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구개음화란
Ⅱ. 본론
1) 구개음화의 종류
1. 음운현상으로서의 구개음화
1.1. 역행동화로서의 구개음화
1.1.1. ㄷ구개음화
1.1.2. ㄱ구개음화
1.1.3. ㅎ구개음화
1.2. 순행동화로서의 구개음화
1.2.1. 구개모음화
2. 음성현상으로서의 구개음화
2.1. ㄴ구개음화
2.2. ㄹ구개음화
2.3. ㅅ구개음화
2) 구개음화의 발생원인
1. 중세국어시기 ‘ㅈ’의 조음위치
1.1. 경구개음이 아닌 근거
1.2. 치경음인 근거
2. 치음의 구개음화
2.1. ㅈ구개음화
2.2. 치음 내에서의 변화
3) 구개음화의 발생과 전파
1. 구개음화 발생 시기
1.1. 발생 시기에 대한 선행 연구
1.2.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
2. 구개음화의 전파 과정
2.1. 남부 방언의 구개음화
2.2. 중부 방언의 구개음화
2.3. 북부 방언의 구개음화
4) 구개음화가 다른 음운현상에 미친 영향
1. 비구개음화와 역구개음화
1.1 비구개음화
1.2. 서북 방언의 비구개음화
1.3. 역구개음화
2. 구개음화 관련 현상
2.1 ㄴ의 탈락과 ㄴ의 첨가
2.1.1. ㄴ의 탈락(두음법칙)
2.1.2. ㄴ의 첨가
2.2 반모음 ㅣ의 첨가와 탈락
2.2.1. 반모음 ㅣ의 첨가
2.2.2. 반모음 ㅣ의 탈락
Ⅲ. 마치며
※ 참고문헌
Ⅱ. 본론
1) 구개음화의 종류
1. 음운현상으로서의 구개음화
1.1. 역행동화로서의 구개음화
1.1.1. ㄷ구개음화
1.1.2. ㄱ구개음화
1.1.3. ㅎ구개음화
1.2. 순행동화로서의 구개음화
1.2.1. 구개모음화
2. 음성현상으로서의 구개음화
2.1. ㄴ구개음화
2.2. ㄹ구개음화
2.3. ㅅ구개음화
2) 구개음화의 발생원인
1. 중세국어시기 ‘ㅈ’의 조음위치
1.1. 경구개음이 아닌 근거
1.2. 치경음인 근거
2. 치음의 구개음화
2.1. ㅈ구개음화
2.2. 치음 내에서의 변화
3) 구개음화의 발생과 전파
1. 구개음화 발생 시기
1.1. 발생 시기에 대한 선행 연구
1.2.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
2. 구개음화의 전파 과정
2.1. 남부 방언의 구개음화
2.2. 중부 방언의 구개음화
2.3. 북부 방언의 구개음화
4) 구개음화가 다른 음운현상에 미친 영향
1. 비구개음화와 역구개음화
1.1 비구개음화
1.2. 서북 방언의 비구개음화
1.3. 역구개음화
2. 구개음화 관련 현상
2.1 ㄴ의 탈락과 ㄴ의 첨가
2.1.1. ㄴ의 탈락(두음법칙)
2.1.2. ㄴ의 첨가
2.2 반모음 ㅣ의 첨가와 탈락
2.2.1. 반모음 ㅣ의 첨가
2.2.2. 반모음 ㅣ의 탈락
Ⅲ. 마치며
※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개음화의 발생과 전파
<목차>
Ⅰ. 들어가며- 구개음화란
Ⅱ. 본론
1) 구개음화의 종류
1. 음운현상으로서의 구개음화
1.1. 역행동화로서의 구개음화
1.1.1. ㄷ구개음화
1.1.2. ㄱ구개음화
1.1.3. ㅎ구개음화
1.2. 순행동화로서의 구개음화
1.2.1. 구개모음화
2. 음성현상으로서의 구개음화
2.1. ㄴ구개음화
2.2. ㄹ구개음화
2.3. ㅅ구개음화
2) 구개음화의 발생원인
1. 중세국어시기 ‘ㅈ’의 조음위치
1.1. 경구개음이 아닌 근거
1.2. 치경음인 근거
2. 치음의 구개음화
2.1. ㅈ구개음화
2.2. 치음 내에서의 변화
3) 구개음화의 발생과 전파
1. 구개음화 발생 시기
1.1. 발생 시기에 대한 선행 연구
1.2.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
2. 구개음화의 전파 과정
2.1. 남부 방언의 구개음화
2.2. 중부 방언의 구개음화
2.3. 북부 방언의 구개음화
4) 구개음화가 다른 음운현상에 미친 영향
1. 비구개음화와 역구개음화
1.1 비구개음화
1.2. 서북 방언의 비구개음화
1.3. 역구개음화
2. 구개음화 관련 현상
2.1 ㄴ의 탈락과 ㄴ의 첨가
2.1.1. ㄴ의 탈락(두음법칙)
2.1.2. ㄴ의 첨가
2.2 반모음 ㅣ의 첨가와 탈락
2.2.1. 반모음 ㅣ의 첨가
2.2.2. 반모음 ㅣ의 탈락
Ⅲ. 마치며
※ 참고문헌
Ⅰ. 들어가며- 구개음화란
구개음화(palatalization)는 자음과 모음이 결합할 때 모음이 경구개에 가까운 ‘i’ 모음일 경우 자음이 원래의 위치보다 경구개 쪽으로 접근하여 발음되는 현상이다. 이것은 ‘코’와 ‘키’의 발음에서 보이는 미세한 음성적 차이를 말하기도 하고, ‘같이’가 원래의 [가티]의 발음이 아니라 [가치]로 발음되는 음운 층위에서의 변화를 말하기도 한다. ‘코’나 ‘키’의 경우, ‘키’의 ‘ㅋ’이 원래의 연구개 위치보다 앞으로 이동하여 경구개에 가까운 위치에서 발음되는데, 이것은 발음 구조의 생리적 현상이므로 모든 언어에서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의 ‘key’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 단어는 첫 자음 [k]는 ‘cool’의 첫 자음 [k]보다 더 앞에서 발음된다. 음운론적으로 좀 더 큰 소리의 변화는 ‘같이’의 경우에 일어나는 소리의 큰 변동이다. ‘ㅌ’ 소리가 ‘ㅊ’ 소리로 변하는 것은 두 개의 다른 음속 사이의 변화이다. 치경음 ‘ㅌ’이 원래의 위치보다 뒤의 경구개에서 발음되어 새로운 소리 [ㅊ]으로 발음되는 이 현상은 우리말에서 의무적이다. ‘밭이’, ‘솥이’ 등의 발음도 마찬가지이다. ‘기름’이 [지름]으로 발음되는 것도 구개음화 현상이다. 강범모, 『언어-풀어쓴 언어학 개론』,한국문화사, 2010, p.90~91.
국어에서 구개음화의 정의를 좁게 설정하면 “구개음이 아닌 ㄷ,ㅌ,ㄸ이 모음 ‘ㅣ’나 반모음 ‘ㅣ(y)’ 앞에서 구개음 ㅈ,ㅊ,ㅉ으로 변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국어의 구개음화를 광의로서 정의하면 “국어에서 구개음이 아닌 음소가 특정 환경이나 원인에 의하여 구개음으로 변하는 현상”이라고 하여, 훨씬 더 많은 언어적 현상들을 포괄할 수 있다.
Ⅱ. 본론
1) 구개음화의 종류 김주필, “구개음화”, 『새국어생활』 제 9권 제2호, 1999 참고.
구개음화의 종류는 구개음화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그 범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개음화를 넓은 의미로 정의하면 더 많은 언어적 현상을 포괄할 수 있는데, 광의에서 바라본 국어의 구개음화 현상은 크게 음운현상으로서의 구개음화와 음성현상으로서의 구개음화로 나눌 수 있다.
1. 음운현상으로서의 구개음화
김주필(1999)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구개음화는 음운현상으로서의 구개음화를 말하는데, 국어에서 두 음소가 결합될 때 구개음이 아닌 어떤 한 음소가 ‘ㅣ’나 반모음 ‘ㅣ’앞에서 구개음 음소(ㅈ,ㅉ,ㅊ)로 바뀌는 역행동화 현상을 말한다. 그러나 최전승(1986)에서는 순행동화 현상인 구개모음화까지도 구개음화의 범주에서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음운현상으로서의 구개음화를 ‘국어에서 두 음소가 결합될 때 구개성을 가지지 않은 한 음소가 구개성을 가진 음소에 의해 구개음으로 변하는 모든 음운현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고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1.1. 역행동화로서의 구개음화 일반적인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동화주 ‘ㅣ’에 의해 선행하는 피동화음(비구개음)이 구개음으로 변하는 현상이다. 중부 방언을 중심으로 제정된 표준어에서는 ㄷ계열의 구개음화 현상만 나타나고 있어 ㄷ구개음화가 구개음화 논의의 중심이 되어 왔으나 중부를 제외한 기타 방언에서는 ㄱ계열과 ㅎ의 구개음화가 거의 다 일어나고 있으므로 이도 포함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1.1.1. ㄷ구개음화
현대국어에서 ㄷ구개음화는 용언의 어간이나 체언의 마지막 자음 ‘ㄷ, ㅌ, ㄸ’이 ‘ㅣ’나 반모음 ‘ㅣ’로 시작하는 접사 앞에서 각각 ‘ㅈ, ㅊ, ㅉ’으로 바뀌어 실현되는 현상을 말한다. ㄷ구개음화의 예는 다음과 같다.
(1)팥이→[파티]→[파치], 밭이→[바티]→[바치], 볕이→[벼티]→[벼치]
해돋이→[해도디]→[해도지], 같이→[가티]→[가치], 붙이다→[부티다]→[부치다]
(2)밭이랑에 감자를 심었다. [반니랑]
어제 밭이랑 논을 샀다. [바치랑] (바티랑→바치랑)
위의 (1)의 예들은 모두 체언이나 용언 어간의 마지막 자음 ‘ㄷ, ㅌ’이 ‘ㅣ’로 시작하는 접사 앞에서 ‘ㅈ, ㅊ’으로 변화하는 경우이다. 한편, ‘밭이랑’에서는 ‘이랑’이 조사로 사용될 경우 구개음화가 일어나지만 합성어를 이루는 명사로서 사용될 때에는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고 ㄴ첨가 현상이 일어난다. 즉, 현대 국어에서 ㄷ구개음화 현상은 용언 어간이나 체언이 형식형태소와 결합할 때에만 나타나는 것이다. 반면, 통시적 관점에서 ㄷ구개음화 현상은 단어 내부의 음절 상에서도 나타났는데, ‘디다>지다’, ‘
<목차>
Ⅰ. 들어가며- 구개음화란
Ⅱ. 본론
1) 구개음화의 종류
1. 음운현상으로서의 구개음화
1.1. 역행동화로서의 구개음화
1.1.1. ㄷ구개음화
1.1.2. ㄱ구개음화
1.1.3. ㅎ구개음화
1.2. 순행동화로서의 구개음화
1.2.1. 구개모음화
2. 음성현상으로서의 구개음화
2.1. ㄴ구개음화
2.2. ㄹ구개음화
2.3. ㅅ구개음화
2) 구개음화의 발생원인
1. 중세국어시기 ‘ㅈ’의 조음위치
1.1. 경구개음이 아닌 근거
1.2. 치경음인 근거
2. 치음의 구개음화
2.1. ㅈ구개음화
2.2. 치음 내에서의 변화
3) 구개음화의 발생과 전파
1. 구개음화 발생 시기
1.1. 발생 시기에 대한 선행 연구
1.2.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
2. 구개음화의 전파 과정
2.1. 남부 방언의 구개음화
2.2. 중부 방언의 구개음화
2.3. 북부 방언의 구개음화
4) 구개음화가 다른 음운현상에 미친 영향
1. 비구개음화와 역구개음화
1.1 비구개음화
1.2. 서북 방언의 비구개음화
1.3. 역구개음화
2. 구개음화 관련 현상
2.1 ㄴ의 탈락과 ㄴ의 첨가
2.1.1. ㄴ의 탈락(두음법칙)
2.1.2. ㄴ의 첨가
2.2 반모음 ㅣ의 첨가와 탈락
2.2.1. 반모음 ㅣ의 첨가
2.2.2. 반모음 ㅣ의 탈락
Ⅲ. 마치며
※ 참고문헌
Ⅰ. 들어가며- 구개음화란
구개음화(palatalization)는 자음과 모음이 결합할 때 모음이 경구개에 가까운 ‘i’ 모음일 경우 자음이 원래의 위치보다 경구개 쪽으로 접근하여 발음되는 현상이다. 이것은 ‘코’와 ‘키’의 발음에서 보이는 미세한 음성적 차이를 말하기도 하고, ‘같이’가 원래의 [가티]의 발음이 아니라 [가치]로 발음되는 음운 층위에서의 변화를 말하기도 한다. ‘코’나 ‘키’의 경우, ‘키’의 ‘ㅋ’이 원래의 연구개 위치보다 앞으로 이동하여 경구개에 가까운 위치에서 발음되는데, 이것은 발음 구조의 생리적 현상이므로 모든 언어에서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의 ‘key’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 단어는 첫 자음 [k]는 ‘cool’의 첫 자음 [k]보다 더 앞에서 발음된다. 음운론적으로 좀 더 큰 소리의 변화는 ‘같이’의 경우에 일어나는 소리의 큰 변동이다. ‘ㅌ’ 소리가 ‘ㅊ’ 소리로 변하는 것은 두 개의 다른 음속 사이의 변화이다. 치경음 ‘ㅌ’이 원래의 위치보다 뒤의 경구개에서 발음되어 새로운 소리 [ㅊ]으로 발음되는 이 현상은 우리말에서 의무적이다. ‘밭이’, ‘솥이’ 등의 발음도 마찬가지이다. ‘기름’이 [지름]으로 발음되는 것도 구개음화 현상이다. 강범모, 『언어-풀어쓴 언어학 개론』,한국문화사, 2010, p.90~91.
국어에서 구개음화의 정의를 좁게 설정하면 “구개음이 아닌 ㄷ,ㅌ,ㄸ이 모음 ‘ㅣ’나 반모음 ‘ㅣ(y)’ 앞에서 구개음 ㅈ,ㅊ,ㅉ으로 변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국어의 구개음화를 광의로서 정의하면 “국어에서 구개음이 아닌 음소가 특정 환경이나 원인에 의하여 구개음으로 변하는 현상”이라고 하여, 훨씬 더 많은 언어적 현상들을 포괄할 수 있다.
Ⅱ. 본론
1) 구개음화의 종류 김주필, “구개음화”, 『새국어생활』 제 9권 제2호, 1999 참고.
구개음화의 종류는 구개음화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그 범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개음화를 넓은 의미로 정의하면 더 많은 언어적 현상을 포괄할 수 있는데, 광의에서 바라본 국어의 구개음화 현상은 크게 음운현상으로서의 구개음화와 음성현상으로서의 구개음화로 나눌 수 있다.
1. 음운현상으로서의 구개음화
김주필(1999)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구개음화는 음운현상으로서의 구개음화를 말하는데, 국어에서 두 음소가 결합될 때 구개음이 아닌 어떤 한 음소가 ‘ㅣ’나 반모음 ‘ㅣ’앞에서 구개음 음소(ㅈ,ㅉ,ㅊ)로 바뀌는 역행동화 현상을 말한다. 그러나 최전승(1986)에서는 순행동화 현상인 구개모음화까지도 구개음화의 범주에서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음운현상으로서의 구개음화를 ‘국어에서 두 음소가 결합될 때 구개성을 가지지 않은 한 음소가 구개성을 가진 음소에 의해 구개음으로 변하는 모든 음운현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고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1.1. 역행동화로서의 구개음화 일반적인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동화주 ‘ㅣ’에 의해 선행하는 피동화음(비구개음)이 구개음으로 변하는 현상이다. 중부 방언을 중심으로 제정된 표준어에서는 ㄷ계열의 구개음화 현상만 나타나고 있어 ㄷ구개음화가 구개음화 논의의 중심이 되어 왔으나 중부를 제외한 기타 방언에서는 ㄱ계열과 ㅎ의 구개음화가 거의 다 일어나고 있으므로 이도 포함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1.1.1. ㄷ구개음화
현대국어에서 ㄷ구개음화는 용언의 어간이나 체언의 마지막 자음 ‘ㄷ, ㅌ, ㄸ’이 ‘ㅣ’나 반모음 ‘ㅣ’로 시작하는 접사 앞에서 각각 ‘ㅈ, ㅊ, ㅉ’으로 바뀌어 실현되는 현상을 말한다. ㄷ구개음화의 예는 다음과 같다.
(1)팥이→[파티]→[파치], 밭이→[바티]→[바치], 볕이→[벼티]→[벼치]
해돋이→[해도디]→[해도지], 같이→[가티]→[가치], 붙이다→[부티다]→[부치다]
(2)밭이랑에 감자를 심었다. [반니랑]
어제 밭이랑 논을 샀다. [바치랑] (바티랑→바치랑)
위의 (1)의 예들은 모두 체언이나 용언 어간의 마지막 자음 ‘ㄷ, ㅌ’이 ‘ㅣ’로 시작하는 접사 앞에서 ‘ㅈ, ㅊ’으로 변화하는 경우이다. 한편, ‘밭이랑’에서는 ‘이랑’이 조사로 사용될 경우 구개음화가 일어나지만 합성어를 이루는 명사로서 사용될 때에는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고 ㄴ첨가 현상이 일어난다. 즉, 현대 국어에서 ㄷ구개음화 현상은 용언 어간이나 체언이 형식형태소와 결합할 때에만 나타나는 것이다. 반면, 통시적 관점에서 ㄷ구개음화 현상은 단어 내부의 음절 상에서도 나타났는데, ‘디다>지다’, ‘
키워드
추천자료
전염병 관리현항
전염병과 에이즈에 대한 방안과 나의 생각
전염병 관리
결장암케이스
전자파에 의한 전자장치의 오동작 사례 5가지 조사
전자기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가축의 유전적 질병에 대한 고찰
재료강도학 과제-파괴거동
[급성신부전증, 급성심근경색증, 급성신우신염, 급성위장염, 급성부비강염, 급성뇌졸중, 급성...
[급성전염병, 소화기계전염병, 호흡기계전염병, 동물매개전염병, 절지동물매개전염병]급성전...
[만성전염병, 성병, 한센병(나병), 간염, 후천성면역결핍증, 결핵]만성전염병과 성병, 만성전...
전자파
쯔쯔가무시 [Tsutsugamushi]
[언어변화 이론] c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