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유비쿼터스 컴퓨팅 분야에서 인터페이스 관련 기술 영역 세 가지를 제시하고, 그 각각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시오. (20점)
1) 유비쿼터스 컴퓨팅 분야에서 인터페이스 관련 기술 영역 세 가지
(1) 상황인지 기술
(2) 반응 생성을 위한 기술
(3) 사람의 의도파악을 위한 기술(지능처리 기능)
2) 각각에 대해 설명
(1) 상황인지 기술
(가) Celadon Project
(나) Cor Bra
(다) GAIA
(2) 반응 생성을 위한 기술
(가) SensorSim
(나) SENS
(다) Ubi Wise System
(라) TATUS
(3) 사람의 의도파악을 위한 기술(지능처리 기능)
(가) 상황정보 센싱 기술
(나) 상황정보 모델링
(다) 상황정보 충돌 감지 기술
2. 아래 각 용어들에 대하여 약자를 풀어 쓰시오. (10점)
1) EKP (Enterprise Knowledge Portal)
2) SOA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3) EAI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4) BI (Business Intelligence)
5) LDAP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유비쿼터스 컴퓨팅 분야에서 인터페이스 관련 기술 영역 세 가지를 제시하고, 그 각각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시오. (20점)
1) 유비쿼터스 컴퓨팅 분야에서 인터페이스 관련 기술 영역 세 가지
(1) 상황인지 기술
(2) 반응 생성을 위한 기술
(3) 사람의 의도파악을 위한 기술(지능처리 기능)
2) 각각에 대해 설명
(1) 상황인지 기술
(가) Celadon Project
(나) Cor Bra
(다) GAIA
(2) 반응 생성을 위한 기술
(가) SensorSim
(나) SENS
(다) Ubi Wise System
(라) TATUS
(3) 사람의 의도파악을 위한 기술(지능처리 기능)
(가) 상황정보 센싱 기술
(나) 상황정보 모델링
(다) 상황정보 충돌 감지 기술
2. 아래 각 용어들에 대하여 약자를 풀어 쓰시오. (10점)
1) EKP (Enterprise Knowledge Portal)
2) SOA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3) EAI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4) BI (Business Intelligence)
5) LDAP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업이 얻을 수 있는 경쟁적 우위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출현된 BI 용어에 대한 정의는 여러 과정을 거치면서 학계 및 업계의 회사들에 의해 검토되어지면서 구체적으로 적용하게 된다.
2001년 일본의 스즈키 간이치로(鈴木勘一郞)는 조직IQ(Intelligence Quotient)에 의한 스피드 경영의 실현(組織IQによるスピド經營の實現 이란 그의 저서에서 조직의 지능에 대하여 언급하였는데, 기업의 수익성과 성장성은 조직의 IQ에 의존하며, 기업이 성장하여 규모가 확대되어 감에 따라 업적에 대한 조직 IQ의 영향력이 증대된다고 분석하였다. 여기서 조직IQ란 조직의 활성도를 계수화 한 것으로서, 조직의 효과적인 의사 결정 능력과 실행 능력 수준을 나타내는 척도라고 정의하고 있다.
5) LDAP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LDAP은 디렉터리서비스의 한 종류로 디렉터리서비스는 클라이언트가 하나 이상의 어떤 속성을 주었을 때 이 속성을 가지고 있는 각 자원의 여러 속성을 돌려주는 서비스로서 속성기반 네이밍 서비스(Attribute-based naming service)로 부르기도 하며 보통 네이밍 서비스를 포함한다. 디렉터리 서비스에 대한 연구로 X.500, LDAP, UDDI(Universal Description Discovery & Intergration)들이 대표적으로 거론되고 있다. LDAP은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인터넷을 위한 디렉터리 서비스 표준으로 채택하였다. X.500을 기본 모델로 하여 인터넷 환경에서 필수적인 내용을 규정하였으며 인터넷 환경에 적합하다. TCP/IP기반 이며 X.500에 비해 구현이 쉽고 시간 및 비용의 절감으로 구축비용이 저렴한 것이 장점이다. 그러나 X.500에 비해 다양한 기능 제공이 어렵다는 점이 단점이라 할 수 있다. Microsoft의 Active Directory Service도 LDAP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디렉터리는 검색할 정보의 커다란 집합으로 볼 수 있다. 전화번호부와 같이 정보에 거의 변화가 없고 매우 자주 검색되는 정보는 디렉터리의 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 LDAP은 인터넷의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LDAP을 이용하여 서버와 서버 주변기기, PC와 어플리케이션이나 문서의 위치를 파악하는 도움을 줌으로 그 기능을 크게 확장시켜 나갈 수 있다.
LDAP 디렉터리의 구조는 트리 구조로 계층적으로 관리된다. 이러한 LDAP의 디렉터리 구조를 특별히 DIT(Directory Information Tree)라고 부른다. LDAP 트리구조에서 각 노드를 엔트리(Entry)라고 부르고, 엔트리는 LDAP에서 하나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모든 엔트리는 그 자신의 위치와 고유성을 나타내는 DN(Distinguished Name)으로 구분된다.
3. 시사점
마크 와이저가 주장한 바는 이렇다. 우리는 수 천년 동안 문자를 사용해 왔으며, 현재 수 없이 많은 문자에 둘러싸여 살고 있다. 우리는 그 문자들을 볼 때 행위적으로 노력해서 읽지 않는다. 아무런 행위 없이 무의식중에 그것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이와 같이 익숙해져서 행위적인 노력 없이 정보를 얻을 때 우리는 편안함을 느끼고 그것을 이용한 새로운 작업에 집중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이와 같은 ‘비가시성(Invisibility)’이 실현되어야 가능하다. 우리가 문자를 불편함 없이 보고 정보를 얻는 것처럼 컴퓨터가 비가시성을 실현하게 되어 사물내로 들어가게 되면, 우리는 그것을 특별한 노력 없이 무의식중에 사용하게 되고, 컴퓨터 자체를 사용하기 위한 노력을 줄일 수 있다. 현재의 컴퓨터는 사용자가 어떤 작업을 하기 위해서 그 사용법을 익히는 노력을 감수해야 하고 작업 중에는 무의식이기 보다 컴퓨터에 의식을 집중하고 있다. 마크 와이저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개념을 명확한 문장으로 정의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그의 일련의 연구들을 살펴볼 때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컴퓨터가 보이지 않게 내재되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고, 언제 어디서나 접속이 가능한 환경’이라고 정의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분야에서 인터페이스 관련 기술 영역 세 가지를 제시하고, 그 각각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아래 각 용어들에 대하여 약자를 풀어 서술해 보았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어떤 사람이라도, 언제 어디서나, 각종 단말기와 사물을 통해서 브로드밴드 네트워크에 접속을 하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공간 또는 환경’이며, 유비쿼터스 컴퓨팅 공간은 제 3의 공간이라고 정의하였다. 제 1공간은 물리공간, 제 2공간은 전자공간을 의미하며, 제 3공간은 물리공간에 전자공간이 접목된 공간이다. 즉,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정보기술 혁명이 사회, 경제에 가져올 영향은 사물의 지능화와 초공간화라는 두 개의 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네트워크 혁명에 의한 사물의 지능화는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컴퓨터를 사물들(물건, 기계, 상품, 동식물)속에 심고 사물들이 스스로 의사소통하거나 동작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초공간화는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네트워크 혁명을 통해 현실의 물리공간, 인터넷과 같은 전자공간간의 연계성이 고도화된 새로운 차원의 공간이 창조되고 이러한 공간을 중심으로 사회, 경제적 활동과 기능이 재편되는 것을 말한다. 이 두개의 축을 한마디로 말하면‘유비쿼터스화’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지인,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 한국방송공학회, 2004.
주상돈,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 및 시장 동향,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김창곤, 유비쿼터스사회, 미래전망과 과제,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6.
최준열 외,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관리 기술,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
이승훈, 상황인지 기술을 적용한 홈오토메이션 미들웨어에 대한 연구, 2010.
이규영, EAI 는 어플리케이션 통합해결사, 경영과 컴퓨터, 1999.
이수철, 우리 기업에 맞는 BI 성공 전략, 아이티엔 솔루션 통권, 2003.
2001년 일본의 스즈키 간이치로(鈴木勘一郞)는 조직IQ(Intelligence Quotient)에 의한 스피드 경영의 실현(組織IQによるスピド經營の實現 이란 그의 저서에서 조직의 지능에 대하여 언급하였는데, 기업의 수익성과 성장성은 조직의 IQ에 의존하며, 기업이 성장하여 규모가 확대되어 감에 따라 업적에 대한 조직 IQ의 영향력이 증대된다고 분석하였다. 여기서 조직IQ란 조직의 활성도를 계수화 한 것으로서, 조직의 효과적인 의사 결정 능력과 실행 능력 수준을 나타내는 척도라고 정의하고 있다.
5) LDAP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LDAP은 디렉터리서비스의 한 종류로 디렉터리서비스는 클라이언트가 하나 이상의 어떤 속성을 주었을 때 이 속성을 가지고 있는 각 자원의 여러 속성을 돌려주는 서비스로서 속성기반 네이밍 서비스(Attribute-based naming service)로 부르기도 하며 보통 네이밍 서비스를 포함한다. 디렉터리 서비스에 대한 연구로 X.500, LDAP, UDDI(Universal Description Discovery & Intergration)들이 대표적으로 거론되고 있다. LDAP은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인터넷을 위한 디렉터리 서비스 표준으로 채택하였다. X.500을 기본 모델로 하여 인터넷 환경에서 필수적인 내용을 규정하였으며 인터넷 환경에 적합하다. TCP/IP기반 이며 X.500에 비해 구현이 쉽고 시간 및 비용의 절감으로 구축비용이 저렴한 것이 장점이다. 그러나 X.500에 비해 다양한 기능 제공이 어렵다는 점이 단점이라 할 수 있다. Microsoft의 Active Directory Service도 LDAP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디렉터리는 검색할 정보의 커다란 집합으로 볼 수 있다. 전화번호부와 같이 정보에 거의 변화가 없고 매우 자주 검색되는 정보는 디렉터리의 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 LDAP은 인터넷의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LDAP을 이용하여 서버와 서버 주변기기, PC와 어플리케이션이나 문서의 위치를 파악하는 도움을 줌으로 그 기능을 크게 확장시켜 나갈 수 있다.
LDAP 디렉터리의 구조는 트리 구조로 계층적으로 관리된다. 이러한 LDAP의 디렉터리 구조를 특별히 DIT(Directory Information Tree)라고 부른다. LDAP 트리구조에서 각 노드를 엔트리(Entry)라고 부르고, 엔트리는 LDAP에서 하나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모든 엔트리는 그 자신의 위치와 고유성을 나타내는 DN(Distinguished Name)으로 구분된다.
3. 시사점
마크 와이저가 주장한 바는 이렇다. 우리는 수 천년 동안 문자를 사용해 왔으며, 현재 수 없이 많은 문자에 둘러싸여 살고 있다. 우리는 그 문자들을 볼 때 행위적으로 노력해서 읽지 않는다. 아무런 행위 없이 무의식중에 그것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이와 같이 익숙해져서 행위적인 노력 없이 정보를 얻을 때 우리는 편안함을 느끼고 그것을 이용한 새로운 작업에 집중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이와 같은 ‘비가시성(Invisibility)’이 실현되어야 가능하다. 우리가 문자를 불편함 없이 보고 정보를 얻는 것처럼 컴퓨터가 비가시성을 실현하게 되어 사물내로 들어가게 되면, 우리는 그것을 특별한 노력 없이 무의식중에 사용하게 되고, 컴퓨터 자체를 사용하기 위한 노력을 줄일 수 있다. 현재의 컴퓨터는 사용자가 어떤 작업을 하기 위해서 그 사용법을 익히는 노력을 감수해야 하고 작업 중에는 무의식이기 보다 컴퓨터에 의식을 집중하고 있다. 마크 와이저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개념을 명확한 문장으로 정의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그의 일련의 연구들을 살펴볼 때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컴퓨터가 보이지 않게 내재되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고, 언제 어디서나 접속이 가능한 환경’이라고 정의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분야에서 인터페이스 관련 기술 영역 세 가지를 제시하고, 그 각각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아래 각 용어들에 대하여 약자를 풀어 서술해 보았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어떤 사람이라도, 언제 어디서나, 각종 단말기와 사물을 통해서 브로드밴드 네트워크에 접속을 하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공간 또는 환경’이며, 유비쿼터스 컴퓨팅 공간은 제 3의 공간이라고 정의하였다. 제 1공간은 물리공간, 제 2공간은 전자공간을 의미하며, 제 3공간은 물리공간에 전자공간이 접목된 공간이다. 즉,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정보기술 혁명이 사회, 경제에 가져올 영향은 사물의 지능화와 초공간화라는 두 개의 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네트워크 혁명에 의한 사물의 지능화는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컴퓨터를 사물들(물건, 기계, 상품, 동식물)속에 심고 사물들이 스스로 의사소통하거나 동작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초공간화는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네트워크 혁명을 통해 현실의 물리공간, 인터넷과 같은 전자공간간의 연계성이 고도화된 새로운 차원의 공간이 창조되고 이러한 공간을 중심으로 사회, 경제적 활동과 기능이 재편되는 것을 말한다. 이 두개의 축을 한마디로 말하면‘유비쿼터스화’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지인,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 한국방송공학회, 2004.
주상돈,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 및 시장 동향,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김창곤, 유비쿼터스사회, 미래전망과 과제,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6.
최준열 외,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관리 기술,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
이승훈, 상황인지 기술을 적용한 홈오토메이션 미들웨어에 대한 연구, 2010.
이규영, EAI 는 어플리케이션 통합해결사, 경영과 컴퓨터, 1999.
이수철, 우리 기업에 맞는 BI 성공 전략, 아이티엔 솔루션 통권, 2003.
추천자료
방송을 위한 초고속정보통신망
유비쿼터스 컴퓨팅 개요
휴대인터넷[WiBro] 서비스의 사업 전망
유비쿼터스 항공 보안
[디지털도서관]디지털도서관의 개념, 디지털도서관의 특징, 디지털도서관의 문제점, 디지털도...
[E-비즈니스]E-비즈니스(이비즈니스)의 개념, E-비즈니스(이비즈니스)모델의 분류, E-비즈니...
유아용 온라인 컨텐츠의 개념 및 특성
유비쿼터스 RFID 와 보안
[유비쿼터스] 유비쿼터스의 응용과 서비스 전망 및 적용 사례
스마트폰을 활용한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
네비게이션 시장보고서
[유통][정보유통][불법정보유통][불법스팸유통][불건전정보유통][음란물유통][정보][불법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활용사례 SWOT분석 및 발전 전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