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임산부 간호
분만 1기 간호
분만 2기
분만 3기 간호
분만 4기 간호
2. 산욕부 간호
분만 1기 간호
분만 2기
분만 3기 간호
분만 4기 간호
2. 산욕부 간호
본문내용
부위를 만지고 다른 한 손은 골반강을 향해 그대로 평이하게 내려감
*태아 머리의 돌출부가 odk의 등과 같은 쪽에 있으면 태아 머리가 신전된 안면위이다. 돌출부가 태아의 등과 서로 반대로 위치하면 태아 머리가 굴곡된 두정위이다.
3. 태아심음 측정
-정상범위 : 120-160회/분
-분만 1기의 처음 단계에서는 30분에서 1시간마다 태아심음을 측정 기록, 경관개대가 5cm이상, 태아심음이 정상범주 내에 있으면 적어도 15분마다 측정
-임부가 진통 동안 양막 파열과 같은 상태 변화나 보행, 질검진, 진통제 투여나 다른 임상적으로 중요한 행위 후 더 자주 사정
-측정이유 : 분만과정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에 대한 태아측 반응은 태아심박동수 분석으로 파악
4. 질검진
태향
-측정방법 및 정상범위 : 질검진을 통해 선진부가 어느 부분인지 그리고 태향은 어떤지 알 수 있음
-두정위에서 아두의 굴곡이 잘 되어 있고 내회전이 끝난 상태라면 후두골이 치골결합 바로 밑에 위치하며 시상봉합이 골반 출구의 전후 경선과 일치된 것을 알 수 있음
-다이아몬드 모양의 대천문은 골반의 후방 미골 쪽에서 촉지됨
5. 이슬유무 확인
-이유 : 이슬은 선진부가 하강하면서 자궁경관의 미세혈관들이 압박 파열되어 나온 혈액이 임신 중에 자궁경부를 막고 있던 점액 마개와 섞여져 나오는 혈성 점액질을 말함
-만삭 임신 시 이슬이 나오면 분만이 이미 시작되었거나 24-48시간 이내에 분만이 시작될 것임을 의미
6. 파수유무 확인
Nitrazine test
인공파막술후의
간호
-이유 : 보통 파막된 지 24시간 이내에 분만이 시작됨
-양막 파열의 확진을 위한 여러 가지 검사방법이 있지만 질 내 산도 측정을 보편적으로 함
-방법과 해석 : 정상 질 분비물 PH는 4.5-5.5인 약산성, 반면 양수는 7.0-7.5로 약 알칼리성
-검사지에 질내 분비물을 묻혀 색상을 표준색상도표와 비교하여 판독
청-녹색: Ph 6.5
청-회색: Ph 7.0
짙은 청색: Ph 7.5
-태변 관찰, 태아심음
-양수의 냄새, 양, 색깔 관찰
-태아에게 산소결핍증이 일어나면 항문조임근이 이완되며 태변을 배설함
-이유 : 인공양막파막술은 자궁경관상태가 양호할 때 자궁수축을 자극하여 분만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 양막파막술은 제대탈출이나 아두압박, 제대압박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선진부가 진입되지 않았거나 둔위, 횡위 시에는 금기
-방법 : 시술자는 양막에 엘리스 또는 플라스틱 amniohook과 같은 날카로운 도구의 끝으로 양막을 파막함
7. 분만진행 사정
◎분만의 단계
-분만 제1기: 개대기, 규칙적인 자궁의 수축 시작부터 자궁경관의 완전 개대까지
-분만 제2기: 태아 만출기, 자궁경관의 완전 개대로부터 태아 만출까지
-분만 제3기: 태아 만출기, 태아만출부터 태반 만출까지
1) 분만 제1기
-잠재기 : 분만시작부터 경관개대가 좀 더 급속하게 일어나는 활동기가 시작되기 전까지, 규칙적인 자궁수축, 초산부 8.6시간 경산부 5.3시간
-활동기 : 다시 가속기, 최대경사기, 감속기의 3단계로 나뉨, 4-7cm로 개대, 초산부 개대 1.2cm/h, 경산부 1.5cm/h
-이행기 : 자궁경부 8-10cm로 개대, 태아의 하강 속도 빨라져 초산부 1cm/h, 경산부 2cm/h
-관계되는 힘은 자궁수축
(1) 경부거상
-경부가 점차 짧아지면서 얇아져서 마치 종이장처럼 들어 올려가는 과정
-거상은 이슬이 빠져 나오면서 자극되기도 하며, Braxto hicks(painless contractions)수축에 의해서도 자극이 됨
(2) 경부개대
-경부가 분만 1기 동안 증대되고 확장되어 아기가 통과할 정도로 넓게 개대되는 것을 말하며 완전개대란 10센티 정도의 개대로서 내진시 경관이 촉진되지 않게 됨
2) 분만 제2기
-초산부의 경우 50분에서 1시간, 경산부의 경우 15분에서 30분 정도가 소요
-분만 1기 말에 자궁수축은 2-3분 간격으로 빈도와 강도가 증가, 기간도 50-70초로 길어짐
(1) 팽륜
-선진부가 회음부를 압박하여 회음부가 볼록해지는 것
(2) 배림과 발로
-배림 : 아두가 양 음순 사이로 보이고 수축이 멎으면 안보임
-발로 : 자궁수축시에 밀려 나온 아두가 수축이 없어도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양 음순 사이로 노출, 발로 시에 회음절개술이 필요
3) 분만 제3기
(1) 태반 박리기 (태반이 박리되는 징후는 다음과 같음)
-자궁의 모양이 원반 모양에서 공모양으로 변화됨
-질로부터 소량의 혈액이 배출됨
-자궁저부가 일시적으로 제와부 이상으로 올라감
-질구에서 제대가 늘어지고 치골결합 상부를 약간 눌러도 당겨 올라가지 않음
(2) 태반 만출기
-태반의 가운데 부분이 박리되어 질구에 태아면이 먼저 보이며 태반 만출 전에는 혈액이 거의 외부로 나오지 않는 경우를 schultze(s), 태반의 박리가 가장자리부터 되어 출혈이 먼저 있은 후 질구에 모체면이 보이는 경우를 Duncan(d)라고 함
-약 500ml정도의 혈액 손실은 피할 수 없는 것이며, 출혈을 최소화 하도록 노력
8. 방광상태 확인
◎이유 : 방광팽만이 되면 산부들의 불편감도 커지고 분만과정을 방해하거나 산욕기에 소변정체의 원인이 됨. 따라서 분만 중에 적어도 3시간마다 배뇨를 권장
9. 장관상태 확인
◎이유 : 보통 비누물 관장을 하는데, 관장을 함으로써 대장을 비워 산도를 넓혀줌. 분만시 대변의 배출로 인한 감염 예방. 질출혈, 급속분만, 진입되지 않은 두정위, 횡위시에는 신중히 고려해야 함
10. V/S check
◎파악할 수 있는 내용
①맥박과 체온
-맥박 상승 : 탈수 또는 탈진
-체온 상승 : 감염
②호흡
-과다호흡 : 긴장된 상황 속에서 나타는데 놀라거나 불안과 연관, 알칼리증 초래, 산부는 어지러움증이나 사지가 쑤시는 느낌을 호소
③혈압
-자궁수축 시 5-10mmHg 정도 상승, 이완기에 회복
-고혈압 : 통증이나 불안
-저혈압 : 국소마취, 앙와위, 투약 또는 출혈
11. 영양섭취
상태
금식알리기
구강간호
◎금식 이유
-자궁수축으로 인해 위장이 비워지는 시간이 지연, 진통제와 진정제 등의 영향으로 더욱 지연됨
-활동기에는 많은 산부들이 오심 구토를 경험하기
*태아 머리의 돌출부가 odk의 등과 같은 쪽에 있으면 태아 머리가 신전된 안면위이다. 돌출부가 태아의 등과 서로 반대로 위치하면 태아 머리가 굴곡된 두정위이다.
3. 태아심음 측정
-정상범위 : 120-160회/분
-분만 1기의 처음 단계에서는 30분에서 1시간마다 태아심음을 측정 기록, 경관개대가 5cm이상, 태아심음이 정상범주 내에 있으면 적어도 15분마다 측정
-임부가 진통 동안 양막 파열과 같은 상태 변화나 보행, 질검진, 진통제 투여나 다른 임상적으로 중요한 행위 후 더 자주 사정
-측정이유 : 분만과정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에 대한 태아측 반응은 태아심박동수 분석으로 파악
4. 질검진
태향
-측정방법 및 정상범위 : 질검진을 통해 선진부가 어느 부분인지 그리고 태향은 어떤지 알 수 있음
-두정위에서 아두의 굴곡이 잘 되어 있고 내회전이 끝난 상태라면 후두골이 치골결합 바로 밑에 위치하며 시상봉합이 골반 출구의 전후 경선과 일치된 것을 알 수 있음
-다이아몬드 모양의 대천문은 골반의 후방 미골 쪽에서 촉지됨
5. 이슬유무 확인
-이유 : 이슬은 선진부가 하강하면서 자궁경관의 미세혈관들이 압박 파열되어 나온 혈액이 임신 중에 자궁경부를 막고 있던 점액 마개와 섞여져 나오는 혈성 점액질을 말함
-만삭 임신 시 이슬이 나오면 분만이 이미 시작되었거나 24-48시간 이내에 분만이 시작될 것임을 의미
6. 파수유무 확인
Nitrazine test
인공파막술후의
간호
-이유 : 보통 파막된 지 24시간 이내에 분만이 시작됨
-양막 파열의 확진을 위한 여러 가지 검사방법이 있지만 질 내 산도 측정을 보편적으로 함
-방법과 해석 : 정상 질 분비물 PH는 4.5-5.5인 약산성, 반면 양수는 7.0-7.5로 약 알칼리성
-검사지에 질내 분비물을 묻혀 색상을 표준색상도표와 비교하여 판독
청-녹색: Ph 6.5
청-회색: Ph 7.0
짙은 청색: Ph 7.5
-태변 관찰, 태아심음
-양수의 냄새, 양, 색깔 관찰
-태아에게 산소결핍증이 일어나면 항문조임근이 이완되며 태변을 배설함
-이유 : 인공양막파막술은 자궁경관상태가 양호할 때 자궁수축을 자극하여 분만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 양막파막술은 제대탈출이나 아두압박, 제대압박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선진부가 진입되지 않았거나 둔위, 횡위 시에는 금기
-방법 : 시술자는 양막에 엘리스 또는 플라스틱 amniohook과 같은 날카로운 도구의 끝으로 양막을 파막함
7. 분만진행 사정
◎분만의 단계
-분만 제1기: 개대기, 규칙적인 자궁의 수축 시작부터 자궁경관의 완전 개대까지
-분만 제2기: 태아 만출기, 자궁경관의 완전 개대로부터 태아 만출까지
-분만 제3기: 태아 만출기, 태아만출부터 태반 만출까지
1) 분만 제1기
-잠재기 : 분만시작부터 경관개대가 좀 더 급속하게 일어나는 활동기가 시작되기 전까지, 규칙적인 자궁수축, 초산부 8.6시간 경산부 5.3시간
-활동기 : 다시 가속기, 최대경사기, 감속기의 3단계로 나뉨, 4-7cm로 개대, 초산부 개대 1.2cm/h, 경산부 1.5cm/h
-이행기 : 자궁경부 8-10cm로 개대, 태아의 하강 속도 빨라져 초산부 1cm/h, 경산부 2cm/h
-관계되는 힘은 자궁수축
(1) 경부거상
-경부가 점차 짧아지면서 얇아져서 마치 종이장처럼 들어 올려가는 과정
-거상은 이슬이 빠져 나오면서 자극되기도 하며, Braxto hicks(painless contractions)수축에 의해서도 자극이 됨
(2) 경부개대
-경부가 분만 1기 동안 증대되고 확장되어 아기가 통과할 정도로 넓게 개대되는 것을 말하며 완전개대란 10센티 정도의 개대로서 내진시 경관이 촉진되지 않게 됨
2) 분만 제2기
-초산부의 경우 50분에서 1시간, 경산부의 경우 15분에서 30분 정도가 소요
-분만 1기 말에 자궁수축은 2-3분 간격으로 빈도와 강도가 증가, 기간도 50-70초로 길어짐
(1) 팽륜
-선진부가 회음부를 압박하여 회음부가 볼록해지는 것
(2) 배림과 발로
-배림 : 아두가 양 음순 사이로 보이고 수축이 멎으면 안보임
-발로 : 자궁수축시에 밀려 나온 아두가 수축이 없어도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양 음순 사이로 노출, 발로 시에 회음절개술이 필요
3) 분만 제3기
(1) 태반 박리기 (태반이 박리되는 징후는 다음과 같음)
-자궁의 모양이 원반 모양에서 공모양으로 변화됨
-질로부터 소량의 혈액이 배출됨
-자궁저부가 일시적으로 제와부 이상으로 올라감
-질구에서 제대가 늘어지고 치골결합 상부를 약간 눌러도 당겨 올라가지 않음
(2) 태반 만출기
-태반의 가운데 부분이 박리되어 질구에 태아면이 먼저 보이며 태반 만출 전에는 혈액이 거의 외부로 나오지 않는 경우를 schultze(s), 태반의 박리가 가장자리부터 되어 출혈이 먼저 있은 후 질구에 모체면이 보이는 경우를 Duncan(d)라고 함
-약 500ml정도의 혈액 손실은 피할 수 없는 것이며, 출혈을 최소화 하도록 노력
8. 방광상태 확인
◎이유 : 방광팽만이 되면 산부들의 불편감도 커지고 분만과정을 방해하거나 산욕기에 소변정체의 원인이 됨. 따라서 분만 중에 적어도 3시간마다 배뇨를 권장
9. 장관상태 확인
◎이유 : 보통 비누물 관장을 하는데, 관장을 함으로써 대장을 비워 산도를 넓혀줌. 분만시 대변의 배출로 인한 감염 예방. 질출혈, 급속분만, 진입되지 않은 두정위, 횡위시에는 신중히 고려해야 함
10. V/S check
◎파악할 수 있는 내용
①맥박과 체온
-맥박 상승 : 탈수 또는 탈진
-체온 상승 : 감염
②호흡
-과다호흡 : 긴장된 상황 속에서 나타는데 놀라거나 불안과 연관, 알칼리증 초래, 산부는 어지러움증이나 사지가 쑤시는 느낌을 호소
③혈압
-자궁수축 시 5-10mmHg 정도 상승, 이완기에 회복
-고혈압 : 통증이나 불안
-저혈압 : 국소마취, 앙와위, 투약 또는 출혈
11. 영양섭취
상태
금식알리기
구강간호
◎금식 이유
-자궁수축으로 인해 위장이 비워지는 시간이 지연, 진통제와 진정제 등의 영향으로 더욱 지연됨
-활동기에는 많은 산부들이 오심 구토를 경험하기
추천자료
모성간호학 실습 - PID case
모성간호학 레포트[나인먼쓰 감상] 임신관련 영화
모성간호학 자간전증 컨퍼런스
모성간호학 제왕절개C-sec산과병동 케이스
모성간호학 포상기태 case study
모성간호학 IIOC STUDY CASE - 자궁목 무력증 ; 자궁경부 무력증 ; 자궁경관 무력증 (Incompe...
<모성간호학 실습> 산부인과 케이스 스터디 : Adenomyosis(자궁선근증)
<모성간호학 실습> 산부인과 케이스 스터디 : Leiomyoma of uterus(자궁근종)
모성간호학 : 갑상선 기능장애
모성간호학 case study-자연분만(NSVD No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모성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모성간호학 난소양성종양 케이스 스터디 A+자료 과제 간호학과 실습
모성간호학 임신준비 요약
모성간호학 생식기와 구조 요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