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이론]Maslow의 인본주의적 성격이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격이론]Maslow의 인본주의적 성격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Maslow의 생애
2. 인본주의 심리학의 기본원칙
1) 인본주의 심리학과 실존철학과의 연관성
2) 잠재적 창조성
3) 형성되는 것(becoming)
4) 주관적 경험
5) 통합된 전체로서의 개인
6) 동물연구의 부적절성
7) 인간의 내적본성
8) 심리학적 건강에 대한 강조
3. Maslow의 인본주의 성격이론의 주요개념
1) 욕구의 계층이론 : 욕구의 5단계설
(1) 생리적 욕구
(2) 안전의 욕구
(3) 소속감ㆍ사랑의 욕구
(4) 자존의 욕구
(5) 자아실현의 욕구
2) 동기화 이론 : 결핍동기와 성장동기
(1) 결핍동기
(2) 성장동기
3) 자아실현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실현자
Maslow에 따르면 자아 실현자들은 존재 가치에 의하여 동기화되며, 성장동기를 가지고서 자신의 체험을 확장하고 삶을 풍부하게 한다. Maslow는 건강한 성격의 자아실현자들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자신의 재능을 최대한 살리고 자아실현을 이룬 것으로 생각되는 사람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들은 학생 , 지식인 ,유명한 역사인물(링컨, 루스벨트대통령 부인, 토마스 제퍼슨)들로서 생존해 있는 사람들에는 면접, 자유연상 그리고 투사적 기법을 사용했고, 이미 세상을 떠난 사람들의 경우는 전기와 자서전을 자료로써 분석하였다.
이들에게 나타난 성격은 다음과 같다.
①사람과 사물을 객관적으로 지각한다. 즉 자신의 소망, 감정, 욕망 등으로 인해 현실을 왜곡하지 않는다.
②자신과 타인을 있는 대로 받아들이고 죄책감을 느끼거나 방어적이지 않으면서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인정한다.
③자아실현 인들은 가식이 없고 솔직하고 외현적인 행동 뿐 만 아니라 내적사고나 충동이 비교적 자연스럽다.
④자기중심적이 아니고 문제중심적이다. 자기중심적인 사람들이 자기평가에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과는 달리 문제 중심적인 사람들은 자신의 에너지를 과제나 문제에 집중하고 자신의 목표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⑤혼자 있기를 좋아하고 홀로인 것에 개의치 않는다.
⑥사람과 사물에 대한 인식이 구태의연하지 않고 신선하다.
⑦반드시 종교적인 것이 아니더라도 황홀한 기쁨을 경험한다.
⑧인류에 대한 연민과 애정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인류의 구성원으로서 인류 모두에게 형제애를 느낀다.
⑨대인관계가 피상적이지 않고 깊고 풍부하다.
⑩민주적인 인격구조를 갖는다. 즉 사회계층, 인종, 교육수준, 종교, 정치적 신념에 상관없이 모든 인간을 존중한다.
⑪수단과 목적을 혼동하지 않는다.
⑫철학적인 유머감각이 있다.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주거나 어떤 특정한 사람을 놀림감으로 삼는 종류의 유머를 좋아하지 않는다.
⑬지혜롭고 창의적이다 그들의 창의성은 생각이나 행동에서 어린아이같이 천진난만하고 자발적이고 신선한 것이 특징이다.
⑭자신의 문화를 대부분 인정하지만 무조건 동조하지 않는다.
⑮물리적 .사회적 환경으로부터 독립성을 유지 한다
Maslow의 연구대상 중 대부분은 위에서 언급한 성격적 특성들을 많이 소유하고 있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자아실현을 이룬 사람들이 완벽하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Maslow는 이들에게서 더 많은 단점을 발견하였다. 지루하고, 따분하고, 고집 세고, 허영심이 강하고, 분별없는 습관이 있는 경우도 있고 때로는 죄책감과 불안 및 경쟁심을 느끼기도 하고 내적 갈등을 경험하는 것을 볼 수도 있었다. 그들은 가끔 놀라울 정도의 무정함도 보였는데, 이것은 친구에게 배신을 당했다고 느끼거나 어떤 이가 정직하지 못하다고 느낄 때 나타났다. 이런 경우에 이들은 얼음과 같이 냉정하게 그 관계를 끝내버렸다.
Ⅲ.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Maslow가 인간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인간 행동의 동기와 욕구들, 그리고 건강한 인간에 대한 그의 견해를 살펴보았다. Maslow의 인본주의적 성격이론은 그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이해하면 이해할수록 점점 더 매료시키는 부분이 있다. 함께 인간사회에 대한 장미빛 미래를 꿈꾸게 하기도 하고, 인간에 대한 한없는 기대를 품게 만든다. Maslow는 Freud가 말하듯 과장적으로 인간의 본성을 성악설에 기인하여 결정짓지도 않았고, 발전가능성을 무한히 열어두어 결국은 이상적인 자아실현의 단계에 도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Maslow의 입장은 개인의 발전과 사회의 안녕을 추구하는 우리들에게는 매우 고무적인 이론이다. 사회복지 현장에 있는 우리들로서는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갖게 해준 Maslow에게 감사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질문과 생각해 볼 문제들이 떠오른다. Maslow과 인간의 욕구와 동기에 대한 심도있는 관찰과 이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을 정립하는데에는 Maslow 자신이 살았던 전후 미국사회의 분위기가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당시 미국의 상황과 오늘날 우리나라의 상황에는 분명 커다란 차이가 있다. 지금의 한국사회는 개인주의보다는 이기주의가 만연되어 있고, 유교적 질서가 사라지면서 그 자리를 대체할 만한 대표적인 신질서는 부재하다. 또한 인터넷의 보편화로 사이버문화가 발달하면서 새로운 문화들을 탄생시키고 있고, 이로 인해 문화와 가치관의 변화속도가 급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들(그것이 긍정적인 것이건, 부정적인 것들이건 간에) 속에서 과연 Maslow가 말하는 욕구의 단계들은 의미를 갖을 수 있는 것일까라는 질문을 조심스럽게 던져본다. 물론 이 글을 준비한 우리들도 이 질문에 대해서 심도있는 답을 준비하지는 못했으며, 확신을 담은 결론을 내리지 못한 상태이다. 그러나 이미 개인화되어지고, 가치들이 다양화되어진 우리 사회에서는 그의 이론을 보편화시킨다는 것은 이론적인 의미만을 갖는 것은 아닐까라는 우리들의 문제제기는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이들과 함께 생각해 볼 거리로 남기면서 이 글을 마치고자 한다.
<참고문헌>
이인정외 공저(201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출판사
이형득(2009) 상담의 이론적 접근, 형설출판사
이홍구 역(2003) 성격심리학, 법문사
노안영ㆍ강영신(2003) 성격심리학, 학지사
성민선 외(2005) 사회복지개론, EM커뮤니티
손정락 역(Walter Mischel)(1997) 성격심리학, 교육과학사
이인정ㆍ최해경(199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출판
이훈구 역(L.A젤리ㆍD.J.지글러)(1983) 성격심리학, 법문사
정옥분(2004) 발달심리학, 학지사
조대봉 역(Abraham H. Maslow)(1992) 인간의 동기와 성격, 교육과학사
최옥채 외(2003)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Maslow, A.(1968)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3rd ed.)
Maslow, A.(1971) The 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 New York: Penguin Book.
正田亘ㆍ水口治(1992) 心理 -行動理解のための心理, 京都:晃洋書房
  • 가격1,8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4.11.24
  • 저작시기201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09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