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실험목적
Ⅲ. 실험방법
Ⅳ. 실험결과
Ⅴ. 결론
Ⅵ. 참고문헌
Ⅰ. 서론
Ⅱ. 실험목적
Ⅲ. 실험방법
Ⅳ. 실험결과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05
0.064
3.726
0.064
0.072
0.930
0.001
0.126
구리 1
구리 2
구리 3
평균치
항복강도(MPa)
15.057
항복강도(MPa)
15.629
항복강도(MPa)
16.876
항복강도(MPa)
15.854
항복변형률(%)
5.854
항복변형률(%)
5.817
항복변형률(%)
6.051
항복변형률(%)
5.907
인장강도(MPa)
15.979
인장강도(MPa)
16.506
인장강도(MPa)
17.776
인장강도(MPa)
16.754
인장변형률(%)
8.314
인장변형률(%)
8.255
인장변형률(%)
8.118
인장변형률(%)
8.229
파단강도(MPa)
6.416
파단강도(MPa)
6.295
파단강도(MPa)
6.319
파단강도(MPa)
6.343
파단변형률(%)
26.802
파단변형률(%)
21.700
파단변형률(%)
19.548
파단변형률(%)
22.683
Ⅴ. 결론
이번 인장시험을 통해서 시험에 쓰인 재료를 공부하면서 재료들의 특징에 대해서 알 수 있었고 나중에 기계부품설계를 할 때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안정된 설계를 할 수 있게 직접적 자료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탄성 곡선을 얻을 수 있었고, 탄성구간, 소성구간, 항복점 등 수업 시간에 배웠던 Stress-Strain 곡선과 매우 유사하게 나옴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실험을 하면서 오차가 상당히 발생했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실험 중 시편이 ‘쩡’ 소리를 내며 끊어지는 것이 아니라 한 쪽부터 찢어짐을 볼 수 있었다. 이런 현상이 발생한 원인은 시편을 인장 시험기에 고정 시킬 때 정확하게 수직, 수평으로 고정 시켜야 하는데 사람이 직접 고정 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고정시키지 못하여 하중이 어느 한쪽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또한 기계의 부정확성과 노후로 시편을 고정할 때 그립부분이 많이 흔들림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시편을 가공할 때 정밀하게 가공하지 않아서 대칭이 맞지 않아 응력이 한쪽으로 집중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Ⅵ. 참고문헌
(1) 문헌
최신재료학 / 도서출판골드 / 김정근 외 2명
NDT 금속기초 / 도서출판골드 / 이의종
(2) 인터넷 홈페이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16323&cid=2904&categoryId=2904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54747&cid=618&categoryId=618
0.064
3.726
0.064
0.072
0.930
0.001
0.126
구리 1
구리 2
구리 3
평균치
항복강도(MPa)
15.057
항복강도(MPa)
15.629
항복강도(MPa)
16.876
항복강도(MPa)
15.854
항복변형률(%)
5.854
항복변형률(%)
5.817
항복변형률(%)
6.051
항복변형률(%)
5.907
인장강도(MPa)
15.979
인장강도(MPa)
16.506
인장강도(MPa)
17.776
인장강도(MPa)
16.754
인장변형률(%)
8.314
인장변형률(%)
8.255
인장변형률(%)
8.118
인장변형률(%)
8.229
파단강도(MPa)
6.416
파단강도(MPa)
6.295
파단강도(MPa)
6.319
파단강도(MPa)
6.343
파단변형률(%)
26.802
파단변형률(%)
21.700
파단변형률(%)
19.548
파단변형률(%)
22.683
Ⅴ. 결론
이번 인장시험을 통해서 시험에 쓰인 재료를 공부하면서 재료들의 특징에 대해서 알 수 있었고 나중에 기계부품설계를 할 때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안정된 설계를 할 수 있게 직접적 자료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탄성 곡선을 얻을 수 있었고, 탄성구간, 소성구간, 항복점 등 수업 시간에 배웠던 Stress-Strain 곡선과 매우 유사하게 나옴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실험을 하면서 오차가 상당히 발생했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실험 중 시편이 ‘쩡’ 소리를 내며 끊어지는 것이 아니라 한 쪽부터 찢어짐을 볼 수 있었다. 이런 현상이 발생한 원인은 시편을 인장 시험기에 고정 시킬 때 정확하게 수직, 수평으로 고정 시켜야 하는데 사람이 직접 고정 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고정시키지 못하여 하중이 어느 한쪽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또한 기계의 부정확성과 노후로 시편을 고정할 때 그립부분이 많이 흔들림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시편을 가공할 때 정밀하게 가공하지 않아서 대칭이 맞지 않아 응력이 한쪽으로 집중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Ⅵ. 참고문헌
(1) 문헌
최신재료학 / 도서출판골드 / 김정근 외 2명
NDT 금속기초 / 도서출판골드 / 이의종
(2) 인터넷 홈페이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16323&cid=2904&categoryId=2904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54747&cid=618&categoryId=618
추천자료
충격강도, 인장강도, 전기전도도 - 고분자 실험보고서
[기계재료실험] 연강 인장시험 (예비+결과레포트)
인장 시험기의 원리 및 구조 이해 실험
[기계공학실험] #3. 인장응력에 의한 시험파편의 파단
[기초 공학 실험] 인장시험
[실험보고서] 인장강도 시험 보고서
[재료역학실험] 강재인장시험, 콘크리트 압축시험(data) 및 탄성계수,항복점,변형경화.ppt
[교양생물 보고서 예시 - 생물학 및 실험] 표피조직의 관찰 : 표피조직을 관찰, 표피의 유형...
생물학 실험 - 조직세포 관찰
기계공학 실험 - 인장시험
기계공학 실험 - 인장시험(tension test)
[실험보고서] 인장시험
기계기초basis of machine 실험-금속 재료의 인장 시험 Report
금속 조직 관찰 실험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