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기계,내분기계 지침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순환기계,내분기계 지침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수 조영제를 심장 내에 주입하여 X선 사진을 연동적으로 많이 찍는 것을 말하며, 기형의 구조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7. 운동부하 검사 (Exercise Stress Testing)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벨트나 실내 운동용 자전거를 이용하여 최대한 운동을 시키면서 심박동수, 혈압, 심전도의 변화등 심혈관계통의 생리적 변화를 관찰하는 검사로써 선천성, 또는 후천성 심장병이나 부정맥, 원인불명의 졸도, 흉부 통증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시행한다. 또한 수술 전이나 수술 후 시간이 경과한, 학동기 이후의 소아 및 성인 환자에서 심장과 폐의 기능, 운동량 및 부정맥의 유발 가능성을 관찰하는데 중요하다.
8. 홀터 검사 (24시간 심전도 검사)
심전도를 24시간 또는 48시간 연속적으로 기록하는 것으로 작은 카셋트 라디오같은 것을 휴대하여 일상적인 생활을 하면서 심전도의 변화를 관찰하는 검사이다. 운동부하 검사와 마찬가지로 홀터 검사는 부정맥이나 원인불명의 졸도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시행하며 특히 선천성 심질환을 위시한 개심수술 후에는 부정맥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부정맥의 유무를 판단하는데에, 그리고 부정맥의 진단과 치료효과를 판단하는데에 유용한 검사이다.
9. Tilt table test
원인이 불확실한 졸도를 하는 경우에 원인을 밝히는데 많은 도움이 되는 검사이다. 테이블에 반드시 누운 상태에서 테이블을 가파르게 세워 혈압,맥박, 심전도의 변화등을 연속적으로 기록, 관찰하며 기절이 유발되는지를 보며 약물을 정맥 주사하여 기절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10. 심혈관 자기공명 영상촬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복잡한 선천성 심기형이 있는 경우에 심초음파 검사나 심혈관 조영술에서도 이상이 확실하게 보이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때는 MRI를 이용한 단층촬영이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다.
11. 심장 전기 생리검사 (Electrophysiological Study)
부정맥이 있을 때 그 부정맥의 원인을 밝히고 치료를 하기 위해서 심도자 검사와 같은 방법으로 심장내에 전기현상을 기록할수 있는 특수도관인 전극도자(electrode catheter)를 넣어서 심장조직의 전기적인 현상을 살펴 보는 검사 방법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검사를 통하여 심장 박동이 병적으로 빨라서 기절이나 급사의 위험이 있는 상심실성 빈맥, 또는 심실 빈맥 환자에서 빈맥을 일으키는 부위를 정확하게 찾아내어 고주파 에너지(radiofrequency energy)를 주어서 빈맥의 원인이 되는 병소를 완전히 없애줄 수 있는 전극도자 절제 술(catheter ablation)이 소아에서도 시행되어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12. 경식도 전기생리 검사 (Transesophageal Electrophysiological Study)
전극도자를 심장내에 넣지않고 심장 뒤쪽에 위치한 식도를 통해서 삽입시 켜 심장의 전기현상을 기록하며 동시에 심장에 간접적으로 전기자극을 줌으로써 부정맥의 원인을 알아내고 또 빈맥을 응급조치 할수있는 검사 방법으로써 심장내에서 직접 검사하는 심장 전기 생리검사에 비해서는 자세하지는 않지만 훨씬 덜 침습적인 방법 (non-invasive study) 이므로 입원이 필요없이 외래에서도 할수있고 신생아, 영유아에서도 시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13. 초음파 검사(Ultrasonography)
(1) 목적 : 초음파를 이용하여 장기질환을 진단하고 조직검사를 정확히 하기 위함이다.
(2) 적응증 : 신장, 질, 간 흡입생검시, 임신검사, 신체 각 부위의 진단
(3) 금기 : 불안정 혼란상태, 갑상성 생검직후(24시간 후에 가능)
(4) 체위 : 앙와위
(5) 과정 및 환자간호
1) 환자에게 검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2) 검사부위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환자를 준비시킨다.
① 담낭, 간, 췌장, 복부 등의 검사는 10~12시간 동안 금식이다.(그외에는 NPO 필요없다)
- 식사를 하면 담낭에서 담즙ㅇ 배설되어 담낭이 수축되므로, 금식은 담낭의 크기르 최대한 크게 하여 정확한 경과를 얻기 위함이다.
② 골반강 검사시는 검사 2시간 전에 500cc의 물을 섭취시켜 방광을 팽만하게 하고 배뇨를 금지시킨다.
- 방광팽만은 음파전달을 좋게 하고 자궁을 더 잘 보이게 한다.
③ 질내 초음파 검사는 방광을 비우게 한다.
④ 환자가 복부팽만이 있거나 최근에 바륨 study를 받았으면 초음파 검사를 연기한다.
- 바륨과 가스는 음파를 반사시키고 검사결과를 변화시킨다. 초음파는 바륨을 통과 할 수 없다.
3) 의무기록, 방사선 필름, 검사용지오 함께 환자를 초음파실에 보낸다.
4) 필요시 진정제를 투여한다.
- 움직이면 보려고 하는 부위가 흔들리게 나타나 정확하게 볼 수 없다.
5) 검사과정
① 환자를 검사대 위에 앙와위로 눕게 하며 갑상선 촬영의 경우 목을 과신전시킨다.
② 검사할 부위의 피부가 검사용 젤리를 바른 후 음파전달기를 검사부위 위로 움직여 영상을 얻는다.
- 공기는 음파가 신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고 젤리는 음파전달을 촉진시킨다.
③ 검사를 끝나면 피부에 묻은 젤리를 제거하고 병실로 보낸다.
6) 환자가 오면 상태를 확인하고 골반강 검사시는 소변을 보도록 하며, 금식한 경우 식사를 하도록 한다.
7) 검사시간, 환자의 반응을 사정하여 기록한다.
♣ 내분비계 지침서
● 혈장 cortosol 검사
1. 검사명 : Cortisol
2. 검사 원리
Cotisol은 사람의 혈청에서 표지항원을 이용 Cortisol 호르몬의 검출을 위한 정량 검사로 RIA 방법으로 경쟁반응을 이용한다.
3. 임상적 의의
당 스테로이드의 대표적인 호르몬으로 간의 담 생산에 필요한 중요한 효소의 합성을 향진시키고, Cortisol의 합성 분비는 CRF와 뇌하수체의 ACTH에 의해 조절된다. 8시경 가장 높고, 장자기 전과 저녘 무렵 내려간다. 정신적 신체적 긴장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쿠싱증후군과 비만의 감별에 측정하고 에디슨병과 스테로이드 약게 장기 투여 환자에 대한 부신 피질 기능 이상 질환등의 발견을 목적으로 측정되며 ACTH와 함께 측정함으로써
  • 가격2,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4.11.13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01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