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자아중심적 언어
2) 집단적 독백의 사례
3) 집단적 독백 분석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자아중심적 언어
2) 집단적 독백의 사례
3) 집단적 독백 분석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리 엄마는 너무 이뻐. 너도 우리 엄마처럼 이쁘게 해줄 거야. 기다려. 옷도 갈아입고 머리도 해줄게.
B유아: (로봇 장남감을 가지고 놀고 있다) 안돼. 에너지 충전. 아이언맨~~ 와~~
A유아: 나 화장실갈 거야. 오줌마려워..
C유아: 배고파... 빵먹고 싶어.. 엄마가 맛있는거 해준다고 했는데... 엄마가 해준다고 했어..
B유아: 아이언 맨이 다 죽일꺼라고. 야하하.
3) 집단적 독백 분석
① 자아중심적 화제
본 화제에서 나타난 주제는 N유아에 의한 일본에 가자는 것이다. N유아의 독백에 A유아는 거의 관심이 없으며, 일본이라는 말만 듣고 가보았다고 말을 하고 있으며, 친구한테 물어봐야 겠다는 표현을 함으로서 N유아의 말과 반응에 전혀 귀기울이고 있지 않다. 또한 A유아는 N유아를 배려하기 때문에 N유아의 말을 듣고 있기 보다는 이를 무의식적으로 듣게 되었고, 그것을 다시 자아중심적으로 사고하여 언어로 표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N유아 또한 A유아와 집단적 독백을 하고 있지만, A유아의 말에 귀기울이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② 자기 합리화
② 번에서 A유아는 아빠와 엄마가 다 자기편이라고 독백하며, 다리가 없는 장난감을 던지면서 아빠가 더 좋은 장난감을 사줄꺼니까 버려도 된다는 말을 하고 있다. 집단적 독백에 있어 자기합리화의 언어라 할 수 있다. 이에 N유아는 A유아의 반응에 반응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A유아의 말에 귀기울이지 않고 자신의 아버지가 경찰이라면서 A유아의 아빠 엄마보단 더 강한 존재라는 것을 과시하는 듯한 말을 하고 있다.
③ 일반적 집단 독백
보육원에서 총 3명의 아이들이 일반적 집단 독백 언어를 구사하고 있다. A, B, C유아 모두 상대에게 전혀 관심을 두지 않고 자신과 놀이감에 몰두하며 독백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집단적 독백은 의사소통을 염두에 두고 있지 않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유아기 자아중심적 언어의 개념과 사례를 기술해보고, 사례에 대한 분석도 해보았다. 자아중심적 언어는 일종의 자기만족을 위한 언어이지 않나 생각해 보았으며, 의사소통에 있어 거의 도움을 주지 못하지만, 아이들의 언어발달을 지속적으로 자극하게 된다는 것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 않나 생각해 보았다.
Ⅳ. 참고자료
아동발달 김수희(심리치료사) 저-양서원-2008.03.05
발달 심리학 송명자 저-학지사-1995.08.01
B유아: (로봇 장남감을 가지고 놀고 있다) 안돼. 에너지 충전. 아이언맨~~ 와~~
A유아: 나 화장실갈 거야. 오줌마려워..
C유아: 배고파... 빵먹고 싶어.. 엄마가 맛있는거 해준다고 했는데... 엄마가 해준다고 했어..
B유아: 아이언 맨이 다 죽일꺼라고. 야하하.
3) 집단적 독백 분석
① 자아중심적 화제
본 화제에서 나타난 주제는 N유아에 의한 일본에 가자는 것이다. N유아의 독백에 A유아는 거의 관심이 없으며, 일본이라는 말만 듣고 가보았다고 말을 하고 있으며, 친구한테 물어봐야 겠다는 표현을 함으로서 N유아의 말과 반응에 전혀 귀기울이고 있지 않다. 또한 A유아는 N유아를 배려하기 때문에 N유아의 말을 듣고 있기 보다는 이를 무의식적으로 듣게 되었고, 그것을 다시 자아중심적으로 사고하여 언어로 표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N유아 또한 A유아와 집단적 독백을 하고 있지만, A유아의 말에 귀기울이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② 자기 합리화
② 번에서 A유아는 아빠와 엄마가 다 자기편이라고 독백하며, 다리가 없는 장난감을 던지면서 아빠가 더 좋은 장난감을 사줄꺼니까 버려도 된다는 말을 하고 있다. 집단적 독백에 있어 자기합리화의 언어라 할 수 있다. 이에 N유아는 A유아의 반응에 반응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A유아의 말에 귀기울이지 않고 자신의 아버지가 경찰이라면서 A유아의 아빠 엄마보단 더 강한 존재라는 것을 과시하는 듯한 말을 하고 있다.
③ 일반적 집단 독백
보육원에서 총 3명의 아이들이 일반적 집단 독백 언어를 구사하고 있다. A, B, C유아 모두 상대에게 전혀 관심을 두지 않고 자신과 놀이감에 몰두하며 독백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집단적 독백은 의사소통을 염두에 두고 있지 않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유아기 자아중심적 언어의 개념과 사례를 기술해보고, 사례에 대한 분석도 해보았다. 자아중심적 언어는 일종의 자기만족을 위한 언어이지 않나 생각해 보았으며, 의사소통에 있어 거의 도움을 주지 못하지만, 아이들의 언어발달을 지속적으로 자극하게 된다는 것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 않나 생각해 보았다.
Ⅳ. 참고자료
아동발달 김수희(심리치료사) 저-양서원-2008.03.05
발달 심리학 송명자 저-학지사-1995.08.01
추천자료
[국문학] 방한림전과 여성의 자아실현
(아동상담및 실습)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아동상담및실습-자아존중감향상프로그램
[버지니아 M. 액슬린][딥스][자아를 찾는 아이][독후감][독서감상문][서평]버지니아 M. 액슬...
[딥스][자아를 찾는 아이][독후감][독서감상문][서평]딥스(자아를 찾는 아이)를 읽고, 딥스(...
[대화기법][학교][교사][어린이][자녀][해결중심][소크라테스]학교에서 대화기법, 교사의 마...
국어과 교육-정의_중심적_사고의_이해
[정신건강론]프로이드의 구조적이론(이드/자아/초자아)의 개념을 서술하고, 이드/자아/초자아...
[근대시][근대시 배경][근대시 형성][근대시 발생][근대시와 자아][근대시와 서구시][근대시...
인간특성 - 지능, 창의력, 동기, 성취동기, 자아개념, 자아효능감의 개념과 요인
무라카미 하루키 「해변의 카프카」레포트, 폭력과 자아의 훼손에 대한 극복을 중심으로
[생활지도와 상담] 학생생활을 지도하고 상담할 때 학생중심적인 태도를 위한 초등학교 교사...
유아기 정서발달 및 자아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