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Asthma Case Study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 Asthma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방법·························3
 문헌 고찰·············································3

Ⅱ. 본론
 자료 수집·············································6
 간호 과정············································13

Ⅲ. 결론
 소감·················································15
 참고 문헌············································15
 부록·················································16

본문내용

의의
대상자의 결과
pH
7.35~7.45
PaCO₂
35~45mmHg
PaO₂
80~100mmHg
HCO₃
22~26mEq/L
SiO₂
(O₂saturation)
96~100%
※ 종합분석 및 의의: 특별한 임상소견이 발견되지 않음
6) 방사선 검사(X-RAY, IVP, PET)
항 목
검사일
임상적 의의
대상자의 결과
Chest PA
2013. 10. 05
pneumonia
pneumonic infiltration on Rt
Chest PA
2013. 10. 07
R/O bronchilitis
R/O pneumonia
increased bvm
※ 종합분석 및 의의: R/O쪽으로 폐렴균 감염으로 pneumonia 진단
7) 내시경, 초음파 검사 및 기타검사
항 목
검사일
임상적 의의
대상자의 결과
Ig E MAST
2013. 10. 05
negative (-)
class 1
IM-OB(Stool)
2013. 10. 05
non infection (-)
no salmonella & shigella isolated
DT-OB(Throat swab)
2013. 10. 05
negative (-)
Gram (-)
※ 종합분석 및 의의: 특별한 임상소견이 발견되지 않음
간호 과정 1
사 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1. “아아아........” (울음, 보챔 소리)
2. 보호자가 아이의 보챔이 늘었 다고 함
1. WBC : 10,970개/㎣
1. ESR : 77mm/hr
2. V/S : 136(P), 38.4(발열 시 T), 26(RR)
2. 오랜 시간 38℃대에 머무름
3. 발한으로 옷이 땀으로 젖음
간호진단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Hyperthermia, related in Infection
간호목표
환아의 체온을 정상 범위로 유지한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1. 매 시간 환아의 체온과 상태를 측정하고 관찰한다.
2.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수분을 공급해준다.
3. 구강상태를 관찰하고 필요시 구강간호를 실시한다.
4. 보호자에게 미온수 요법을 교육하여 시행하도록 한다.
5. 환아가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6. 약 처방 시 투여 후 환아의 반응을 관찰한다.
간호중재
1. 매 1 시간마다 환아를 찾아가 V/S 측정하였다.
1. 환아의 피부색과 온도를 확인함으로써 완화되는지 확인하였다.
2. 고체온과 발한으로 인한 수분손실을 줄이기 위해 하루 2. 1L 정도 수분공급을 하였다.
3. 입마름과 구강점막의 마름이 없도록 수분 공급과 식염수3. 를 묻힌 거즈로 입 주변을 닦아주었다.
4. 미온수 요법 교육 : 27~34℃ 의 미온수로 목욕
증발기전을 통해 열소실이 발생한다. 찬물 사용 시 혈관수축, 떨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온도 유지
5. 신체활동을 줄여 휴식을 취하도록 했다.
6. 맥시부펜 등 약물 투여 후 체온이 떨어지는 것을 수시로 확인하였다.
간호평가
환아의 체온이 38.4℃(10.7) → 38.2℃(10.8) → 37.6℃(10.8) → 37.2℃(10.9) 로 정상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감소하였다. 환아의 불편감, 통증 호소가 줄어들었고 표정이 훨씬 밝아져있고 편안해보였다. 또한 환자의 보호자가 미온수 요법에 대해 숙지하여 자가 care가 가능하게끔 되었다.
간호 과정 2 - 부록(P 17)에 낙상사정도구 첨부
사 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1. “아야... 아야...”
: 넘어지거나 무언가에 박을 때)
2. “아아~ 아니~~(부정적인 거부)”
: 손잡고 걸으려하면 혼자 걷거나 뛰려함
1. 유아 신체발달(15개월) :
13개월부터 walking 기술이 발달.
걷고 뛰지만 균형감각과 조정감각이 증진되는 2~3세가 되기까지는 잘 넘어짐
2. 균형 감각(15개월) : 코너를 돌지 못하고 갑자기 정지하면 균형을 잃음
3. 자주 사이드레일을 잡고 일어서서 넘으려하거나, 걸을 때 뛰어다님
4.복도를 뛰어다닐 때 자주 넘어지 는 모습이 관찰됨.
5. 소아 낙상사정도구 : 4점(고위험군)
간호진단
운동장애(유아)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Risk for falls, related in Movement disorders(infants)
간호목표
환아의 낙상 위험성을 줄인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1. 낙상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요소들을 제거한다.
2. 낙상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환아 옆에는 항상 보호자나 2. 간호인이 함께 있고,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3. 가족이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도록 한다.
4. 가족에게 손상 위험 요인과 안전대책을 파악하게 한다.
5. 낙상 시 대처요령에 대해서 숙지하고 가족에게도 교육한다.
간호중재
1. 수시로 찾아가 사이드레일이 내려져 있는지 확인하였고, 1. 환아가 드나들 수 있는 병실·복도·욕실에 바닥 물기가
1. 있을 때에는 닦아내었다.
2. 환아가 활동할 때 바로 동행할 수 있도록 항시 keep했고, 2. 보호자가 부재할 시마다 환아와 함께 있었다.
3. 환아 아버지께 손상을 일으키지 않을 환경, call-bell 사용 3. 요령, 낙상 주의에 대해서 교육하고 수행토록 했다.
4. 사이드레일, 바닥 물기, 조명, 스트레스 등 위험 요인과 3. 안전대책에 대해 숙지하도록 했다.
5. 낙상 시 대처요령
1) v/s check 하며 vomiting 양상 계속 관찰
2) Dr notify 3) vomiting과 보챔이 심할 시에는
의사 처방에 따라 Brain CT 검사 수행
간호평가
간호중재를 통해 낙상사정도구 점수를 낮췄다면 더 좋았겠으나, 기능적인 부분보다 생리적, 환경적 요소가 고위험군에 속해 낙상사정도구 점수는 줄어들지 않았다. 하지만 환아의 아버지가 혼자 뛰어다니게 놔두는 것보다 항상 옆에 다니며 동행하였다. 그리고 사이드레일도 항상 올라가져 있는 것을 관찰하였고, 앞서 보다 환아의 낙상 위험성 정도가 줄어들었다고 판단된다.
간호 과정 3
간호진단
구토, 설사와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
Risk for impaired skin integrity, related in Vomiting, diarrhea
Ⅲ. 결론
소감
참고 문헌
1. 김미예 외,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총론(개정판), 수문사, 2010. 2 발행
2. 김금순 외, 일곱 번
  • 가격1,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4.12.09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38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