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장. 서 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문제의 제기
3. 연구목적
4. 연구목표
제 2장. 본 론
1. 창작 프로세스의 이해
2. 사례연구
제 3장. 결 론
1. 연구내용 요약
2. 연구의 결론
3.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문제의 제기
3. 연구목적
4. 연구목표
제 2장. 본 론
1. 창작 프로세스의 이해
2. 사례연구
제 3장. 결 론
1. 연구내용 요약
2. 연구의 결론
3.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 욕구(혐오)가 있다.
또는 욕망(欲望)은 생물이 어떠한 혜택을 누리고자 하는 감정으로, 자신에게 부족한 것을 채우기 위한 느낌이 강하다. 영어로는 desire이라 하며 바라다, 원하다, 욕구하다, 희망하다 등의 뜻을 지닌다.
② 발산
사전에서는 ‘감정 따위가 밖으로 드러내나 해소되거나 분위기 따위가 한껏 드러나다’라고 한다. 즉, 발산이란 한순간의 충동으로 인한 욕정을 밖으로 표출하는 것이다. 창작의 주체는 어느 순간 충동적으로 일시적이고 수동적인 감정을 갖게 되는데 이런 감정을 가질 때마다 그것을 억누르고 속으로 삼켜내는 것이 아니라 겉으로 드러낸다. 예를 들어, 미술가들이나 소설가 중 초현실주의 작가들이 많이 활용하는 자동기술법 무의식적 자동작용, 자동 묘법(自動描法)
을 예로 들 수 있다. 이것은 모든 습관적 기법이나 고정관념, 이성 등의 영향을 배제하고 무념무상의 상태에서 손이 움직이는 대로 그림을 그리거나 글을 쓰는 것으로 창작의 주체가 한순간 느끼는 충동을 그 순간마다 발산하는 것이다.
③ 기술
사전적 정의는 1. 만들거나 짓거나 하는 재주 또는 솜씨. 2. 어떤 일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이나 능력 3. 과학 이론을 적용하여 자연을 인간 생활에 유용하도록 변화시키는 방법을 의미한다.
모두다 기술의 정의이지만 마술에서의 기술이란 1번의 의미가 좀 더 맞겠다.
④ 감탄
사전적 정의는 ‘마음속 깊이 느끼어 찬탄함’이다. 사전적 정의는 이러하지만, 쉽게 풀어쓰자면 어떤 대상이나 상황을 보고 ‘와우! 또는 우와~’라는 말이 나오는 것이 감탄이라 하겠다. 영어로는 admiration, wonder, awe등의 단어가 있으며 감탄, 경이, 경외 등의 의미를 지닌다.
2. 발산 프로세스
1) 조사
사물의 내용을 명확히 알기 위하여 자세히 살펴보거나 찾아본다는 의미로 발산을 하기 위해 무엇을 발산할 것인지 알아내는 것이다. 제품개발 면에서 살펴보면, 소비자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알아내기 위해 조사를 한다.
이 때, 신제품 개발과 같은 질적인 아이디어를 얻기 위한 목적의 정성조사와 기술적인 통계량을 얻기 위한 목적의 정량조사를 활용한다. 먼저, 정성조사에는 답자와 면접원간에 연구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하여 인터뷰를 행하는 심층면접법, 8~10명의 응답자에 대한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집단토의법, 개인에 내재하고 있는 잠재정인 동기를 알아내기 위한 투사법 등이 있다. 그리고 정량조사에는 마케터가 직접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하고 사용하는 과정을 지켜보는 관찰법,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연구하려는 현상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실험법, 연구자와 연구대상자가 직접 만나지 않은 채 직접면접, 전화면접, 우편조사 등을 활용하여 원하는 자료를 얻어내는 서베이가 있다.
2) 관찰
일반적으로 사물의 실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을 의미하지만, 철학적 관점에서의 관찰은 인식의 기초로서 적극적인 의도를 가지고 살펴보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철학적 관점에서의 관찰은 인식하고 활동하는 주체가 인식되는 대상과 의식적으로 대면한다는 사실을 전제한다. 동시에 관찰대상이 관찰자에 의해 의식적으로 선택된다는 점과 관찰이 수행될 때 어떤 목표가 추구된다는 점에서 목적 규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관찰은 관찰자의 생각이나 성향, 목적, 사고방식 등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수량화하는 일, 객관적 사실과 관찰자의 해석을 혼동하지 않도록 하는 일, 관찰의 결과를 일반화함에 있어서는 충분한 자료를 얻어서 다른 관찰자와의 협의를 거친 다음에 결정하는 일 등을 매우 중요시한다.
3) 비교
비교는 조사와 관찰을 통해 나온 수량화된 자료를 비교하여 자료 안에 들어있는 의미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하여 나온 자료의 내용으로 어떤 정보를 얻고 어떤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는지 알아내는 것이다. 즉,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사물이나 문제에 대하여 각각 시점에서 발생하는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내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한 지 알아내는 것이다.
VS
4) 인지
비교를 통하여 나온 자료에서 새로운 가치창출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선별해내는 단계이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기존 제품의 수명이 쇠퇴기에 접어들어 생산을 멈춰야 하는 결정을 내릴 때가 왔을 때 해당 제품의 어떤 면을 이용하여 쇠퇴기를 다시 성숙기의 그래프를 띄게 할 수 있을지 결정할 수 있으며, 성숙기에 있는 제품을 쇠퇴기로 접어들지 않게 할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해 낼 수 있다.
5) 구현
사전적 정의의 구현(具現) 국립국어원, “구현”, 『표준국어대사전』,, (2012. 5. 20)
은 어떤 내용이 구체적인 사실로 나타나게 함을 뜻 한다. 조사, 관찰, 비교, 인지를 통해 결정된 제품의 가치창출 계획에 따라 실제로 적용시키는 것이다. 이 때, 예상치 못할 문제점, 오류 등이 발견될 수 있는데 구현 단계에서 이를 바로잡을 수 있다.
3. 사례연구
1) 조사
마술의 역사는 기원전 불먹기, 맹수 다루기에서부터 유래 되었다. 17세기 이후 과학을 이용하여 호화롭고 웅장하게 변모하며, 현대의 마술까지 이르게 됐다. 마술의 유래는 기원전 300~100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최초의 마술은 불을 먹는 마술과 그리스, 이집트에서 맹수를 마음대로 다루는 마술에서 시작됐다.
14~15세기에는 카드 마술이 유행했고, 18세기에 들어서면서 하나의 장르로 발전하게 됐다. 20세기에는 전설의 마술사 ‘해리 후디니 Harry Houdini 헝가리 마술사로 1874-1926년 까지 활동하며 마술계의 전설로 남고 있다.
’의 등장과 과학기술의 발달로 마술은 급격한 발전을 하게 됐다.
고대 마술
중세 마술
동양 마술의 발상지는 중국과 인도이다. 인도 힌두교 경전인 ‘이파니사드’불교 경전에 마술에 관한 기록이 있다. 인도 마술로 유명한 것은 관객이 보고 있는 앞에서 망고나무를 쑥쑥 자라나게 하는 마술, 상자 속에 소년을 들어가게 하고 사방에서 칼로 찌르는 마술, 한 손으로 기둥을 잡고 공간에 몸을
또는 욕망(欲望)은 생물이 어떠한 혜택을 누리고자 하는 감정으로, 자신에게 부족한 것을 채우기 위한 느낌이 강하다. 영어로는 desire이라 하며 바라다, 원하다, 욕구하다, 희망하다 등의 뜻을 지닌다.
② 발산
사전에서는 ‘감정 따위가 밖으로 드러내나 해소되거나 분위기 따위가 한껏 드러나다’라고 한다. 즉, 발산이란 한순간의 충동으로 인한 욕정을 밖으로 표출하는 것이다. 창작의 주체는 어느 순간 충동적으로 일시적이고 수동적인 감정을 갖게 되는데 이런 감정을 가질 때마다 그것을 억누르고 속으로 삼켜내는 것이 아니라 겉으로 드러낸다. 예를 들어, 미술가들이나 소설가 중 초현실주의 작가들이 많이 활용하는 자동기술법 무의식적 자동작용, 자동 묘법(自動描法)
을 예로 들 수 있다. 이것은 모든 습관적 기법이나 고정관념, 이성 등의 영향을 배제하고 무념무상의 상태에서 손이 움직이는 대로 그림을 그리거나 글을 쓰는 것으로 창작의 주체가 한순간 느끼는 충동을 그 순간마다 발산하는 것이다.
③ 기술
사전적 정의는 1. 만들거나 짓거나 하는 재주 또는 솜씨. 2. 어떤 일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이나 능력 3. 과학 이론을 적용하여 자연을 인간 생활에 유용하도록 변화시키는 방법을 의미한다.
모두다 기술의 정의이지만 마술에서의 기술이란 1번의 의미가 좀 더 맞겠다.
④ 감탄
사전적 정의는 ‘마음속 깊이 느끼어 찬탄함’이다. 사전적 정의는 이러하지만, 쉽게 풀어쓰자면 어떤 대상이나 상황을 보고 ‘와우! 또는 우와~’라는 말이 나오는 것이 감탄이라 하겠다. 영어로는 admiration, wonder, awe등의 단어가 있으며 감탄, 경이, 경외 등의 의미를 지닌다.
2. 발산 프로세스
1) 조사
사물의 내용을 명확히 알기 위하여 자세히 살펴보거나 찾아본다는 의미로 발산을 하기 위해 무엇을 발산할 것인지 알아내는 것이다. 제품개발 면에서 살펴보면, 소비자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알아내기 위해 조사를 한다.
이 때, 신제품 개발과 같은 질적인 아이디어를 얻기 위한 목적의 정성조사와 기술적인 통계량을 얻기 위한 목적의 정량조사를 활용한다. 먼저, 정성조사에는 답자와 면접원간에 연구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하여 인터뷰를 행하는 심층면접법, 8~10명의 응답자에 대한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집단토의법, 개인에 내재하고 있는 잠재정인 동기를 알아내기 위한 투사법 등이 있다. 그리고 정량조사에는 마케터가 직접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하고 사용하는 과정을 지켜보는 관찰법,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연구하려는 현상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실험법, 연구자와 연구대상자가 직접 만나지 않은 채 직접면접, 전화면접, 우편조사 등을 활용하여 원하는 자료를 얻어내는 서베이가 있다.
2) 관찰
일반적으로 사물의 실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을 의미하지만, 철학적 관점에서의 관찰은 인식의 기초로서 적극적인 의도를 가지고 살펴보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철학적 관점에서의 관찰은 인식하고 활동하는 주체가 인식되는 대상과 의식적으로 대면한다는 사실을 전제한다. 동시에 관찰대상이 관찰자에 의해 의식적으로 선택된다는 점과 관찰이 수행될 때 어떤 목표가 추구된다는 점에서 목적 규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관찰은 관찰자의 생각이나 성향, 목적, 사고방식 등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수량화하는 일, 객관적 사실과 관찰자의 해석을 혼동하지 않도록 하는 일, 관찰의 결과를 일반화함에 있어서는 충분한 자료를 얻어서 다른 관찰자와의 협의를 거친 다음에 결정하는 일 등을 매우 중요시한다.
3) 비교
비교는 조사와 관찰을 통해 나온 수량화된 자료를 비교하여 자료 안에 들어있는 의미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하여 나온 자료의 내용으로 어떤 정보를 얻고 어떤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는지 알아내는 것이다. 즉,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사물이나 문제에 대하여 각각 시점에서 발생하는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내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한 지 알아내는 것이다.
VS
4) 인지
비교를 통하여 나온 자료에서 새로운 가치창출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선별해내는 단계이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기존 제품의 수명이 쇠퇴기에 접어들어 생산을 멈춰야 하는 결정을 내릴 때가 왔을 때 해당 제품의 어떤 면을 이용하여 쇠퇴기를 다시 성숙기의 그래프를 띄게 할 수 있을지 결정할 수 있으며, 성숙기에 있는 제품을 쇠퇴기로 접어들지 않게 할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해 낼 수 있다.
5) 구현
사전적 정의의 구현(具現) 국립국어원, “구현”, 『표준국어대사전』,
은 어떤 내용이 구체적인 사실로 나타나게 함을 뜻 한다. 조사, 관찰, 비교, 인지를 통해 결정된 제품의 가치창출 계획에 따라 실제로 적용시키는 것이다. 이 때, 예상치 못할 문제점, 오류 등이 발견될 수 있는데 구현 단계에서 이를 바로잡을 수 있다.
3. 사례연구
1) 조사
마술의 역사는 기원전 불먹기, 맹수 다루기에서부터 유래 되었다. 17세기 이후 과학을 이용하여 호화롭고 웅장하게 변모하며, 현대의 마술까지 이르게 됐다. 마술의 유래는 기원전 300~100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최초의 마술은 불을 먹는 마술과 그리스, 이집트에서 맹수를 마음대로 다루는 마술에서 시작됐다.
14~15세기에는 카드 마술이 유행했고, 18세기에 들어서면서 하나의 장르로 발전하게 됐다. 20세기에는 전설의 마술사 ‘해리 후디니 Harry Houdini 헝가리 마술사로 1874-1926년 까지 활동하며 마술계의 전설로 남고 있다.
’의 등장과 과학기술의 발달로 마술은 급격한 발전을 하게 됐다.
고대 마술
중세 마술
동양 마술의 발상지는 중국과 인도이다. 인도 힌두교 경전인 ‘이파니사드’불교 경전에 마술에 관한 기록이 있다. 인도 마술로 유명한 것은 관객이 보고 있는 앞에서 망고나무를 쑥쑥 자라나게 하는 마술, 상자 속에 소년을 들어가게 하고 사방에서 칼로 찌르는 마술, 한 손으로 기둥을 잡고 공간에 몸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