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주제 선정 이유
Ⅱ. 화장품 시장의 변화
- 국내 화장품의 시장 규모 현황
Ⅲ. The Face Shop 자사분석
1) 회사 연혁
2) 로고 소개
3) 사업모델 분석
Ⅳ. The Face Shop 성공요인분석
1) 광고모델
2) 인테리어
Ⅴ. 경쟁사 분석
1) 미샤
2) The body shop
3) 올리브영
Ⅵ. STP전략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Ⅶ.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reat
Ⅷ. 4P분석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Ⅱ. 화장품 시장의 변화
- 국내 화장품의 시장 규모 현황
Ⅲ. The Face Shop 자사분석
1) 회사 연혁
2) 로고 소개
3) 사업모델 분석
Ⅳ. The Face Shop 성공요인분석
1) 광고모델
2) 인테리어
Ⅴ. 경쟁사 분석
1) 미샤
2) The body shop
3) 올리브영
Ⅵ. STP전략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Ⅶ.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reat
Ⅷ. 4P분석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본문내용
저가 화장품 브랜드 매장들이 등장하면서 “새로운 시장 창출”이라는 평가도 받고 있다.
온라인 판매를 시작으로 하여 오프라인 매장까지 갖춘 미샤는 초저가 화장품 시장의 선두 주자였고, 그 뒤를 이어 다양한 브랜드에서 초저가 화장품을 선보이고 있다. 그 중에 “더페이스 샵”은 짧은 시간 동안에 많은 여성들의 관심을 끌어 모으는데 유명하다.
비록 미샤 보다 늦게 시장에 진출 했지만 브랜드 인지도와 화장품의 성능 면에서 소비자에게 더 좋은 반응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의 초저가 화장품 브랜드인 미샤와 차별화한다는 전략으로 “자연주의”의 이미지 마케팅을 실시하고 있다. 매장 인테리어에 있어서도 단순하고 깔끔한 이미지로 여성들의 마음을 사로 잡았으며 시장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여 사회전반에 실속형 구매 심리와 웰빙열풍에 맞춰 합리적인 가격과 자연주의 컨셉을 과감하게 접목시켰다.
국내 화장품 시장의 기술력은 거의 비슷한 수준이기 때문에 기술 지향적인 제품보다는 마케팅 지향적인 관점에서의 접근이 중요하다.
우리는 런칭한 지 불과 8개월 밖에 되지 않은 “더 페이스샵”이 이토록 급속도록 성장할 수 있었던 원동력을 살펴볼 것이며 고객층은 누구이며, 판매상품은 무엇인지 경쟁사들의 전략과 환경 및 상황분석을 통해 마케팅 전략을 이끌어 보고자 할 것이다.
Ⅱ. 화장품 시장의 변화
1) 소비자 의식 변화
자연 친화적인 의식과 Health에 대한 관심이 증가 → 웰빙 화장품에 대한 선호 증가
쌩얼 미인이란 신조어가 생기면서 화장품에 대한 인식 변화 → 진한 색 화장보다는 옅은
색의 화장 선호
2) 저가 브랜드의 등장
내수 위축으로 소비심리가 정체 → 가격의 거품을 제거
국내 화장품 시장은 지난 2003년 카드대란 이후 경기 위축이 장기화됨에 따라 초저가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생겨나기 시작하면서 개당 3,000-4,000원의 가격대를 주력으로 하는 브랜드 샵 형태의 시장이 생성되기 시작하였다.
국내 화장품 시장에서 중저가 관련 업체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자연주의 컨셉의 이니스프리는 전년 대비 68% 성장하여 발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다.
3) 유통구조의 변화
브랜드 이미지
대상 제품이 실제로 어떤지는 별도의 개념으로 사람들의 마음속에 형성되어진 상을 뜻함
브랜드 샵이란,
예전에 화장품 전문점이 여러 회사의 제품들을 놓고 파는 것과 달리 특정 제조회사의 제품만을 전문적으로 파는 화장품 유통점을 일컫는다.
업체들은 화장품 용기와 포장비를 저렴하게 생산하고, 광고비용도 줄여 초저가 화장품을 출시하면서 미샤와 더 페이스샵을 선두주자로 2004-2005년도에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었으며 2005년 중순부터는 태평양, LG생활건강 등 대기업들이 진출하게 되었다.
따라서 브랜드 샵의 급성장으로 인해 직거래 유통이 점차적으로 확대되었다.
◐ 국내 화장품 시장 상황분석
국내 화장품 시장은 2006년 소매 매출액 기준 5조 9천 억원의 규모를 꾸준히 안정적인 성장을 기록해 왔다. 2001~ 2006년도에는 연평균 3.3% 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2009년도 시장 규모는 7조 4,000억 원에 이르렀다.
화장품이 필수 소비재로 인식되면서 경기와는 무관하게 지속적인 고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화장품 시장은 유통과 판매망만 확보가 된다면 다른 제조업체들에 비해 비교적 마진율이 크며 안정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초기에 큰 투자 없이도 판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오늘날에 화장품 시장에 대한 관심도 또한 높아지게 되었다.
외모에 대한
관심, 투자 확대
한국이 빠르게 선진국으로 진입하면서 부와 성공의 외양을 강조하는 사회풍조가 확산되고 있다. 잘 가꾼 외모가 직업적, 사회적 성공에 도움이 된다고 믿는 사람이 많은 가운데, 한국인들은 꾸준한 운동과 화장품 사용으로 외양을 가꾸는데 계속해서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하는 여성
증가
일하는 여성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여성의 구매력도 또한 성장하였다.
일하는 여성들이 업무환경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업무에 걸 맞는 외모를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화장품과 미용제품을 소비하고 있다.
저 출산에 따른
여성들의
여가시간 증가
지난 20년동안 여성 1인당 평균 출산율이 크게 하락했고, 2000년대 들어 이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어 출산율이 2001년 1.3명에서 2006년 1.1명으로 하락하였다.
자녀들도 다양한 과외활동으로 집밖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났다. 이 때문에 주부들이 다른 활동을 추구할 여가시간이 많아지면서 화장품과 미용제품을 더 자주 사용하게 되었다.
고객기반 확대
10년 전만 하더라도 화장품은 여성만이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되었지만 현재 모든 연령층의 남성 사이에도 화장품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일반적인 남성도 에프터쉐이브 밤, 로션, 에센스, 토너, 자외선 차단크림 등의 화장품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서구문화의 영향과 저렴한 화장품 출시 덕분에 10대의 화장품 사용 최근 수년간 급증하고 있어, 화장품 시장의 고객기반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Ⅲ. 자사분석
“THE FACE SHOP”은 미주산업 주식회사와 한국 마리코스 화장품(주)가 그 전신이며 2003년 (주) 더 페이스샵 코리아로 상호를 변경하고 12월 가맹점 사업을 출시하였다.
2004년 현재 대표이사 정운호의 취임과 함께 백화점과 대형 할인마트 등에 입점하고, 해외영업부를 신설하여 해외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더 페이스샵은 정직하고 순수한 마음으로 고객에게 다가선다는 기본 컨셉 아래 자연주의 Total Cosmetic Brand로서 “Natural Story\"라는 캐치 플래이즈로 천연식물성 원료를 사용한 600여종의 화장품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공급하고 있다.
전국 90여 개점의 가맹점을 가지고 있으며 점점 그 활동영역을 늘려가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EXO 남자멤버와 수지를 통해 CF, 광고 등 마케팅활동을 하고 있으며 화려한 패키지 비용과 유통마진을 줄인 파격적인 가격에 600~1000여 가지에 달하는 다양한 상품을 공급하고 있다. 주 대상은 20대 후반 여성으로 기초제품을 앞세워 색조화장품, 목
온라인 판매를 시작으로 하여 오프라인 매장까지 갖춘 미샤는 초저가 화장품 시장의 선두 주자였고, 그 뒤를 이어 다양한 브랜드에서 초저가 화장품을 선보이고 있다. 그 중에 “더페이스 샵”은 짧은 시간 동안에 많은 여성들의 관심을 끌어 모으는데 유명하다.
비록 미샤 보다 늦게 시장에 진출 했지만 브랜드 인지도와 화장품의 성능 면에서 소비자에게 더 좋은 반응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의 초저가 화장품 브랜드인 미샤와 차별화한다는 전략으로 “자연주의”의 이미지 마케팅을 실시하고 있다. 매장 인테리어에 있어서도 단순하고 깔끔한 이미지로 여성들의 마음을 사로 잡았으며 시장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여 사회전반에 실속형 구매 심리와 웰빙열풍에 맞춰 합리적인 가격과 자연주의 컨셉을 과감하게 접목시켰다.
국내 화장품 시장의 기술력은 거의 비슷한 수준이기 때문에 기술 지향적인 제품보다는 마케팅 지향적인 관점에서의 접근이 중요하다.
우리는 런칭한 지 불과 8개월 밖에 되지 않은 “더 페이스샵”이 이토록 급속도록 성장할 수 있었던 원동력을 살펴볼 것이며 고객층은 누구이며, 판매상품은 무엇인지 경쟁사들의 전략과 환경 및 상황분석을 통해 마케팅 전략을 이끌어 보고자 할 것이다.
Ⅱ. 화장품 시장의 변화
1) 소비자 의식 변화
자연 친화적인 의식과 Health에 대한 관심이 증가 → 웰빙 화장품에 대한 선호 증가
쌩얼 미인이란 신조어가 생기면서 화장품에 대한 인식 변화 → 진한 색 화장보다는 옅은
색의 화장 선호
2) 저가 브랜드의 등장
내수 위축으로 소비심리가 정체 → 가격의 거품을 제거
국내 화장품 시장은 지난 2003년 카드대란 이후 경기 위축이 장기화됨에 따라 초저가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생겨나기 시작하면서 개당 3,000-4,000원의 가격대를 주력으로 하는 브랜드 샵 형태의 시장이 생성되기 시작하였다.
국내 화장품 시장에서 중저가 관련 업체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자연주의 컨셉의 이니스프리는 전년 대비 68% 성장하여 발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다.
3) 유통구조의 변화
브랜드 이미지
대상 제품이 실제로 어떤지는 별도의 개념으로 사람들의 마음속에 형성되어진 상을 뜻함
브랜드 샵이란,
예전에 화장품 전문점이 여러 회사의 제품들을 놓고 파는 것과 달리 특정 제조회사의 제품만을 전문적으로 파는 화장품 유통점을 일컫는다.
업체들은 화장품 용기와 포장비를 저렴하게 생산하고, 광고비용도 줄여 초저가 화장품을 출시하면서 미샤와 더 페이스샵을 선두주자로 2004-2005년도에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었으며 2005년 중순부터는 태평양, LG생활건강 등 대기업들이 진출하게 되었다.
따라서 브랜드 샵의 급성장으로 인해 직거래 유통이 점차적으로 확대되었다.
◐ 국내 화장품 시장 상황분석
국내 화장품 시장은 2006년 소매 매출액 기준 5조 9천 억원의 규모를 꾸준히 안정적인 성장을 기록해 왔다. 2001~ 2006년도에는 연평균 3.3% 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2009년도 시장 규모는 7조 4,000억 원에 이르렀다.
화장품이 필수 소비재로 인식되면서 경기와는 무관하게 지속적인 고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화장품 시장은 유통과 판매망만 확보가 된다면 다른 제조업체들에 비해 비교적 마진율이 크며 안정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초기에 큰 투자 없이도 판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오늘날에 화장품 시장에 대한 관심도 또한 높아지게 되었다.
외모에 대한
관심, 투자 확대
한국이 빠르게 선진국으로 진입하면서 부와 성공의 외양을 강조하는 사회풍조가 확산되고 있다. 잘 가꾼 외모가 직업적, 사회적 성공에 도움이 된다고 믿는 사람이 많은 가운데, 한국인들은 꾸준한 운동과 화장품 사용으로 외양을 가꾸는데 계속해서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하는 여성
증가
일하는 여성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여성의 구매력도 또한 성장하였다.
일하는 여성들이 업무환경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업무에 걸 맞는 외모를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화장품과 미용제품을 소비하고 있다.
저 출산에 따른
여성들의
여가시간 증가
지난 20년동안 여성 1인당 평균 출산율이 크게 하락했고, 2000년대 들어 이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어 출산율이 2001년 1.3명에서 2006년 1.1명으로 하락하였다.
자녀들도 다양한 과외활동으로 집밖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났다. 이 때문에 주부들이 다른 활동을 추구할 여가시간이 많아지면서 화장품과 미용제품을 더 자주 사용하게 되었다.
고객기반 확대
10년 전만 하더라도 화장품은 여성만이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되었지만 현재 모든 연령층의 남성 사이에도 화장품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일반적인 남성도 에프터쉐이브 밤, 로션, 에센스, 토너, 자외선 차단크림 등의 화장품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서구문화의 영향과 저렴한 화장품 출시 덕분에 10대의 화장품 사용 최근 수년간 급증하고 있어, 화장품 시장의 고객기반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Ⅲ. 자사분석
“THE FACE SHOP”은 미주산업 주식회사와 한국 마리코스 화장품(주)가 그 전신이며 2003년 (주) 더 페이스샵 코리아로 상호를 변경하고 12월 가맹점 사업을 출시하였다.
2004년 현재 대표이사 정운호의 취임과 함께 백화점과 대형 할인마트 등에 입점하고, 해외영업부를 신설하여 해외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더 페이스샵은 정직하고 순수한 마음으로 고객에게 다가선다는 기본 컨셉 아래 자연주의 Total Cosmetic Brand로서 “Natural Story\"라는 캐치 플래이즈로 천연식물성 원료를 사용한 600여종의 화장품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공급하고 있다.
전국 90여 개점의 가맹점을 가지고 있으며 점점 그 활동영역을 늘려가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EXO 남자멤버와 수지를 통해 CF, 광고 등 마케팅활동을 하고 있으며 화려한 패키지 비용과 유통마진을 줄인 파격적인 가격에 600~1000여 가지에 달하는 다양한 상품을 공급하고 있다. 주 대상은 20대 후반 여성으로 기초제품을 앞세워 색조화장품, 목
키워드
추천자료
타이레놀의 마케팅전략분석/회사소개, 탄생과 역사, 가치, 연혁/제품의 종류/타사 제품 소개 ...
노스페이스(The North face) 마케팅전략/아웃도어(Outdoor) 시장현황분석/ 성공전략/기업소개...
블랙야크(Black Yak) 마케팅전략분석/ 서론/아웃도어 시장현황/시장환경분석/스포츠 용품산업...
[비즈니스/경제] KFC마케팅전략/선정이유/시장환경분석/자사분석/KFC 경영전략과 마케팅/경쟁...
KFC마케팅전략/선정이유/시장환경분석/자사분석/KFC 경영전략과 마케팅/경쟁사(롯데리아,맥도...
블랙스미스 마케팅전략/서론/외식업계시장환경분석과 발달과정/패밀리레스토랑 구조환경분석/...
투썸플레이스(A TWOSOME PLACE) 마케팅전략/서론/커피제품시장분석/베이커리카페 분석과 현황...
Starbucks Delivering Customer service - 스타벅스,스타벅스마케팅,스타벅스마케팅전략,스타...
스타벅스,스타벅스마케팅,스타벅스기업분석,스타벅스마케팅전략,스타벅스swot,스타벅스stp,커...
스타벅스(STAR BUCKS) 커피시장분석,마케팅전략사례,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
신라면 vs 나가사끼 짬뽕 - 신라면마케팅전략,나가사끼마케팅전략,라면시장비교분석,라면시장...
옴니에어,가습기시장분석,에어워시란,기업분석,마케팅성공전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
핫식스(hot6ix) 마케팅전략 - 기업선정이유/에너지 음료 시장분석/자사분석/핫식스소개/에너...
코오롱 아웃도어보고서-아웃도어시장분석,스포츠마케팅성공전략사례,,코오롱성공전략,브랜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