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코카콜라의 역사
1)존 펨버턴
2)기업의 연혁
2.코카콜라 마케팅 분석
1)4P분석
2)시장 세분화
3)swot분석
3.성공요인 분석
1)스포츠 마케팅
2)TV마케팅
3)그밖에 성공요인 분석
4.경쟁기업 분석
5.신문 사례
6.코카콜라의 비젼
1)존 펨버턴
2)기업의 연혁
2.코카콜라 마케팅 분석
1)4P분석
2)시장 세분화
3)swot분석
3.성공요인 분석
1)스포츠 마케팅
2)TV마케팅
3)그밖에 성공요인 분석
4.경쟁기업 분석
5.신문 사례
6.코카콜라의 비젼
본문내용
배급하고 이것
이 미국의 하나의 상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 참고 http://blog.naver.com/webmann?Redirect=Log&logNo=120000491661
www.cocacola.co.kr
http://blog.daum.net/yhchung1st/1325164)
4.경쟁업체 분석(펩시 콜라)
코카콜라
펩시콜라
브랜드 가치
431억 달러 1위
239억달러 19위
색
빨간색(열정과 환희 상징)
파란색(젊음을 상징)
가격(1.5L기준)
1350원
1000원
아이콘
코카콜라 빨간 원형아이콘
태극무늬
서체
부드러운 곡선 로고체 사용
강한 서체 사용
마케팅 활동
스포츠 마케팅,TV마케팅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
스낵 산업, 레스토랑 산업
위주 유통과 함께 마케팅
스포츠 음료 부문
파워웨이드(게토레이 인수
이사회 반대로 실패)
게토레이 인수(미국시장 80% 점유)
목표
전 연령층을 겨냥한 사업
젊은 연령층을 겨냥한 사업
유통업체
(주)한국 코카콜라
롯데칠성
슬로건
신선한 젊음과 즐거움
사는 맛 을 느껴요.
광고캐릭터
산타 클로스, 북극곰
(현재는 연예인을통해 광고)
펩시맨 탄생
브리티니 스피어스 광고
☞브랜드 가치에서는 다른 어떤 산업보다 코카콜라가 우선 이지만, 현재 매출액 판매액
수준에서는 펩시콜라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코카콜라의 상대적으로 약간 비싼 가격을
펩시 콜라는 잘 파고들어 가격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고 스포츠 음료 부문에서도
코카콜라가 인수하지 않은 게토레이를 인수하여 현재 스포츠음료 업계에서 선두로
자리 잡게 되었다. 또한 코카콜라는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사업을 벌이고 있지만,
펩시콜라는 젊음의 상징인 파란색을 활용하여 젊은 연령층을 대상으로 사업을 벌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펩시 콜라는 태극무늬라는 아이콘의 사용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군 납품업체도 펩시콜라가 태극무늬 상징이라 콜라 부문에서는 도
맡아 오고 있다. 또한 시장또한 소득의 증대 외식문화의 발달로 인해 시장을 중점적으로
스낵산업과 패밀리 레스토랑을 위주로 제품을 홍보 납품을 하고 있다. 그리고 코카콜라 는 80%가 탄산 음료 매출액인 반면 펩시 콜라는 탄산 매출액이 20%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웰빙 시대에 발맞추어 일찍이 건강음료 시장에 코카콜라보다 먼저 뛰어들어
현재 콜라 부문을 놓고 보자면 코카콜라가 우선 이지만, 총 음료 매출액을 보자면, 펩시
가 코카콜라를 앞질렀다고 조심스레 예상을 할수 있다.
(참고 http://blog.naver.com/hyogoncap?Redirect=Log&logNo=70015730206
http://blog.joins.com/media/folderlistslide.asp?uid=olive88&folder=2&list_id=7529777
http://blog.naver.com/parapara0?Redirect=Log&logNo=50016405104
6.각 국가별 코카콜라 사례
인도에 물도둑 코카콜라 피해사례
인도에서는 생존을 위해 목숨을 걸고 코카콜라에 저항하는 사람들이 있다. 인도 남부 플라 치마다 마을은 대표적인 코카콜라 저항지이다. 이곳에서 코카콜라가 지하관정 여덟 개를 뚫어 지하수를 마구 퍼올린 결과, 땅이 황폐해지면서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다. 논밭이 쩍 쩍 갈라지고, 푸른 잎의 야자수는 시들어가고 있다. 주민들은 코카콜라 공장이 날마다 100만 리터나 되는 지하수를 훔쳐가고 있다고 주장한다. 100만 리터면 2만 명이 하루 동안 생활할 수 있는 양이다. 마을주민들에게 코카콜라는 엄청난 물 도둑인 셈이다. 1998년 코카콜라 공장이 들어선 뒤로 마을 부녀자들은 매일 5킬로미터나 떨어진 다른 마 을까지 물을 길으러 다녀야 했다. 물 부족은 말할 것도 없고 코카콜라 공장에서 나온 오염 때문에 모든 우물이 음용수로 마시기에 부적합하다는 결과까지 나왔다. 마을 사람들을 더 욱 화나게 한 것은 코카콜라사에서 코카콜라를 만들고 난 찌꺼기를 농부들에게 퇴비 명목 으로 제공했는데 그 찌꺼기 속에서 납과 카드뮴과 같은 독성물질이 나온 것이다. 약 2천명 의 시위대가 코카콜라 공장으로 몰려가 공장폐쇄를 요구했고, 코카콜라사를 상대로 지하수 를 둘러싼 소송을 시작했다. 결국 2003년 12월 케랄라주 고등법원에서는 코카콜라가 생산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의 공동재산인 지하수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물을 조달해 야 한다고 판결 내렸다. 하지만 여전히 코카콜라사는 케랄라 주정부를 상대로 물 부족은 가뭄 때문이라고 항변하고 있다.
(자료 출저: 이유진 녹색연합정책 협력실 코카콜라에 저항하는 사람들)
중국의 전통차 문화를 무너뜨린 코카콜라의 등장
중국인들의 소비 형태와 관련 흥미 있는 것은 코카콜라 (Coca-Cola)의 중국 공략에 관한 이야기이다. 코카콜라사는 지금까지 중국에 10억 달러를 투자, 중국 전역에 23개의 병입 (甁入) 공장과 28개의 깡통입(罐入) 공장을 지어 놓았다. 1986년 코카콜라의 중국 내 판매 량은 400만 상자를 넘지 못했다. 그러나 작년 코카콜라의 중국 내 판매량은 무려 4억 5000만 상자라는 경이적인 수치를 기록했다.
중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신문 중의 하나인「북경청년보(北京靑年報)」의 지난 11월 14일 자 보도에 따르면, 코카콜라사 측은 앞으로 1억 5000만 달러를 더 투자. 앞으로 5년 내에 11개의 병입 공장을 더 지을 계획이다. 이 신문은 코카콜라사의 성공에는 \'현지화 전략\' 이 가장 큰 요인이며, 코카콜라사는 현재 중국 내에서 고용하고 있는 1만 5000명의 종업 원과 간부직원 모두를 중국인으로만 채용하는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구사해서 경쟁사인 펩 시콜라(Pepsi-Cola)를 따돌렸다.
현재 중국 내에서 팔리고 있는 코카콜라는 중국인들의 입맛에 맞는 것으로 개발된 것이며, 중국인들의 입맛에 맞는 코카콜라 개발에는 \'전 종업원의 중국인화\'가 성공요인인 것으로 분석된다는 것이다.
코카콜라가 자신들의 상표를 \'커코우컬러(可口可樂)\' 라는 멋진 발음과 멋진 뜻을 가진 이 름으로 만들어 낸 것은 이미 알려진 이야기지만, 자신들의 또 하나 성공적 브랜드인 \'스프 라이트(Sprite)\'에는 \'쉬에
이 미국의 하나의 상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 참고 http://blog.naver.com/webmann?Redirect=Log&logNo=120000491661
www.cocacola.co.kr
http://blog.daum.net/yhchung1st/1325164)
4.경쟁업체 분석(펩시 콜라)
코카콜라
펩시콜라
브랜드 가치
431억 달러 1위
239억달러 19위
색
빨간색(열정과 환희 상징)
파란색(젊음을 상징)
가격(1.5L기준)
1350원
1000원
아이콘
코카콜라 빨간 원형아이콘
태극무늬
서체
부드러운 곡선 로고체 사용
강한 서체 사용
마케팅 활동
스포츠 마케팅,TV마케팅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
스낵 산업, 레스토랑 산업
위주 유통과 함께 마케팅
스포츠 음료 부문
파워웨이드(게토레이 인수
이사회 반대로 실패)
게토레이 인수(미국시장 80% 점유)
목표
전 연령층을 겨냥한 사업
젊은 연령층을 겨냥한 사업
유통업체
(주)한국 코카콜라
롯데칠성
슬로건
신선한 젊음과 즐거움
사는 맛 을 느껴요.
광고캐릭터
산타 클로스, 북극곰
(현재는 연예인을통해 광고)
펩시맨 탄생
브리티니 스피어스 광고
☞브랜드 가치에서는 다른 어떤 산업보다 코카콜라가 우선 이지만, 현재 매출액 판매액
수준에서는 펩시콜라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코카콜라의 상대적으로 약간 비싼 가격을
펩시 콜라는 잘 파고들어 가격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고 스포츠 음료 부문에서도
코카콜라가 인수하지 않은 게토레이를 인수하여 현재 스포츠음료 업계에서 선두로
자리 잡게 되었다. 또한 코카콜라는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사업을 벌이고 있지만,
펩시콜라는 젊음의 상징인 파란색을 활용하여 젊은 연령층을 대상으로 사업을 벌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펩시 콜라는 태극무늬라는 아이콘의 사용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군 납품업체도 펩시콜라가 태극무늬 상징이라 콜라 부문에서는 도
맡아 오고 있다. 또한 시장또한 소득의 증대 외식문화의 발달로 인해 시장을 중점적으로
스낵산업과 패밀리 레스토랑을 위주로 제품을 홍보 납품을 하고 있다. 그리고 코카콜라 는 80%가 탄산 음료 매출액인 반면 펩시 콜라는 탄산 매출액이 20%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웰빙 시대에 발맞추어 일찍이 건강음료 시장에 코카콜라보다 먼저 뛰어들어
현재 콜라 부문을 놓고 보자면 코카콜라가 우선 이지만, 총 음료 매출액을 보자면, 펩시
가 코카콜라를 앞질렀다고 조심스레 예상을 할수 있다.
(참고 http://blog.naver.com/hyogoncap?Redirect=Log&logNo=70015730206
http://blog.joins.com/media/folderlistslide.asp?uid=olive88&folder=2&list_id=7529777
http://blog.naver.com/parapara0?Redirect=Log&logNo=50016405104
6.각 국가별 코카콜라 사례
인도에 물도둑 코카콜라 피해사례
인도에서는 생존을 위해 목숨을 걸고 코카콜라에 저항하는 사람들이 있다. 인도 남부 플라 치마다 마을은 대표적인 코카콜라 저항지이다. 이곳에서 코카콜라가 지하관정 여덟 개를 뚫어 지하수를 마구 퍼올린 결과, 땅이 황폐해지면서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다. 논밭이 쩍 쩍 갈라지고, 푸른 잎의 야자수는 시들어가고 있다. 주민들은 코카콜라 공장이 날마다 100만 리터나 되는 지하수를 훔쳐가고 있다고 주장한다. 100만 리터면 2만 명이 하루 동안 생활할 수 있는 양이다. 마을주민들에게 코카콜라는 엄청난 물 도둑인 셈이다. 1998년 코카콜라 공장이 들어선 뒤로 마을 부녀자들은 매일 5킬로미터나 떨어진 다른 마 을까지 물을 길으러 다녀야 했다. 물 부족은 말할 것도 없고 코카콜라 공장에서 나온 오염 때문에 모든 우물이 음용수로 마시기에 부적합하다는 결과까지 나왔다. 마을 사람들을 더 욱 화나게 한 것은 코카콜라사에서 코카콜라를 만들고 난 찌꺼기를 농부들에게 퇴비 명목 으로 제공했는데 그 찌꺼기 속에서 납과 카드뮴과 같은 독성물질이 나온 것이다. 약 2천명 의 시위대가 코카콜라 공장으로 몰려가 공장폐쇄를 요구했고, 코카콜라사를 상대로 지하수 를 둘러싼 소송을 시작했다. 결국 2003년 12월 케랄라주 고등법원에서는 코카콜라가 생산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의 공동재산인 지하수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물을 조달해 야 한다고 판결 내렸다. 하지만 여전히 코카콜라사는 케랄라 주정부를 상대로 물 부족은 가뭄 때문이라고 항변하고 있다.
(자료 출저: 이유진 녹색연합정책 협력실 코카콜라에 저항하는 사람들)
중국의 전통차 문화를 무너뜨린 코카콜라의 등장
중국인들의 소비 형태와 관련 흥미 있는 것은 코카콜라 (Coca-Cola)의 중국 공략에 관한 이야기이다. 코카콜라사는 지금까지 중국에 10억 달러를 투자, 중국 전역에 23개의 병입 (甁入) 공장과 28개의 깡통입(罐入) 공장을 지어 놓았다. 1986년 코카콜라의 중국 내 판매 량은 400만 상자를 넘지 못했다. 그러나 작년 코카콜라의 중국 내 판매량은 무려 4억 5000만 상자라는 경이적인 수치를 기록했다.
중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신문 중의 하나인「북경청년보(北京靑年報)」의 지난 11월 14일 자 보도에 따르면, 코카콜라사 측은 앞으로 1억 5000만 달러를 더 투자. 앞으로 5년 내에 11개의 병입 공장을 더 지을 계획이다. 이 신문은 코카콜라사의 성공에는 \'현지화 전략\' 이 가장 큰 요인이며, 코카콜라사는 현재 중국 내에서 고용하고 있는 1만 5000명의 종업 원과 간부직원 모두를 중국인으로만 채용하는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구사해서 경쟁사인 펩 시콜라(Pepsi-Cola)를 따돌렸다.
현재 중국 내에서 팔리고 있는 코카콜라는 중국인들의 입맛에 맞는 것으로 개발된 것이며, 중국인들의 입맛에 맞는 코카콜라 개발에는 \'전 종업원의 중국인화\'가 성공요인인 것으로 분석된다는 것이다.
코카콜라가 자신들의 상표를 \'커코우컬러(可口可樂)\' 라는 멋진 발음과 멋진 뜻을 가진 이 름으로 만들어 낸 것은 이미 알려진 이야기지만, 자신들의 또 하나 성공적 브랜드인 \'스프 라이트(Sprite)\'에는 \'쉬에
키워드
추천자료
코카콜라 기업 분석-비즈니스 및 기본 원칙, 경영전략 및 향후 경영정책까지 완전 분석
코카콜라의 국제적 마케팅의 성공 고찰
코카콜라와 펩시콜라의 국제 경영전략비교분석
코카콜라의 경영전략 분석(광고전략)
코카콜라의 브랜드 가치 극대화 전략 분석
코카콜라 경영분석(A+레포트)
코카콜라의 단 하나의 적인 펩시의 마케팅전략
[전략경영] 유연생산시스템 사례분석(베네통,코카콜라)
DAY의 주장 시장주도전략 5A 코카콜라와 펩시 비교분석
코카콜라와 펩시콜라의 swot분석 및 경쟁 분석
Market Fluctuations 생수 시장 - 코카콜라,비타민워터,글라소 비타민워터,생수시장,마케팅.P...
코카콜라 의 기업분석에 대하여
코카콜라의 글로벌 경영전략 분석[Global Business Strategy of Coca-cola]
코카콜라 STP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