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멘토링(Mentoring)이란 무엇인가?
Ⅲ 오늘날의 기업과 멘토링(Mentoring)
Ⅳ 국내기업의 멘토링 도입사례
사례1 KTF
사례2 삼성테크윈
사례3 동양기전
사례4 KOTRA
Ⅴ 멘토링 관련 최근 시사자료 소개
Ⅵ 앞으로 더욱 성공적인 멘토링을 위해
Ⅶ 결론
Ⅱ 멘토링(Mentoring)이란 무엇인가?
Ⅲ 오늘날의 기업과 멘토링(Mentoring)
Ⅳ 국내기업의 멘토링 도입사례
사례1 KTF
사례2 삼성테크윈
사례3 동양기전
사례4 KOTRA
Ⅴ 멘토링 관련 최근 시사자료 소개
Ⅵ 앞으로 더욱 성공적인 멘토링을 위해
Ⅶ 결론
본문내용
닿는 지식을 전달한다는 점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화여대는 16개 분야 멘토 162명과 멘티 611명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학생들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취업 멘토링’이라는 1학점짜리 과목까지 개설했다.
출신 학교 선후배간 멘토링만 활성화된 것은 아니다. 서울대 사범대 학생 300명은 지난
4월부터 인근 지역 초중고교생 1020명을 대상으로 학습지도와 문화활동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는 멘토링이 교육의 새 활력소가 될 것으로 보고 관련 사업을 적극 확대할 방침이다. 교육부 방과후 학교 기획팀의 김새봄 사무관은 “멘토링은 과외수업만 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생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시도될 수 있어 어떤 교육 프로그램보다 효과적”
이라며 “올해 시범 운영한 뒤 내년에는 예산을 충분히 확보해 전국의 일반 대학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상기 기자 kitting@kmib.co.kr
Ⅵ 앞으로 더욱 성공적인 멘토링 (Mentoring) 을 위해
1. 현장도입시 유의사항
멘토링을 도입하기위하여 준비 중인 회원에게 조급하게 서둘기 보다는 3개월 정도 여유를 갖고 아래 유의사항을 점검하면서 추진하기 바란다.
1)멘토링을 도입하려면 기업에서 추진자의 교육기간을 포함하여 최소 3개월은 준비기간으 로 삼으라.
2)멘토링을 프로젝트 개념으로 도입하도록 하고 TF Team으로 추진한다.
3)조직에서 다방면에서 특출한 멘토를 바로 찾기는 어렵다. 먼저 분명한 목표설정을 하고 그 목표에 맞는 멘토, 멘티선정을 하는 것이 좋다.
4)조직에서 멘토/멘티를 너무 Push하지 말고 멘토가 자생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멘토 교 육을 필히 시키고 조직에서는 지원한다는 생각을 가져야한다.
5)종합평가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추진팀, 멘토, 멘티, 모니터에게 종합평가내용을 사전에 알게 함으로써 멘토링 활동에서 책임감과 몰입도를 높이도록 한다.
2. 현장도입 5가지 조건
다음으로 실제 현장에서 도입 방법으로 필수적인 5가지 조건을 먼저 요약해서 소개한다. 전통적 멘토링과 새로운 멘토링과 구분하는 것은 바로 5가지 조건을 구비하느냐 그렇지 않고 그냥 도입하느냐로 구분한다.
1)먼저 멘토링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신입사원 정착율 향상\" \"업무 숙달율 향상\" \"경력개발촉진\"\"핵심인재개발\" \" 노사화합촉진\" \"영업능력향상\" 등이다.
2)멘토링 활동 기간을 설정하는 것이다.
-목표별로 3개월, 6개월, 9개월, 12개월 24개월 등이다.
3)멘토링 활동 시작일과 종료일을 확정짓는 것이다.
-6개월일 경우 시작일2003.7.1일 종료일 2003,12,31일로 정하면 된다.
4)멘티그룹 선정기준을 정한다.
-대부분 조직에서 멘토부터 선정하는데 그 보다는 목표에 맞게 멘티 기준부터 선정하여 멘티 수에 맞게 멘토 수를 선발하고 또한 멘티 특성에 맞는 멘토를 나중에 선발해야 생 산적이며 합리적이기도 하다.
5) 맨 나중에 멘토 그룹 선정기준을 정한다.
-멘토는 목표가 설정되고 멘티그룹 선정기준의 확정 후에 멘티에 맞는 멘토를 선정하는 것이 멘티중심의 멘토링이라는 기본 취지에 부합한다. 멘토를 먼저 선정해놓고 멘티 수 가 적다든지 멘티의 특성에 맞지 않든지 하면 결국 멘토가 실업자 될 가능성이 많다.
Ⅶ 결론
세계화, 국제화에 따른 경쟁 시장의 확대로 현대사회의 기업들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조직 관리를 중요하게 여기게 되었고, 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우수한 인적자원을 확보하고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수한 인재를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시행하고, 그에 맞는 조직 문화를 구축해 나가는 것을 여러 기업에서 찾아볼 수 있다.
현재 회사에 갓 입사하는 신입사원들은 과거의 신입사원들과는 많이 다르다. 겉으로는 순종하지만 다양한 생각을 감추고 있으며 때로는 인터넷상의 일기를 통해서 대담한 자기주장을 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신입사원들은 자신이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강하며 인정받았다고 생각하면 뛰어난 힘을 발휘하지만, 정작 본인의 기분이나 타인의 평가만으로 곧장 시들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더 심한 경우에는 조직에 대한 실망을 느껴 떠나는 경우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따뜻한 시선과 공감」으로 이들을 돌보고 육성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신입사원은 업무 시간의 대부분을 함께 보내는 부서의 동료 등 다른 구성원들과 잘 융화될 수 있어야 조직에 정을 붙이고 정착할 수 있다. 이를 돕기 위한 방법으로 멘토링 제도를 도입하는 것은 좋은 방법 중의 하나이다.
앞서 사례로 제시한 기업들은 비교적 멘토링 제도를 잘 도입하여 조직관리에 활용하고 있는 예들이라 할 수 있다. 각 기업들마다 구체적 방법상의 차이는 있겠지만 궁극적으로는 멘토와 멘티의 상호작용을 통한 새로운 조직가치의 발견을 추구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오늘날 기업들사이에서 진행되는 멘토링의 개념은 전통적 멘토링의 개념보다는 바로 개인가치 개발을 통해서 결국 조직 가치를 개발하고자 하는 새로운 멘토링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끝으로 앞으로 더욱 더 성공적인 멘토링이 되기 위해서는 섣부른 진행보다는 뚜렷한 목표설정 아래 각 기업에 맞는 조건으로 도입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참고자료
http://www.mkc21.co.kr/>
2005.11 월간 인사관리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55&article_id=0000043512§ion_id=115&menu_id=115
http://www.mentoring121.co.kr/
http://blog.naver.com/kmh8400?Redirect=Log&logNo=50004987667
인재 경영의 핵심 전략 하버드 경영대학원 지음 현대경제연구원 옮김. 서울 : 청림, 2004.
www.insamansa.com
멘토링-오래된 지혜의 현대적 적용-muray
margohttp://mentoring121.co.kr/www/dok_board/board/board_view.php?board_list_id=board0_7&no=19547
그 외 네이버 지식 및 뉴스검색 활용
이화여대는 16개 분야 멘토 162명과 멘티 611명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학생들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취업 멘토링’이라는 1학점짜리 과목까지 개설했다.
출신 학교 선후배간 멘토링만 활성화된 것은 아니다. 서울대 사범대 학생 300명은 지난
4월부터 인근 지역 초중고교생 1020명을 대상으로 학습지도와 문화활동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는 멘토링이 교육의 새 활력소가 될 것으로 보고 관련 사업을 적극 확대할 방침이다. 교육부 방과후 학교 기획팀의 김새봄 사무관은 “멘토링은 과외수업만 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생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시도될 수 있어 어떤 교육 프로그램보다 효과적”
이라며 “올해 시범 운영한 뒤 내년에는 예산을 충분히 확보해 전국의 일반 대학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상기 기자 kitting@kmib.co.kr
Ⅵ 앞으로 더욱 성공적인 멘토링 (Mentoring) 을 위해
1. 현장도입시 유의사항
멘토링을 도입하기위하여 준비 중인 회원에게 조급하게 서둘기 보다는 3개월 정도 여유를 갖고 아래 유의사항을 점검하면서 추진하기 바란다.
1)멘토링을 도입하려면 기업에서 추진자의 교육기간을 포함하여 최소 3개월은 준비기간으 로 삼으라.
2)멘토링을 프로젝트 개념으로 도입하도록 하고 TF Team으로 추진한다.
3)조직에서 다방면에서 특출한 멘토를 바로 찾기는 어렵다. 먼저 분명한 목표설정을 하고 그 목표에 맞는 멘토, 멘티선정을 하는 것이 좋다.
4)조직에서 멘토/멘티를 너무 Push하지 말고 멘토가 자생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멘토 교 육을 필히 시키고 조직에서는 지원한다는 생각을 가져야한다.
5)종합평가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추진팀, 멘토, 멘티, 모니터에게 종합평가내용을 사전에 알게 함으로써 멘토링 활동에서 책임감과 몰입도를 높이도록 한다.
2. 현장도입 5가지 조건
다음으로 실제 현장에서 도입 방법으로 필수적인 5가지 조건을 먼저 요약해서 소개한다. 전통적 멘토링과 새로운 멘토링과 구분하는 것은 바로 5가지 조건을 구비하느냐 그렇지 않고 그냥 도입하느냐로 구분한다.
1)먼저 멘토링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신입사원 정착율 향상\" \"업무 숙달율 향상\" \"경력개발촉진\"\"핵심인재개발\" \" 노사화합촉진\" \"영업능력향상\" 등이다.
2)멘토링 활동 기간을 설정하는 것이다.
-목표별로 3개월, 6개월, 9개월, 12개월 24개월 등이다.
3)멘토링 활동 시작일과 종료일을 확정짓는 것이다.
-6개월일 경우 시작일2003.7.1일 종료일 2003,12,31일로 정하면 된다.
4)멘티그룹 선정기준을 정한다.
-대부분 조직에서 멘토부터 선정하는데 그 보다는 목표에 맞게 멘티 기준부터 선정하여 멘티 수에 맞게 멘토 수를 선발하고 또한 멘티 특성에 맞는 멘토를 나중에 선발해야 생 산적이며 합리적이기도 하다.
5) 맨 나중에 멘토 그룹 선정기준을 정한다.
-멘토는 목표가 설정되고 멘티그룹 선정기준의 확정 후에 멘티에 맞는 멘토를 선정하는 것이 멘티중심의 멘토링이라는 기본 취지에 부합한다. 멘토를 먼저 선정해놓고 멘티 수 가 적다든지 멘티의 특성에 맞지 않든지 하면 결국 멘토가 실업자 될 가능성이 많다.
Ⅶ 결론
세계화, 국제화에 따른 경쟁 시장의 확대로 현대사회의 기업들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조직 관리를 중요하게 여기게 되었고, 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우수한 인적자원을 확보하고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수한 인재를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시행하고, 그에 맞는 조직 문화를 구축해 나가는 것을 여러 기업에서 찾아볼 수 있다.
현재 회사에 갓 입사하는 신입사원들은 과거의 신입사원들과는 많이 다르다. 겉으로는 순종하지만 다양한 생각을 감추고 있으며 때로는 인터넷상의 일기를 통해서 대담한 자기주장을 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신입사원들은 자신이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강하며 인정받았다고 생각하면 뛰어난 힘을 발휘하지만, 정작 본인의 기분이나 타인의 평가만으로 곧장 시들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더 심한 경우에는 조직에 대한 실망을 느껴 떠나는 경우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따뜻한 시선과 공감」으로 이들을 돌보고 육성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신입사원은 업무 시간의 대부분을 함께 보내는 부서의 동료 등 다른 구성원들과 잘 융화될 수 있어야 조직에 정을 붙이고 정착할 수 있다. 이를 돕기 위한 방법으로 멘토링 제도를 도입하는 것은 좋은 방법 중의 하나이다.
앞서 사례로 제시한 기업들은 비교적 멘토링 제도를 잘 도입하여 조직관리에 활용하고 있는 예들이라 할 수 있다. 각 기업들마다 구체적 방법상의 차이는 있겠지만 궁극적으로는 멘토와 멘티의 상호작용을 통한 새로운 조직가치의 발견을 추구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오늘날 기업들사이에서 진행되는 멘토링의 개념은 전통적 멘토링의 개념보다는 바로 개인가치 개발을 통해서 결국 조직 가치를 개발하고자 하는 새로운 멘토링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끝으로 앞으로 더욱 더 성공적인 멘토링이 되기 위해서는 섣부른 진행보다는 뚜렷한 목표설정 아래 각 기업에 맞는 조건으로 도입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참고자료
http://www.mkc21.co.kr/>
2005.11 월간 인사관리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55&article_id=0000043512§ion_id=115&menu_id=115
http://www.mentoring121.co.kr/
http://blog.naver.com/kmh8400?Redirect=Log&logNo=50004987667
인재 경영의 핵심 전략 하버드 경영대학원 지음 현대경제연구원 옮김. 서울 : 청림, 2004.
www.insamansa.com
멘토링-오래된 지혜의 현대적 적용-muray
margohttp://mentoring121.co.kr/www/dok_board/board/board_view.php?board_list_id=board0_7&no=19547
그 외 네이버 지식 및 뉴스검색 활용
키워드
추천자료
우리 나라 기업의 성공적인 연봉제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사례분석중심
국내외 기업들의 윤리경영 사례분석
SCM의 국내 도입사례 및 문제점과 보완책
e러닝에 대해 알아보고 기업 내 활용 및 도입사례와 전망에 대해 논하시오.
가족친화경영에 따른 직무만족의 효과에 초점을 두고 국내, 외 기업들의 사례를 바탕으로 경...
제조물책임법(PL법)의 개념, 특징, 적용범위와 제조물책임법(PL법)의 국내외 입법화 현황, 기...
외국의 인턴제 실시 사례와 국내의 인턴제도 고찰
한국 기업의 연봉제 도입사례
연봉제를 도입한 기업의 사례 분석 [동양제과 & BC카드]
한국의 가족친화적경영의 현황과 외국사례
적대적 M&A(기업인수합병) 방어의 중요성, 수단, 적대적 M&A(기업인수합병) 방어의 ...
국내 주요 기업 녹색 물류 전략 사례조사 및 분석
[ERP사례] ERP 도입 사례, 도입 성공 기업, 실패 기업 사례 분석
삼양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