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본간호기술 (데일리 7개)
Daily # 0. 02월 16일 ~ Daily # 07. 02월 27일
특수질환아 고찰 (4개)
Daily # 01. 02월 17일 ~ Daily # 04. 02월 26일
medication. Childrens Tylenol Tab. (어린이용 타이레놀정)
Daily # 01. 02월 17일
Daily # 0. 02월 16일 ~ Daily # 07. 02월 27일
특수질환아 고찰 (4개)
Daily # 01. 02월 17일 ~ Daily # 04. 02월 26일
medication. Childrens Tylenol Tab. (어린이용 타이레놀정)
Daily # 01. 02월 17일
본문내용
연령별 cuff의 크기
연령
넓이(cm)
길이(cm)
중심지점에서
팔둘레범위(cm)
신생아
3
6
6이하
영아
5
15
6~15
유아
8
21
16~21
청소년
10
24
22~26
종종 혈압이 들리지 않거나 전기기구를 사용할 수 없을 때는 촉진으로 잴 수 있다.
-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일상적으로 혈압을 측정하지 않는다
- 1세 이하의 영아 : 사지와 하지의 혈압이 동일
- 1세 이상의 영아 : 수축기 혈압이 상지보다 하지가 10mmHg정도 높음
환아
체온은 고막체온계를 이용해서 재는데 영유아는 귓바퀴를 후 하방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해야하는데 그렇게 하지 않으시고 체온을 재신다.
0~2세 체온을 재면 대체적으로 높게 나오는데 연령이 낮을수록 기초체온이 높기도 하기 때문이다.
호흡은 맥박을 재면서 아이가 옷 위로 숨 쉬는 것을 보시면서 재며 옷이 두꺼워서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손을 가볍게 올려서 재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맥박은 청진기를 가슴에 대고 심첨맥박을 재는데 초시계를 보면서 1분을 full로 재시지는 않았다. 그리고 맥박을 재는데 청진기의 윗부분을 잡으면 안되지만 잡으시는 선생님들 도 계셨다.
혈압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재지 않아서 잘 볼수 없었지만
유아 혈압 재는 것을 보았는대 모니터로 재며 성인 혈압 커프가 껴져 있어서 유아용 커프로 교체는 한 후 오른팔을 재셨으며 4세 정도 였는데 혈압이 99/66이 나와서 선생님께서 자꾸 애매하게 나오신다고 두 번을 재시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아동 병동에는 접촉격리와 비말 격리방이 있는데 격리방에서의 활력징후 물품은 격리실 앞에 있으며 그 방의 환아들을 그 물품을 쓰는 것을 볼 수 있었다.
Daily # 2 2015. 02. 17
일과
13시 00분 : 이브닝 출근
14시 30분 : 인수인계 듣기
신생아 산소텐트 설치
정맥주사 전담 간호사 분의 iv하는 것 돕기
아동의 활력징후 관찰
O2 oximeter
학생들끼리 선생님 주도하에 iv하기
입원 신체계측 관찰
퇴원시 주의사항 관찰
인슐린 주사 하는 방법 설명하는 것 관찰
x-ray실 동행
피검사 결과 이산화탄소가 많아서 네블라이저 실시 관찰
핵심내용
<아동 정맥주사>
정맥주사는 설사나 탈수 또는 말초혈관 허탈로 인해 흡수가 잘 안되는 아동, 약물의 혈청 농도를 높일 필요가 있는 아동, 그리고 오랫동안 비경구적 투여나 지속적인 통증 조절이 필요한 아동, 응급 치료를 받는 아동에게 이용된다. 정맥주사는 효과가 빠르나 부작용이 생기면 조절하기가 어렵다. 정맥으로 주사하는 대부분의 약물은 희석농도와 주입속도가 정해져 있으며 많은 약물은 혈관외의 조직에 자극이나 독성이 강하다.
정맥주사 부위
: 정맥 주사부위로는 여러 부위가 있는데 생후 며칠 지난 신생아는 대부분 제대정맥을 사용한다. 그리고 전두(frontal), 천측두(superficial temporal), 휘개(posterior), 안와상정맥(supraorbital scalp vein)이 흔히 사용된다. 특히 신생아와 영아에서 표피두정맥(superficial scalp vein)은 valve가 없으므로 양쪽으로 주사가 가능하며 이 부위를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처치를 할 때 두정맥 부위를 조심스럽게 면도하여 정맥 환자 부위를 쉽게 확인하게 해주며 감염가능성을 감소시켜 주고 피부에 테이프가 잘 부착되도록 해 준다.
2. 기구
두정맥 바늘 : 피부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유연하면서 날개 달린 scalp needle
정맥주입세트
지혈대
소독솜
비 알레르기성 테이프
생리식염수 용액
3. 절차
1) 처방된 용액을 폴대에 매달고 관을 통해 소량의 유액을 흘려보내며 공기를 제거한다.
2) 바늘과 주사기는 생리식염수 용액으로 채워서 준비한다.
3) 두피정맥에 놓을 때 간호사는 환아를 잡아야 하거나 머미 억제대를 해야 한다. 환아의 머리를 중앙에 누이고 한쪽으로 돌려서 정맥에 따라 경정맥(jugular vein)에서 천자한다. 억제대를 하고 있는 동안 호흡에 지장을 받지 않도록 간호해야 한다. 사지에 놓을 경우 수정된 머미 억제대를 하는데, 팔이나 다리를 억제하기 위해 부목이 있어야 한다.
4) 지혈대는 사지에 주사할 때만 적용한다. 커다란 고무줄 형태의 지혈대는 두정맥에 삽입 하기전 후두(occiput)와 안와상융기(brow)에 걸쳐맨다.
5) 소독액으로 정맥이 위치한 피부를 소독한다.
6) 경사진 바늘을 위쪽으로 피부에 주사한다. 혈관으로 들어가면 혈액이 주사기내로 나오게 된다.
7) 바늘을 피부에 고정시키고 IV set를 부착한다. 바늘을 안전하게 고정시킨 후 작은 플라스틱이나 종이컵으로 주사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고정시킨다. 이 컵은 주사부위를 감추고 정맥을 압박해서 혈류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몇몇 기관에서는 이것 대신에 테이프 위에 아동의 이름, 재미있는 그림이나 색깔있는 스티커를 붙인다.
8) 적합한 억제대를 한후, 두정맥에 주사했으면 영아의 머리는 양쪽에 모래주머니를 놓아 부동자세를 취해준다. 모래주머니는 2인치 테이프로 잡아매어 머리카락이 달라붙지 않게한다. 사지에 주사하는 경우, 머미 억제대는 없애고 팔이나 다리를 모래주머니나 잘 감싼 부목으로 침상에 고정시켜 억제한다. 팔이나 8자 억제대 같은 다른 종류의 억제대는 바늘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지에 사용된다. 수건이나 기저귀로 고정해 IV부위를 만지지 않도록 영아를 보호한다.
9) 점적률은 주의 깊게 조절한다. 멸균된 부드러운 plastic cath를 바늘의 내경을 통해 정맥으로 삽입한다. Cutdown은 외과적인 절개로 정맥을 노출시키는 방법으로, 일반적인 복재정맥(saphenous vein)에 주사하는데, 정맥의 끝으로 polyethylene tube를 넣어 꿰매 준다. 관은 주입기구와 연결하고 봉합한다. 일반적인 IV 바늘같이 쉽게 빠지지 않기 때문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정맥수액시 점적량과 점적률을 계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아
아동의 정맥주사는 병실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처치실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진다. iv전담 간호사 선생님들 데이, 이브닝에 한분씩 계신다고 한다. 먼저 처방된 용액을 폴대메 매고 용액을 풀어서 공기를
연령
넓이(cm)
길이(cm)
중심지점에서
팔둘레범위(cm)
신생아
3
6
6이하
영아
5
15
6~15
유아
8
21
16~21
청소년
10
24
22~26
종종 혈압이 들리지 않거나 전기기구를 사용할 수 없을 때는 촉진으로 잴 수 있다.
-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일상적으로 혈압을 측정하지 않는다
- 1세 이하의 영아 : 사지와 하지의 혈압이 동일
- 1세 이상의 영아 : 수축기 혈압이 상지보다 하지가 10mmHg정도 높음
환아
체온은 고막체온계를 이용해서 재는데 영유아는 귓바퀴를 후 하방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해야하는데 그렇게 하지 않으시고 체온을 재신다.
0~2세 체온을 재면 대체적으로 높게 나오는데 연령이 낮을수록 기초체온이 높기도 하기 때문이다.
호흡은 맥박을 재면서 아이가 옷 위로 숨 쉬는 것을 보시면서 재며 옷이 두꺼워서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손을 가볍게 올려서 재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맥박은 청진기를 가슴에 대고 심첨맥박을 재는데 초시계를 보면서 1분을 full로 재시지는 않았다. 그리고 맥박을 재는데 청진기의 윗부분을 잡으면 안되지만 잡으시는 선생님들 도 계셨다.
혈압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재지 않아서 잘 볼수 없었지만
유아 혈압 재는 것을 보았는대 모니터로 재며 성인 혈압 커프가 껴져 있어서 유아용 커프로 교체는 한 후 오른팔을 재셨으며 4세 정도 였는데 혈압이 99/66이 나와서 선생님께서 자꾸 애매하게 나오신다고 두 번을 재시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아동 병동에는 접촉격리와 비말 격리방이 있는데 격리방에서의 활력징후 물품은 격리실 앞에 있으며 그 방의 환아들을 그 물품을 쓰는 것을 볼 수 있었다.
Daily # 2 2015. 02. 17
일과
13시 00분 : 이브닝 출근
14시 30분 : 인수인계 듣기
신생아 산소텐트 설치
정맥주사 전담 간호사 분의 iv하는 것 돕기
아동의 활력징후 관찰
O2 oximeter
학생들끼리 선생님 주도하에 iv하기
입원 신체계측 관찰
퇴원시 주의사항 관찰
인슐린 주사 하는 방법 설명하는 것 관찰
x-ray실 동행
피검사 결과 이산화탄소가 많아서 네블라이저 실시 관찰
핵심내용
<아동 정맥주사>
정맥주사는 설사나 탈수 또는 말초혈관 허탈로 인해 흡수가 잘 안되는 아동, 약물의 혈청 농도를 높일 필요가 있는 아동, 그리고 오랫동안 비경구적 투여나 지속적인 통증 조절이 필요한 아동, 응급 치료를 받는 아동에게 이용된다. 정맥주사는 효과가 빠르나 부작용이 생기면 조절하기가 어렵다. 정맥으로 주사하는 대부분의 약물은 희석농도와 주입속도가 정해져 있으며 많은 약물은 혈관외의 조직에 자극이나 독성이 강하다.
정맥주사 부위
: 정맥 주사부위로는 여러 부위가 있는데 생후 며칠 지난 신생아는 대부분 제대정맥을 사용한다. 그리고 전두(frontal), 천측두(superficial temporal), 휘개(posterior), 안와상정맥(supraorbital scalp vein)이 흔히 사용된다. 특히 신생아와 영아에서 표피두정맥(superficial scalp vein)은 valve가 없으므로 양쪽으로 주사가 가능하며 이 부위를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처치를 할 때 두정맥 부위를 조심스럽게 면도하여 정맥 환자 부위를 쉽게 확인하게 해주며 감염가능성을 감소시켜 주고 피부에 테이프가 잘 부착되도록 해 준다.
2. 기구
두정맥 바늘 : 피부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유연하면서 날개 달린 scalp needle
정맥주입세트
지혈대
소독솜
비 알레르기성 테이프
생리식염수 용액
3. 절차
1) 처방된 용액을 폴대에 매달고 관을 통해 소량의 유액을 흘려보내며 공기를 제거한다.
2) 바늘과 주사기는 생리식염수 용액으로 채워서 준비한다.
3) 두피정맥에 놓을 때 간호사는 환아를 잡아야 하거나 머미 억제대를 해야 한다. 환아의 머리를 중앙에 누이고 한쪽으로 돌려서 정맥에 따라 경정맥(jugular vein)에서 천자한다. 억제대를 하고 있는 동안 호흡에 지장을 받지 않도록 간호해야 한다. 사지에 놓을 경우 수정된 머미 억제대를 하는데, 팔이나 다리를 억제하기 위해 부목이 있어야 한다.
4) 지혈대는 사지에 주사할 때만 적용한다. 커다란 고무줄 형태의 지혈대는 두정맥에 삽입 하기전 후두(occiput)와 안와상융기(brow)에 걸쳐맨다.
5) 소독액으로 정맥이 위치한 피부를 소독한다.
6) 경사진 바늘을 위쪽으로 피부에 주사한다. 혈관으로 들어가면 혈액이 주사기내로 나오게 된다.
7) 바늘을 피부에 고정시키고 IV set를 부착한다. 바늘을 안전하게 고정시킨 후 작은 플라스틱이나 종이컵으로 주사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고정시킨다. 이 컵은 주사부위를 감추고 정맥을 압박해서 혈류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몇몇 기관에서는 이것 대신에 테이프 위에 아동의 이름, 재미있는 그림이나 색깔있는 스티커를 붙인다.
8) 적합한 억제대를 한후, 두정맥에 주사했으면 영아의 머리는 양쪽에 모래주머니를 놓아 부동자세를 취해준다. 모래주머니는 2인치 테이프로 잡아매어 머리카락이 달라붙지 않게한다. 사지에 주사하는 경우, 머미 억제대는 없애고 팔이나 다리를 모래주머니나 잘 감싼 부목으로 침상에 고정시켜 억제한다. 팔이나 8자 억제대 같은 다른 종류의 억제대는 바늘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지에 사용된다. 수건이나 기저귀로 고정해 IV부위를 만지지 않도록 영아를 보호한다.
9) 점적률은 주의 깊게 조절한다. 멸균된 부드러운 plastic cath를 바늘의 내경을 통해 정맥으로 삽입한다. Cutdown은 외과적인 절개로 정맥을 노출시키는 방법으로, 일반적인 복재정맥(saphenous vein)에 주사하는데, 정맥의 끝으로 polyethylene tube를 넣어 꿰매 준다. 관은 주입기구와 연결하고 봉합한다. 일반적인 IV 바늘같이 쉽게 빠지지 않기 때문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정맥수액시 점적량과 점적률을 계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아
아동의 정맥주사는 병실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처치실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진다. iv전담 간호사 선생님들 데이, 이브닝에 한분씩 계신다고 한다. 먼저 처방된 용액을 폴대메 매고 용액을 풀어서 공기를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복지법은 아동복지 정책과 실천의 가장 핵심이 되는 법률이므로 아동복지법의 주요 내용...
아동복지론 과제_아동학대의 정의, 유형과 징후, 아동학대요인, 학대현황을 조사하고 아동학...
아동권리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아동들을 직접 양육하는 종사자들을 위해 건강한 아동발달의 ...
아동학대의 실태와 원인, 종류와 최근의 아동학대에 대한 처벌기준 강화법에 대해 기술하고 ...
아동기 발달과 정신건강(아동기 발달과 심리사회적 이해, 아동기 발달과제, 아동기 정신건강 ...
장애아동(지체부자유 아동, 시각장애 아동, 청각장애 아동)
아동발달의 개념(아동발달단계, 아동발달의 원리와 관점, 아동발달영역, 아동관의 변화)
아동발달의 개념과 원리, 아동발달단계 및 아동발달영역, 아동발달의 쟁점, 영유아발달의 원리
아동복지론-외국의 아동복지 발달사와 우리나라의 아동복지 발달사를 요약해서 정리한 후, 비...
아동학대 정의와 관계법령을 정리하고, 아동학대의 유형 및 증상, 아동학대 후유증, 아동학대...
아동발달의 개념과 원리, 아동발달단계, 아동의 발달과제, 아동발달의 쟁점
아동발달 연구방법(아동발달 연구의 목적 및 방법, 아동발달 연구설계방법, 자료수집방법, 아...
아동건강간호학, 아동간호학케이스,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케이스A+++, case study, 아동...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주요 원칙과 아동권리 협약 상의 4가지 아동권리에 대하여 서술하고 현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