근 몇 년 전 부턴 외부음식물의 반입 또한 가능해짐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의 수익을 창출해 내지 못하고 있다.
매점을 이용하는 관객들은 예전의 티켓을 살 때와 마찬가지로 긴 줄을 서야 하는데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이에 우리는 무인티켓판매기와 같은 원리로 무인매점판매기를 설치 또는 티켓판매기에 접목시켜 영화티켓을 발권할 때 매점 구매내역도 함께 인쇄되어 매점에 제시만 하면 바코드을 읽고 주문한 메뉴를 바로 수령할 수 있어 고객의 대기시간을 줄이고 영화시간이 임박하여 매점구매를 망설였던 고객을 잡을 수 있는 기회로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보았다. 또한 모바일 APP을 통해서도 미리 매점음식을 구매 가능하도록 하여, 앱을 통해 사전 구매를 하는 것에 대해 5%할인 등을 해주어 고객의 관심을 이끌도록 하는 방안도 고려해 보았다.
우리는 젊은 세대뿐 아니라 50~60대의 영화관람객에 관심을 갖고 매점메뉴의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오리엔탈 웰빙컨셉으로 강냉이와 헛개수차, 훈제닭가슴살과 맥반석 달걀, 구운감자&고구마와 식혜 등과 같이 이색메뉴 상품을 개발하여 매점판매의 수익구조를 신장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우리는 고객 개인별
키워드
추천자료
[마케팅]MK PICTURES 기업분석 보고서
[소니 기업분석] 소니(SONY) 경영전략분석 보고서
[엔씨소프트 기업분석] 엔씨소프트(NCSoft) 마케팅전략분석 보고서
[야후기업분석] 야후의 경영전략분석-IT기업들의 벤처인수사례 보고서
[본아이에프 기업분석] 본아이에프(본죽,본도시락) 경영전략분석 보고서
[원앤원 기업분석] 원앤원(원할머니보쌈) 성공요인분석 보고서
[미스터피자 기업분석] 미스터피자(MPK) 성공요인분석 보고서
[놀부NBG 기업분석] 놀부NBG(놀부부대찌개,놀부보쌈) 경영전략분석 보고서 - 놀부 NBG의 성장...
[월트디즈니컴퍼니 기업분석] 디즈니(디즈니랜드) 경영전략분석 보고서
[G마켓 기업분석] G마켓 성공요인(성공사례)분석 보고서
[MS(마이크로소프트) 기업분석] MS(마이크로소프트) 실패요인분석 보고서
[게임빌 기업분석] 게임빌(GameVil) 경영전략분석-조직개편 보고서
[CJ대한통운 기업분석,택배시장] CJ대한통운 경영전략분석-고객만족경영 보고서
≪ 네슬레(Nestle) 마케팅 전략분석과 국내외 마케팅 성공,실패사례 ≫네슬레 기업분석과 네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