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개념을 정의하고 비교분석하여 설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개념을 정의하고 비교분석하여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개념을 정의하고 비교분석하여 설명하시오
Ⅰ 서론
Ⅱ 본론
1.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개념
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2)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2.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비교분석
Ⅲ 결론 및 의견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통해 구성된다고 본다. 동화는 자기의 인지 구조에 따라서 환경에 반응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며 조절은 이전의 인지 구조를 능동적으로 변형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두 가지를 통해 인지 구조는 질적으로 변화
하게 되며 그 결과 인지적 발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지식을 구성해 감에 있어서 능동적인 아동의 개인적 정신 활동이 주된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 주요 관심은 개개인의 인지적 구조변화와 활동에 있으며, 상대적으로 사회적, 문화적 요인은 크게 고려되지 않았다.
반면 비고츠키는 ‘학습자는 새로운 원리를 학습하고 발견하는 일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호기심 많은 탐구자’ 라는 피아제의 견해에 동의한다. 그러나 피아제와는 달리 자기 주도적인 발견을 덜 강조하는 반면에, 인지적 성숙에 있어서 사회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즉, 학습자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그 사회의 구성원들과의 대화와 협동, 그 밖의 여러 가지 상호작용을 통해서 자신이 속해 있는 문화의 가치, 신념, 문제 해결 전략 등의 지식을 습득해 간다고 보았다. 비고츠키가 강조하는 사회적 상호작용은 근접발달영역이라는 핵심적 개념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것은 학습자가 혼자서 성취할 수 있는 것과 유능한 타인의 안내와 격려를 통해 성취하는 것 사이의 차이를 의미한다. 교사는 수업을 학습자의 근접발달영역에서 진행하여야 하며, 학습자는 그 속에서 새로운 지식을 얻고 인지적 발달을 이루게 된다. 학습자 혼자 해결할 수 있는 과제보다 약간 앞선 수준의 과제를 제시하고 교사와의 언어적 매개를 이용한 상호작용으로 학습자의 지적 성취를 도와야 할 것이다.
비고츠키는 언어의 매개성과 교사의 태도에 대해 강조하였다. 아동의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강의나 전통적 토론이 아닌 ‘대화’와 같은 상호 교수적인 학습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교사는 평가자나 가르치는 사람이 아닌 아동의 학습에 대한 협력자로서 학습자와 대화를 하는 과정에서 지식을 스스로 구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동의 대화 참여와 인지발달에 대해 격려와 따뜻한 반응을 유지한다. 이러한 ‘교수적 대화’인 상호작용을 통해 아동의 지식의 구성을 성취해 나가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한순미(1999), 비고츠키와 교육 문화, 교육과학사, p66~68.
김억환.박은혜(1998), 정신의 도구: 비고츠키 유아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57~61.
강태훈 외(1998), 교육심리학의 이해, 학이당, p.67
송명자(1999), 발달심리학, 학지사, p.130
신명희 외(1998), 교육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p.56
이정모 외(1999), 인지심리학, 학지사, P.29
성옥련ㆍ김수정ㆍ이지연 공역(1995), 피아제의 인지적 정의적 발달, 중앙적성출판사, p.37
안범희 외(1998), 교육심리학, 교육과학사, p.13
허혜경(1996), Vygotsky의 ZPD이론에 기초한 교수-학습 방법, 교육학 연구 34(5). 311-339
강인애(1997), 왜 구성주의인가?, 문음사, p68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12.20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78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