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한국문학 「가사(歌詞)」의 명칭, 기원, 장르, 형식, 역사적 흐름과 유형별 대표 작품 (가사의 정의, 가사의 명칭과 학계의 견해, 기원과 장르와 형식, 가사의 역사적 흐름, 가사의 유형별 분류 및 작품소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 한국문학 「가사(歌詞)」의 명칭, 기원, 장르, 형식, 역사적 흐름과 유형별 대표 작품 (가사의 정의, 가사의 명칭과 학계의 견해, 기원과 장르와 형식, 가사의 역사적 흐름, 가사의 유형별 분류 및 작품소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가사란 무엇인가

2. 가사의 명칭과 학계의 견해

3. 가사의 기원과 장르

4. 가사의 형식
 4-1. 음보율에 의한 파악
 4-2. 음수율에 의한 파악
 4-3. 종결형식에 의한 파악

5. 가사의 역사적 흐름
 5-1. 제1기(형성기 : 고려말엽~조선조 성종조)
 5-2. 제2기(발전기 : 성종조 후~임진왜란 전)
 5-3. 제3기(흥성기 : 임진왜란 이후~숙종조 전)
 5-4. 제4기(변화기 : 숙종 조~개화기 전엽)
 5-5. 제5기(쇠퇴기 : 개화기 이후~광복 전)

6. 가사의 유형별 분류 및 작품소개
 6-1. 사대부가사
 6-2. 서민가사
 6-3. 규방가사
 6-4. 종교가사
 6-5. 개화가사

본문내용

ㅇ유유자적 삶의 즐거움- 이서 <낙지가>, 송순 <면앙정가>, 허강 <서호별곡>, 정철 <성산별곡>
ㅇ여행의 감흥과 관료생활의 즐거움- 백광흥 <관서별곡>, 정철 <관동별곡>
ㅇ연군가사- 정철 <사미인곡>, <속미인곡> ㅇ유배가사- 조위 <만분가>
5-3. 제 3기 (흥성기 : 임진왜란 이후~숙종조 전)
사대부가사의 작가의식이 변모하면서 활발한 시기이다. 거듭되는 전란으로부터 대응하기 위해 사대부는 짧고 집약적인 한시나 시조와 달리, 문학의 갈래 중 실제 겪은 대로 말할 수 있는 가사를 적극 활용하였다. 임진왜란이라는 엄청난 시련이 닥치자 지금까지 존중하던 격식을 버리고 보고 느끼고 통탄한 바를 생생하게 나타내려는 움직임이 일었다. 전대의 가사 작품들이 유교적 이념과 가치관에 대해 노래했다면 이 시기에 이르러서는 피폐한 사회상과 생활고를 토로하고 현실을 비판하는 가사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언어에서도 변화가 일었는데 정중하고 고아한 표현에서 이전에는 문학적 언어로 쓰일 수 없었던 일상적이고 노골적인 표현들이 등장하게 된다. 이 시기의 가사는 형식면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는데 특히 노계 가사에는 2음보를 기저율격으로 하는 6음보 1행이 많이 쓰였는데 이는 일정한 형식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서민의식의 반영이라 하겠다.1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ㅇ전쟁의 비참함- 박인로 <태평사> <선상탄>, 채득기 <봉산곡>
ㅇ위정자들에 대한 비판- 최현 <용사음>
ㅇ생활고- 박인로 <누항사>, 정훈 <우활가> <탄궁가>
ㅇ폭정과 부패 비판- 정훈 <성주중흥가>, 허전 <고공가>, 이원익 <고공답주인가>
ㅇ강호가사- 고응척 <도산가>, 박인로 <사제곡> <소유정가> <노계가>, 윤이후 <일민가>,
ㅇ연군가사- 조우인 <자도사>
ㅇ유배가사- 송주석 <북관곡>
ㅇ기행가사- 조우인 <출새곡> <관동속별곡>, 이현 <백상루별곡>, 박권 <서정별곡>
5-4. 제 4기 (변화기 : 숙종 조~개화기 전엽)
이 시기에는 서민가사와 규방가사가 등장하고 천주교가사가 나타나는 등 가사문학의 작자와 향유층이 크게 확대되었다. 서민가사는 유, 불의 기존이념을 파괴하면서 인간의 본능적 욕구를 숨김없이 노래하였고 천주교 가사는 주로 포교에 사용되었다. 숙종조 전에는 가사가 주로 가창되었기 때문에 길이가 100句 정도로 3.4조 또는 2.4조가 우세했으나 이 시기에는 가사가 대개 음영되면서 4.4조가 우세하게 되었고 길이도 길어졌다.
ㅇ규방가사- <선반가> <봉선화가> <규원가> <쌍벽가> <부여노정기>
ㅇ천주교가사- 정약전 <십계명가>, 이벽 <천주공경가>, 이가환 <경세가>, 최도마 <사향가>
ㅇ강호가사- 남도진 <낙은별곡>, 박이화 <낭호신사>, 조성신 <개암가>
ㅇ유교이념- 이기경 <심진곡>, 권섭 <도통가>
ㅇ기행가사- 김인겸 <일동장유가>, 이용 <북정가>, 박순우 <금강별곡>, 정재문 <화양별곡>
ㅇ연군가사- 김춘택 <별사미인곡>, 이진유 <속사미인곡>
ㅇ유배가사- 안조환 <만언사>, 김진형 <북천가>
5-5. 제 5기 (쇠퇴기 : 개화기 이후~광복 전)
만민 평등사상과 외세에 대한 저항의식의 고취 등 소위 개화사상을 담고 있는 동학가사가 처음 창작된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개화와 구국을 주장하는 가사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동학가사 112편은 최제우, 김주희 등에 의하여 주로 지어졌는데 일제 때에 지속적으로 간행되어 천도교의 포교와 서민들의 교화에 이바지 하였다. 개화가사는 자주독립과 개화사상을 고취하기도 하고 무비판적인 신문화 수용을 반대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광복을 맞이하면서 현대시의 창작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반면에 가사의 작자층과 향유층은 급격히 줄어들게 되어 쇠퇴하고 말았다.
6. 가사의 유형별 분류 및 작품소개 이창식 『고전시가강의』, 도서출판역락, 2009, p.196, p.205, p.218~219.
가사를 분류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지만 여기서는 작품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내용과 주제를 연관 지어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몇 가지 작품을 간략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6-1. 사대부가사 : 賞春曲(상춘곡), 關東別曲(관동별곡)
사대부는 관직상으로는 5품 이하의 관료인 사와, 4품 이상의 관료인 대부를 뜻하는데, 통칭 양반계급으로 일컬어진다. 양반 사대부는 조선조의 지배층으로서 유교이념을 사상적 배경으로 그들의 인생관과 세계관을 펼치고 있다. 또한 긍정적이고 인습적인 의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그들의 관심사와 현실적 경험을 나열하거나 관념적 세계추구를 형상화 하고 있다. 이들에 의해 주로 지어진 사대부 가사는 강호생활의 즐거움, 정치적 패배와 회귀의지, 유교적인 생활과 이념, 명승지와 유적지의 기행, 역사와 고문을 통한 회고의 정을 주로 읊고 있다.
▷ 정극인의 <賞春曲(상춘곡)>
* 상춘곡 이란?
연대 : 조선 성종 때
작가 : 정극인(丁克仁)
갈래 : 서정 가사, 양반 가사, 정격 가사
성격 : 묘사적, 예찬적, 서정적, 주정적
제재 : 봄의 풍경
표현 : 설의법, 대구법, 의인법, 직유법 등 사용
구성 : 서사 - 본사 - 결사의 3단 구성
- 서사 : 자연에 묻혀 사는 즐거움, 아름다운 산수 자연 속에서 청풍명월의 주인이 되어 지락을 누림
- 본사 1 : 봄의 아름다운 경치 : 봄날의 경치에 도취됨
- 본사 2 : 봄의 흥취 : 소요음영하며 누리는 한중진미의 생활
- 본사 3 : 산수 구경 권유 : 이웃들에게 함께하기를 권함
- 본사 4 : 술과 풍류 : 아름다운 봄 풍경을 구경하면서 한 잔의 술과 함께 풍류를 즐김
- 본사 5 : 산봉우리에서의 조망(眺望) : 무릉도원을 생각하며 자연을 즐김
- 결사 : 안빈낙도(安貧樂道) : 단표누항에 헛된 생각하지 않으며 안빈낙도의 생활을 즐김
주제 : 봄의 완상(玩賞)과 안빈낙도(安貧樂道), 봄의 경치를 즐기며 안빈낙도함
의의 : 조선조 사대부 가사의 효시, 강호 한정 가사의 시발이 됨
紅塵(홍진)에 뭇친 분네 이내 生涯(생애) 엇더고. 넷 사 風流(풍류) 미가 미가. 天地間(천지간) 男子(남자) 몸이 날만 이 하건마, 山林(산림)에 뭇쳐 이셔 至樂(지락)을 것가. 數間茅屋(수간 모옥)을 碧溪水(벽계수)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4.12.03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21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