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목차
5장 인간 생식기의 해부와 생리
6장. 태아의 발달과 성숙
7장. 임부의 생리적 변화
9장. 임부의 산전간호
10장 분만의 현상과 과정
11장. 분만 1기 간호
12장. 분만 2, 3, 4기 간호
14장 산모의 신체적 회복
16장 산모의 간호
21장 임신으로 인한 합병증
22장. 임신과 관련된 질환
24장. 고위험 분만
26장. 분만으로 인한 합병증
27장 산후감염
28장. 산욕과 관련된 질환
29장. 산후우울증
35장. 월경장애
36장. 불임 <Infertility>
37장. 갱년기와 노년기
38장. 감염성 질환
39장, 신생물
40장. 자궁내막질환
41장. 생식기의 이완, 위치이상, 실금 및 누공
42장. 생식기 건강문제를 가진 여성간호
46장. 성폭력
6장. 태아의 발달과 성숙
7장. 임부의 생리적 변화
9장. 임부의 산전간호
10장 분만의 현상과 과정
11장. 분만 1기 간호
12장. 분만 2, 3, 4기 간호
14장 산모의 신체적 회복
16장 산모의 간호
21장 임신으로 인한 합병증
22장. 임신과 관련된 질환
24장. 고위험 분만
26장. 분만으로 인한 합병증
27장 산후감염
28장. 산욕과 관련된 질환
29장. 산후우울증
35장. 월경장애
36장. 불임 <Infertility>
37장. 갱년기와 노년기
38장. 감염성 질환
39장, 신생물
40장. 자궁내막질환
41장. 생식기의 이완, 위치이상, 실금 및 누공
42장. 생식기 건강문제를 가진 여성간호
46장. 성폭력
본문내용
* 맹낭경 ( Culdoscopy )
- 체위 : Knee chest position
- 검사 후 복강내로 들어간 gas 배출체위 : 복위
* 정상대하내용물 - 다수의 유산간균, 질상피세포,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2. 내생식기
1> 질
- 질의 전방에는 요도와 방광이 위피, 후방에는 직장
- 질의 상단은 자궁경부, 하단은 처녀막으로 덮여있다.
- 7~10cm 질원개, 전원개 : 6~7cm
후원개 : 8~9cm
+ 후질원개 : 내진시에 이곳의 얇은 막을 통해 내생식기를 촉진
: 분비물이나 세포가 탈락되어 후질원개에 고이기 쉬우므로 이곳의
분비물이 암세포 검사시에 중요한 자료
: 자궁외 임신을 진단할 때 맹낭천자를 하는 위치
- 상부 1/2은 방광벽에 부착, 하부 1/2은 요도에 부착
- 질벽은 옆으로 주름이 잡힌 점막관 <=주벽>인데 전후상하로 늘어날 수 있다.
이것은 분만 후 없어졌다가 일정시간 후 재생
- 기능 : 산도의 역할
: 배설관<월경>
: 성교기관
- 질 점막은 산성을 유지하여 살균효과
-질 내에는 Doderline\'s 간균이 glycogen을 분해하여 유산을 만들어 질 분비물을 산성 유지
-> 새균 번식 억제
- 외음~자궁까지 통하는 한 개의 근육 관으로 하방~상방으로 뻗어있다.
- 질강은 원추형의 내강으로 되어있고 크기는 나이와 임신 등에 따라 달라짐
- 질벽은 중층상피로 되어있어 분만 시 늘어나기 용이
- 질 자체에는 선이 없다.
- 폐경 이후와 사춘기 전 여성질 산도는 중성
- 질 벽은 중층편평 상피세포 조직으로 주름 잡혀 있으며 estrogen 의 영향을 받아
두께와 산도가 달라지며 선, 모낭 등이 존재하지 않고 점막으로 되어있다.
2> 자궁
- 전방은 방광, 후방은 직장, 텅빈기관 <자궁체부 3층> 점막층, 자궁내막
- 근육기관<불수의근>, 팽창가능 근육층, 자궁근층
- 기능 : 월경가능 <가장 두껍다>
: 수정란을 자궁내막에 착상시켜 임신 유지 외막, 장막, 복막
: 임신에서 분만까지 태아를 잘 자라게 한다.
- 무게 50gm, 길이 7.5~8cm, 너비 5cm, 두께 2.5cm <321 inch>
- 자궁내구를 중심으로 상부를 체부 <2/3>, 하부를 경부<1/3> : 성숙기
체부 <1/3>, 경부<2/3> : 유년기
<1> 자궁외막
- 자궁은 복막으로 덮여있다.
<2> 자궁근층
- 내층 : 윤상근 <좌우>
- 중간층 : 사위근 <좌우상하, 대각선 : 분만 후 혈관압박 : 지혈, 임신시 태아 기르는 역할>
- 외층 : 종횡근<상하> - 태아만출
- 경부는 주로 윤상근, 분만중에는 수축과 전축으로 짧아져서 태아와 태반을 만출시키고
출혈도 방지 <근육이 견축되면서 혈관 조여줌>
<3> 자궁내막
- 알칼리성의 원주융모상피조직
- 분만시에는 탈락되므로 임신이 되면 탈락막이라 명칭
- 월경직후에 가장 얇고 다음 월경시작전이 가장 두껍다.
- 기지동맥으로 혈액공급 받음
3층 ┌ 조밀층
├ 해면층
└ 기지층
<4> 인대
- 일정한 위치와 자세 유지
· 기인대 : 자궁의 탈수 방지, 자궁경관지지
· 광인대 : 자궁, 난관, 난소를 정상위치에 놓이게 하는 것
· 원인대 : 자궁의 전경을 도움. 임신중 자궁이 커졌을 때 자궁의 위치를 전방으로 보호
· 자궁천골인대 : 자궁의 탈수를 방지하고 자궁을 제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것
<5> 혈액공급
- 자궁동맥 > 난소동맥 > 내하복부동맥
<6> 신경지배
- 교감신경계 : 자궁근육수축, 맥관 수축
- 부교감신경 : 자궁수축작용 억제, 맥관확장
- 자궁의 운동신경섬유 : 제7,8 흉추에서 나오기 때문에 운동신경과 감각신경 분리
: 분만시 미단부 마취시 편리
- 산도의 윗부분과 경관에 있는 감각신경은 제 2,3,4 천골에서
산도의 아래쪽과 회음부 및 외음부위의 감각신경은 장골살부위의 음부신경에서 나옴
3> 난관
- 근육으로 된 관. 난소의 배설관 역할 <난관은 난자를 자궁강으로 운반>
- 원통모양 8~14cm : 불임의 원인
- 난관점막은 상피에 섬모가 있어서 섬모운동<운반>과 연동운동<이동>,
호르몬의 영향으로 난관의 수축운동에 의해 난자를 자궁으로 운반.
- 구조 : 간질부 ·· 난관의 시작부위, 자궁수축시 시작부위
: 협부 ·· 내구직경이 2~3mm<25%> - 영구피임목적으로 시술부위
: 팽대부 ·· 수정이 이루어지는 곳, 5~8mm <55%>
: 채부 ·· 난관술 - 복강내에서 자유롭게 운동,
가장 긴 난관술 1개는 난소를 향해 뻗쳐있다. <15~17%>
- 길이 : 10cm 난관벽의 내부직경 0.6mm정도 ┌ 내벽-점막
├ 중간-근층
└ 외벽-복막
- 자궁저부와 체부사이에 자궁근을 통과하는 자은공간 <2%>
+ 근섬유 ┌ 내층 - 윤상근
└ 외층 - 종근
+ 점막은 월경중 가장 얇아짐
+ 내점막은 섬모세포와 분비성인 원주세포로 구분
4> 난소
- estrogen, progesterone 분비
- 3~5g
- 편도모양 < 둥글 납작아몬드> - 배란기때 일시적으로 2배 커짐
- 난자를 발육, 배출<배란> 시키고 내분비작용
- 폐경기 이후에는 현저하게 작아짐
- 젊은이의 경우 표면이 매끈한 회백색 반짝이는 수많은 난포가 있다. : 그라프난포
- 피질 : 원시난포, 월경주기에 따라 하나씩 배출
- 수질 : 혈관, 비횡문근
- 난관후하방부에 위치
- 자궁광인대, 난소인대에 의해 지지
- 난소의 크기 : 길 <3cm> 너비 <2cm> 폭 <1cm>
- 골반격막상부에 위치
3. 난소의 주기와 난소호르몬
- 월경시작 첫날부터 다음 월경의 첫날까지를 1주기
1> 배란
<1> 복통 : mittelrchmery. 배란되는 순간 소량의 출혈이 복막을 자극하여 복통 느낌
<2> 기초체온곡선 : 임신초기 미열 <황체호르몬 분비>. 신빙성 있다.
<3> 호르몬검사 : 성선자극호르몬, 프레그난디올, 에스트로겐 상승
<4> 자궁내막검사 : 생검 -> 황체호르몬 변화
* 배란 후의 난소
- 체위 : Knee chest position
- 검사 후 복강내로 들어간 gas 배출체위 : 복위
* 정상대하내용물 - 다수의 유산간균, 질상피세포,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2. 내생식기
1> 질
- 질의 전방에는 요도와 방광이 위피, 후방에는 직장
- 질의 상단은 자궁경부, 하단은 처녀막으로 덮여있다.
- 7~10cm 질원개, 전원개 : 6~7cm
후원개 : 8~9cm
+ 후질원개 : 내진시에 이곳의 얇은 막을 통해 내생식기를 촉진
: 분비물이나 세포가 탈락되어 후질원개에 고이기 쉬우므로 이곳의
분비물이 암세포 검사시에 중요한 자료
: 자궁외 임신을 진단할 때 맹낭천자를 하는 위치
- 상부 1/2은 방광벽에 부착, 하부 1/2은 요도에 부착
- 질벽은 옆으로 주름이 잡힌 점막관 <=주벽>인데 전후상하로 늘어날 수 있다.
이것은 분만 후 없어졌다가 일정시간 후 재생
- 기능 : 산도의 역할
: 배설관<월경>
: 성교기관
- 질 점막은 산성
-질 내에는 Doderline\'s 간균이 glycogen을 분해하여 유산을 만들어 질 분비물을 산성 유지
-> 새균 번식 억제
- 외음~자궁까지 통하는 한 개의 근육 관으로 하방~상방으로 뻗어있다.
- 질강은 원추형의 내강으로 되어있고 크기는 나이와 임신 등에 따라 달라짐
- 질벽은 중층상피로 되어있어 분만 시 늘어나기 용이
- 질 자체에는 선
- 폐경 이후와 사춘기 전 여성질 산도는 중성
- 질 벽은 중층편평 상피세포 조직으로 주름 잡혀 있으며 estrogen 의 영향을 받아
두께와 산도가 달라지며 선
2> 자궁
- 전방은 방광, 후방은 직장, 텅빈기관 <자궁체부 3층> 점막층, 자궁내막
- 근육기관<불수의근>, 팽창가능 근육층, 자궁근층
- 기능 : 월경가능 <가장 두껍다>
: 수정란을 자궁내막에 착상시켜 임신 유지 외막, 장막, 복막
: 임신에서 분만까지 태아를 잘 자라게 한다.
- 무게 50gm, 길이 7.5~8cm, 너비 5cm, 두께 2.5cm <321 inch>
- 자궁내구를 중심으로 상부를 체부 <2/3>, 하부를 경부<1/3> : 성숙기
체부 <1/3>, 경부<2/3> : 유년기
<1> 자궁외막
- 자궁은 복막으로 덮여있다.
<2> 자궁근층
- 내층 : 윤상근 <좌우>
- 중간층 : 사위근 <좌우상하, 대각선 : 분만 후 혈관압박 : 지혈, 임신시 태아 기르는 역할>
- 외층 : 종횡근<상하> - 태아만출
- 경부는 주로 윤상근, 분만중에는 수축과 전축으로 짧아져서 태아와 태반을 만출시키고
출혈도 방지 <근육이 견축되면서 혈관 조여줌>
<3> 자궁내막
- 알칼리성의 원주융모상피조직
- 분만시에는 탈락되므로 임신이 되면 탈락막이라 명칭
- 월경직후에 가장 얇고 다음 월경시작전이 가장 두껍다.
- 기지동맥으로 혈액공급 받음
3층 ┌ 조밀층
├ 해면층
└ 기지층
<4> 인대
- 일정한 위치와 자세 유지
· 기인대 : 자궁의 탈수 방지, 자궁경관지지
· 광인대 : 자궁, 난관, 난소를 정상위치에 놓이게 하는 것
· 원인대 : 자궁의 전경을 도움. 임신중 자궁이 커졌을 때 자궁의 위치를 전방으로 보호
· 자궁천골인대 : 자궁의 탈수를 방지하고 자궁을 제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것
<5> 혈액공급
- 자궁동맥 > 난소동맥 > 내하복부동맥
<6> 신경지배
- 교감신경계 : 자궁근육수축, 맥관 수축
- 부교감신경 : 자궁수축작용 억제, 맥관확장
- 자궁의 운동신경섬유 : 제7,8 흉추에서 나오기 때문에 운동신경과 감각신경 분리
: 분만시 미단부 마취시 편리
- 산도의 윗부분과 경관에 있는 감각신경은 제 2,3,4 천골에서
산도의 아래쪽과 회음부 및 외음부위의 감각신경은 장골살부위의 음부신경에서 나옴
3> 난관
- 근육으로 된 관. 난소의 배설관 역할 <난관은 난자를 자궁강으로 운반>
- 원통모양 8~14cm : 불임의 원인
- 난관점막은 상피에 섬모가 있어서 섬모운동<운반>과 연동운동<이동>,
호르몬의 영향으로 난관의 수축운동에 의해 난자를 자궁으로 운반.
- 구조 : 간질부 ·· 난관의 시작부위, 자궁수축시 시작부위
: 협부 ·· 내구직경이 2~3mm<25%> - 영구피임목적으로 시술부위
: 팽대부 ·· 수정이 이루어지는 곳, 5~8mm <55%>
: 채부 ·· 난관술 - 복강내에서 자유롭게 운동,
가장 긴 난관술 1개는 난소를 향해 뻗쳐있다. <15~17%>
- 길이 : 10cm 난관벽의 내부직경 0.6mm정도 ┌ 내벽-점막
├ 중간-근층
└ 외벽-복막
- 자궁저부와 체부사이에 자궁근을 통과하는 자은공간 <2%>
+ 근섬유 ┌ 내층 - 윤상근
└ 외층 - 종근
+ 점막은 월경중 가장 얇아짐
+ 내점막은 섬모세포와 분비성인 원주세포로 구분
4> 난소
- estrogen, progesterone 분비
- 3~5g
- 편도모양 < 둥글 납작아몬드> - 배란기때 일시적으로 2배 커짐
- 난자를 발육, 배출<배란> 시키고 내분비작용
- 폐경기 이후에는 현저하게 작아짐
- 젊은이의 경우 표면이 매끈한 회백색 반짝이는 수많은 난포가 있다. : 그라프난포
- 피질 : 원시난포, 월경주기에 따라 하나씩 배출
- 수질 : 혈관, 비횡문근
- 난관후하방부에 위치
- 자궁광인대, 난소인대에 의해 지지
- 난소의 크기 : 길 <3cm> 너비 <2cm> 폭 <1cm>
- 골반격막상부에 위치
3. 난소의 주기와 난소호르몬
- 월경시작 첫날부터 다음 월경의 첫날까지를 1주기
1> 배란
<1> 복통 : mittelrchmery. 배란되는 순간 소량의 출혈이 복막을 자극하여 복통 느낌
<2> 기초체온곡선 : 임신초기 미열 <황체호르몬 분비>. 신빙성 있다.
<3> 호르몬검사 : 성선자극호르몬, 프레그난디올, 에스트로겐 상승
<4> 자궁내막검사 : 생검 -> 황체호르몬 변화
* 배란 후의 난소
추천자료
모성보호 관련법
모성보호법 레포트
[공중보건, 보건학] 보건학 요점정리 서브노트 - 국민 보건의 현황, 역학, 질병, 전염병, 모...
모성간호학 산모간호
[모성간호]유도분만(NSVD) case study
[여성문제의 해결방안] 여성정책 계획의 수립과 시행, 여성취업, 모성보호정책, 여성폭력 해...
모성 간호학 (여성건강,사회,문화, 성 생식기, 임부 간호, 질환, 분만, 폐경기)
모성애에 대한 해석 -여성영화제 ‘버려진 아이’를 관람하고
모성 여성건강간호학 요약
[여성정책][국가역할모형]여성정책의 정의, 여성정책의 특성과 추진기능, 여성정책의 목표, ...
여성노동자(여성근로자) 휴가권(휴가권리), 여성노동자(여성근로자) 모성권(모성권리), 여성...
[국제노동기구]국제노동기구(ILO)의 필요성, 설립배경, 국제노동기구(ILO)의 국제노동기준, ...
2015년 2학기 건강증진론 중간시험과제물 B형(미국의 건강증진에서 모성, 영유아보건)
[건강증진론 B형]미국의 건강증진(Healthy People 2020)에서 모성, 영유아보건을 중요시 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