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문헌고찰
- 간호사정
- 간호과정 3개
1. 충동조절 부족에 관련된 폭력위험성
2. 불안정한 정서와 관련된 불안
3. 지루한 병동생활고 관련된 여가활동 부족
- 간호사정
- 간호과정 3개
1. 충동조절 부족에 관련된 폭력위험성
2. 불안정한 정서와 관련된 불안
3. 지루한 병동생활고 관련된 여가활동 부족
본문내용
당 0.01-0.03㎎을 2-3회 분할투여한다. 매 3일 간격으로 0.25-0.5㎎씩 증량하여 유지량으로 1일 체중 ㎏당 0.1㎎으로 한다. 최대 용량은 체중 ㎏당 0.2㎎이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부작용
1. 간질 및 부분발작(초점발작), 원발성 및 2차적으로 전신화된 강직간대발작(대발작), 유·소아 간질(특히 정형성 및 비정형성 결신발작)
2. 공황장애
간호 과정
* 간호문제 list
- 갑자기 기분이 나빠지거나 할 때 폭력 위험성을 보임
- 자주 불안해해서 병동을 돌아다니거나 앉아서 글을 적음
- 환자분들과 의사소통을 하지 않음
- 스트레스를 풀 대응체제가 없음
간호진단
1
충동조절 부족에 관련된 폭력위험성(타인)
2
불안정한 정서와 관련된 불안
3
지루한 병동생활과 관련된 여가활동 부족
#1. 충동조절 부족에 관련된 폭력위험성(타인)
Assessment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 “화가나서 미치겠어요 부모님 오시면 안되요?”
- “엉덩이름 만지는 것은 성희롱 아닌가요?너무 화나는데요”
- “화가 가라않지가 않습니다 어떻하죠”
- 주먹을 쥐고 치료진에게 다가감
- 상기된 표정으로 표정을 찌푸리고 있음
- 간호사실에 가서 그 환우분에게 너무 화가 나서 어떻게 할 수 도 있다고 언급함
- 충동조절부족으로 보호실 치료 받아서 2G에서 1G으로 하향
jNursing
Diagnosis
충동조절 부족에 관련된 폭력위험성(타인)
(정의 : 타인에게 신체적, 정서적, 성적으로 해를 입힐 수 있는
행위와 위험이 있는 행동)
Expected
Outcome
<장기목표>
- 1달 이내에 대상자는 타인을 해치거나 위협하는 행동을 하지 않을 것이다
<단기목표>
- 2일 이내에 대상자는 차분한 표정과 함께 자신의 화난 감정을 말로 표현 할 것이다
Nursing
Intervention
사정적 계획
1. 대상자의 폭력 위험성이 있는 행동 양상 및 정성 상태를 관찰한다
폭력위험성을 사정함으로써 그에 맞는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대상자의 폭력위험성이 있는 행동양상 및 정서상태를 매 2시간 마다 관찰했다
2. 대상자의 기분에 대해 사정한다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세심하게 관찰하고 필요시 즉시 개입한다
화난 감정을 1~10(점수가 낮을수록 차분한 감정)으로 대상자의 기분을 사정했다
- 2월 4일 : 9점
(말을 걸때마다 말할 기분이 아니라고 말을 피하심)
- 2월 5일 : 3점
(어제일을 사과하고 나와서 피아노도 치시고 활동적이심)
- 2월 6일 : 4점
- 2월 7일 : 3점
(치료진에게 그때의 일을 사과하심)
- 2월 8일 : 3점
- 2월 9일 : 7점
(오늘은 말할 기분이 아니라 가만히 두라고 하심)
- 2월 : 7점
- 2월 11일 : 3점
(나와서 탁구도 치기도 대화도 나눔)
- 2월 12일 : 2점
(오락실에서 피아노도 같이 치고 주변 대상자분들과 대화도 나누는 모습을 관찰)
중재적 계획
1. 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위험한 물건을 치우는 것은 대상자가 타인을 해치지 않도록 예방한다
대상자의 사물 뿐만 아니라 같은 방을 쓰는 사람들의 사물을 점검해서 위험한 물건(칼, cd 바늘, 거울) 등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2. 필요시 보호자 동의와 의사 지시 하에 억제대를 적용한다
억제대를 적용함으로써 자신과 타인을 지킬 수 있다
환자분에게 폭력위험성에 대한 주의를 주고 억제대는 적용하지 않았다
3. 타해 위험이 있는 대상자의 목적을 위해 격리한다
격리실에 혼자 있을 시간을 줌으로써 안정을 시킬 수 있다
타해 위험이 있는 대상자를 보호실에 격리했다
4. 처방에 따라 약을 투여한다
처방에 따라 약을 투여함으로써 환자를 진정시킬 수 있다
처방에 따라 Lorazepam을 im으로 투약했다
교육적 계획
1. 신체적 폭력이나 언어적 폭력을 할 경우 법적 책임에 대해 교육한다
법적인 책임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자신의 퇴원이 늦어질 수 있음을 상기시킨다
타인지향 신체적 폭력이나 언어적 폭력을 할 경우 법적 책임에 대해 교육하였다
Evaluation
<2월 9일>
- 대상자가 타인을 해치거나 위협하는 행동을 하지 않고 있다.
- 대상자 차분한 표정과 함께 자신의 화난 감정을 말로 표혀하였다
(“지금은 기분이 괜찮아 졌구요. 그때는 죄송했습니다 너무 화가 나서 참을 수 없
었습니다”)
#2. 불안정한 정서와 관련된 불안
Assessment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 “답답하고 불안하고 자꾸 짜증이나요”
- “여기있으면 이런저런 생각이 너무 많이 들어요 빨리 퇴원하고 싶어요”
- “스트레스를 받는데 스트레스를 풀 방법이 없어요”
- 계속 불안을 호소하며 부모님의 면담을 요청
- 인상을 쓰고 병동 앞에서 계속 돌아다님
jNursing
Diagnosis
불안정한 정서와 관련된 불안
(정의 : 자율신경반응을 동반하는 막연한 불안감 혹은 두려움)
Expected
Outcome
<장기목표>
- 환자가 스스로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하며 불안이 감소한다
<단기목표>
- 환자는 불안감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말하고 수행할 수 있다
Nursing
Intervention
사정적 계획
1. 환자의 불안을 정도를 사정한다
정확한 기초 사정자료는 효과적인 간호를 계획하는데 필요하다
환자에게 불안의 정도를 사정했다(1~10점으로 높을수록 불안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 2월 4일 : 2점(대화를 나눔)
- 2월 5일 : 8점(오늘은 기분이 좋지않다고 말을 걸지 말아달라고 함)
- 2월 6일 : 7점(병실에만 있음)
- 2월 9일 : 3점(오늘은 기분이 괜찮다고 요법에도 잘 참여함)
- 2월 10일 : 3점(오락실에서 탁구를 치고 복도에서 대화를 많이 나눔)
- 2월 11일 : 7점(병실에서 나오지 않음)
- 2월 12일 : 2점(산책에도 나가고 피아노를 침)
- 2월 13일 : 2점(활동요법에도 자 참여함)
2. 불안을 감소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사정한다
어떤 것을 할 때 불안을 시킬 수 있음을 사정함으로써 중재를 할 수 있다
불안할 때 병실에서 수첩에 생각을 쓰는 것이 불안을 줄여준다고 하며 자전거타기가 취미인데 여기서는 할 수 없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부작용
1. 간질 및 부분발작(초점발작), 원발성 및 2차적으로 전신화된 강직간대발작(대발작), 유·소아 간질(특히 정형성 및 비정형성 결신발작)
2. 공황장애
간호 과정
* 간호문제 list
- 갑자기 기분이 나빠지거나 할 때 폭력 위험성을 보임
- 자주 불안해해서 병동을 돌아다니거나 앉아서 글을 적음
- 환자분들과 의사소통을 하지 않음
- 스트레스를 풀 대응체제가 없음
간호진단
1
충동조절 부족에 관련된 폭력위험성(타인)
2
불안정한 정서와 관련된 불안
3
지루한 병동생활과 관련된 여가활동 부족
#1. 충동조절 부족에 관련된 폭력위험성(타인)
Assessment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 “화가나서 미치겠어요 부모님 오시면 안되요?”
- “엉덩이름 만지는 것은 성희롱 아닌가요?너무 화나는데요”
- “화가 가라않지가 않습니다 어떻하죠”
- 주먹을 쥐고 치료진에게 다가감
- 상기된 표정으로 표정을 찌푸리고 있음
- 간호사실에 가서 그 환우분에게 너무 화가 나서 어떻게 할 수 도 있다고 언급함
- 충동조절부족으로 보호실 치료 받아서 2G에서 1G으로 하향
jNursing
Diagnosis
충동조절 부족에 관련된 폭력위험성(타인)
(정의 : 타인에게 신체적, 정서적, 성적으로 해를 입힐 수 있는
행위와 위험이 있는 행동)
Expected
Outcome
<장기목표>
- 1달 이내에 대상자는 타인을 해치거나 위협하는 행동을 하지 않을 것이다
<단기목표>
- 2일 이내에 대상자는 차분한 표정과 함께 자신의 화난 감정을 말로 표현 할 것이다
Nursing
Intervention
사정적 계획
1. 대상자의 폭력 위험성이 있는 행동 양상 및 정성 상태를 관찰한다
폭력위험성을 사정함으로써 그에 맞는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대상자의 폭력위험성이 있는 행동양상 및 정서상태를 매 2시간 마다 관찰했다
2. 대상자의 기분에 대해 사정한다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세심하게 관찰하고 필요시 즉시 개입한다
화난 감정을 1~10(점수가 낮을수록 차분한 감정)으로 대상자의 기분을 사정했다
- 2월 4일 : 9점
(말을 걸때마다 말할 기분이 아니라고 말을 피하심)
- 2월 5일 : 3점
(어제일을 사과하고 나와서 피아노도 치시고 활동적이심)
- 2월 6일 : 4점
- 2월 7일 : 3점
(치료진에게 그때의 일을 사과하심)
- 2월 8일 : 3점
- 2월 9일 : 7점
(오늘은 말할 기분이 아니라 가만히 두라고 하심)
- 2월 : 7점
- 2월 11일 : 3점
(나와서 탁구도 치기도 대화도 나눔)
- 2월 12일 : 2점
(오락실에서 피아노도 같이 치고 주변 대상자분들과 대화도 나누는 모습을 관찰)
중재적 계획
1. 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위험한 물건을 치우는 것은 대상자가 타인을 해치지 않도록 예방한다
대상자의 사물 뿐만 아니라 같은 방을 쓰는 사람들의 사물을 점검해서 위험한 물건(칼, cd 바늘, 거울) 등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2. 필요시 보호자 동의와 의사 지시 하에 억제대를 적용한다
억제대를 적용함으로써 자신과 타인을 지킬 수 있다
환자분에게 폭력위험성에 대한 주의를 주고 억제대는 적용하지 않았다
3. 타해 위험이 있는 대상자의 목적을 위해 격리한다
격리실에 혼자 있을 시간을 줌으로써 안정을 시킬 수 있다
타해 위험이 있는 대상자를 보호실에 격리했다
4. 처방에 따라 약을 투여한다
처방에 따라 약을 투여함으로써 환자를 진정시킬 수 있다
처방에 따라 Lorazepam을 im으로 투약했다
교육적 계획
1. 신체적 폭력이나 언어적 폭력을 할 경우 법적 책임에 대해 교육한다
법적인 책임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자신의 퇴원이 늦어질 수 있음을 상기시킨다
타인지향 신체적 폭력이나 언어적 폭력을 할 경우 법적 책임에 대해 교육하였다
Evaluation
<2월 9일>
- 대상자가 타인을 해치거나 위협하는 행동을 하지 않고 있다.
- 대상자 차분한 표정과 함께 자신의 화난 감정을 말로 표혀하였다
(“지금은 기분이 괜찮아 졌구요. 그때는 죄송했습니다 너무 화가 나서 참을 수 없
었습니다”)
#2. 불안정한 정서와 관련된 불안
Assessment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 “답답하고 불안하고 자꾸 짜증이나요”
- “여기있으면 이런저런 생각이 너무 많이 들어요 빨리 퇴원하고 싶어요”
- “스트레스를 받는데 스트레스를 풀 방법이 없어요”
- 계속 불안을 호소하며 부모님의 면담을 요청
- 인상을 쓰고 병동 앞에서 계속 돌아다님
jNursing
Diagnosis
불안정한 정서와 관련된 불안
(정의 : 자율신경반응을 동반하는 막연한 불안감 혹은 두려움)
Expected
Outcome
<장기목표>
- 환자가 스스로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하며 불안이 감소한다
<단기목표>
- 환자는 불안감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말하고 수행할 수 있다
Nursing
Intervention
사정적 계획
1. 환자의 불안을 정도를 사정한다
정확한 기초 사정자료는 효과적인 간호를 계획하는데 필요하다
환자에게 불안의 정도를 사정했다(1~10점으로 높을수록 불안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 2월 4일 : 2점(대화를 나눔)
- 2월 5일 : 8점(오늘은 기분이 좋지않다고 말을 걸지 말아달라고 함)
- 2월 6일 : 7점(병실에만 있음)
- 2월 9일 : 3점(오늘은 기분이 괜찮다고 요법에도 잘 참여함)
- 2월 10일 : 3점(오락실에서 탁구를 치고 복도에서 대화를 많이 나눔)
- 2월 11일 : 7점(병실에서 나오지 않음)
- 2월 12일 : 2점(산책에도 나가고 피아노를 침)
- 2월 13일 : 2점(활동요법에도 자 참여함)
2. 불안을 감소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사정한다
어떤 것을 할 때 불안을 시킬 수 있음을 사정함으로써 중재를 할 수 있다
불안할 때 병실에서 수첩에 생각을 쓰는 것이 불안을 줄여준다고 하며 자전거타기가 취미인데 여기서는 할 수 없다
키워드
추천자료
정신장애인 사회적응 주거시설 서비스(개념,이해,종류,그룹홈,위탁가정)
정신장애인에 대한 일반인의 편견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과 취업(직업)유지요인에 대한 분석
정신지체장애에 대해서
정신장애인 인권향상을 위한 패러다임의 변환
정신장애인과 알코올의존자의 사회기술훈련
정신장애의 증상과 이해&상담
정신장애인 가족을 위한 개입방법 및 사회복지사의 역할 보고서
정신장애인의 인권보호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편견해소를 위한 노력들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에 있어서 문제점과 그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
정신장애의 원인을 심리적 요인 및 사회, 문화적 요인으로 분석.
정신장애에 관한 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