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
2. 각 시기별 언어 활용 사례
1) 고대국어
2) 중세 국어
3) 근대 국어
3. 각 시기의 언어적 특성
1) 고대 국어
2) 중세 국어
3) 근대 국어
4) 개화기 국어
III. 결론
참고자료
II. 본론
1.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
2. 각 시기별 언어 활용 사례
1) 고대국어
2) 중세 국어
3) 근대 국어
3. 각 시기의 언어적 특성
1) 고대 국어
2) 중세 국어
3) 근대 국어
4) 개화기 국어
III.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 중세(전기, 후기), 근대’로 시대를 구분하고 있지만 현대를 상정 않은 모습도 보인다. 현대 국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음운 규칙이라든지 한글 맞춤법에 관련된 단원에서 기술할 수 있으나, 국어의 흐름을 학습하는 단원에서 현대 국어를 상정하고 있지 않으면 자칫 학생들이 현대 국어는 국어사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인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시대 구분에 있어서 그 시기를 고대는 대체로 통일신라까지로, 중세는 10세기에서 16세기말까지로, 근대는 17세기에서 19세기말까지로, 현대는 갑오개혁이후로 상정하고 있다. 이는 시대 구분에 대해 언급해 놓은 모든 교과서에서 통일되게 나타난다.
2. 각 시기별 언어 활용 사례
1) 고대국어
(1)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의 고유 명사 표기
국어사의 시대 구분에서 중세 국어 이전의 시기인 고대 국어는 그 모습을 완벽하게 파악할 수는 없다. 전해 내려오는 당시의 국어 문헌 자료가 적기 때문이다. 고대 국어의 모습을 파악하는 자료 중의 하나로 고유 명사 표기를 들 수 있다. 고유 명사 표기는 차자 표기의 일부이다. 고유명사 표기에 있어서는 음독 표기, 석독 표기, 그리고 이들의 혼합 표기가 있다. 이 중 한 이름에 대해서 음독 표기와 석독 표기가 병존할 때 그것은 가장 믿음직한 언어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이기문, 신정판 국어사개설, 태학사, 1998.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국어 교과서에서는 ‘고유 명사 표기’를 학습하기 위한 언어 자료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주로 제시하고 있다. 많은 교과서에서 수록한 언어 자료를 보이면 아래와 같다.
‘고유 명사 표기’의 언어 자료
素那(或云金川) 白城郡蛇山人也 - “삼국사기” 권 제47
永同君 本吉同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 “삼국사기” 권 제34
因名赫居世王 (盖鄕言也 或作弗矩內王 言光明理世也) - “삼국유사” 권 제1
김유범(2009)에서는 고유어 이름을 통한 차자표기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차자표기법의 발달이 고유 명사를 한자를 빌려 적고자하는 욕구로부터 시작된 것이라고 볼 때, 오늘날 쓰이고 있는 고유 명사를 한자를 이용해 적어 보는 과정은 차자표기법의 특성을 이해하는 매우 유익한 교육 방법이 되기 때문이다. 김유범, 한국의 한자 차자표기법에 대한 문자학적 조명과 교육 방안의 모색, 인간과 문화연구, 동의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2009.
고유명사들을 한자로 표기한 예(김유범, 2009)
(ㄱ) 아름, 노을, 하나, 바다, ...
(ㄴ) 美音, 霞乙, 一那, 海兒, ...
(2) 향가
향찰 자료는 신라어를 연구하는 데 쓰이는 귀중한 자료이다. 삼대목(三代目)이 전하지 않는 지금, ‘삼국유사’에 실린 향가 14수는 창해유주(滄海遺珠)와 같은 존재이다. 이들은 간혹 고려 시대의 변개의 흔적이 아닌가 의심되는 것이 나타나지만 전반적으로는 신라 시대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무방할 것이다(이기문, 1998). 향가는 불교의식요 및 한시와 구별되는 우리 고유의 우리말 노래이며, 사설이 중요시되며 개인작으로 받아들여진 서정시이다. 향가가 등장해 우리말 노래도 한시와 함께 중세로 들어섰다는 점에서 국문학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조동일, 2005).
2) 중세 국어
(1) 용비어천가
용비어천가는 국어사적으로나 국문학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작품이다. 용비어천가는 악장 문학의 높은 문학적 수준을 성취한 작품이며, 중세 국어의 모습을 잘 드러내는 언어 자료이기도 하다. 따라서 예전부터 국어, 문법, 문학 교과서에서 자주 다루어졌다. 용비어천가는 작품에 대한 감상과 함께 국어사적 측면의 이해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런데 교재에 수록되는 측면에서 보면, 중세 국어 자료로는 ‘훈민정음’이 이미 존재한다. 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는 거의 같은 시기의 언어 자료이다. 용비어천가 자체로는 매우 중요한 작품이지만, 훈민정음과 비교해 보았을 때 중요도가 다소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다.
훈민정음을 ‘한글’과 관련된 별도의 독립된 단원에서 다룬다면 용비어천가를 중세 국어의 대표적인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러나 훈민정음을 중세 국어 단원과 통합해서 다룬다면 중세 국어의 언어 자료로서 훈민정음을 우선 다루어야 하고, 용비어천가는 문학 단원에서 다루되 작품의 감상에 그치지 말고 국어사적 접근에서 다루는 시도도 필요할 것이다.
교과서에 실려 있는 용비어천가는 1, 2, 7, 125장인데, 이 중 제2장이 압도적으로 높다. 제2장이 많이 제시된 것은 이 장이 교술적 목적시(敎述的目的詩)가 가지는 문학적 결함을 극복하고, 조선 왕조를 송축하는 뜻이 간절할 뿐 아니라 철학적 깊이까지 지니고 있어 용비어천가 총 125장 중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 장이기 때문이다
(2) 훈민정음
15세기 중엽 ‘훈민정음’의 창제는 국어사 연구에서 각별한 주목을 받아왔다. 또한 국어 교육에서도 많은 관심을 보여서 교육과정이 수립된 이후로 빠짐없이 교육 내용에 들어가 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국어의 역사’ 항목과 별개로 ‘한글 창제의 원리와 한글의 독창성’ 항목을 설정하여 반드시 다루도록 하였다. 그 결과 2007 개정 교육과정의 16종 모든 국어 교과서에 훈민정음 관련 내용이 수록이 되었다.
훈민정음의 교육적 의의와 중요성은 수차례 논의되어 온 부분이다. 훈민정음은 중세 국어의 자료일 뿐 아니라 그 자체가 한글 창제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학습 자료가 된다. 현대적인 관점에서 한글을 분석한 글과 연결시켜서 교수학습하여도 큰 의미가 있을 것이며, 고등학생들이 접하기에도 적절하고 고등학생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언간(한글 편지)
최근 국어사 교육에서 언간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조선시대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약 400여년에 걸쳐 다양한 지역, 다양한 내용, 다양한 계층의 한글편지가 전해지고 있으며, 특히 1970년대 말 이후로 다수의 무덤편지가 발굴되어 이에 대한 해독과 역주 작업의 결과가 발표되면서 국어사 연구와 생활사 측면에서 주요한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완산 이씨 언간
아긔개
너. .나 보.니 모. 처엄으로 먼리 .나니 못 닛. 졍은 닐러 알 일이 아니니 다시
시대 구분에 있어서 그 시기를 고대는 대체로 통일신라까지로, 중세는 10세기에서 16세기말까지로, 근대는 17세기에서 19세기말까지로, 현대는 갑오개혁이후로 상정하고 있다. 이는 시대 구분에 대해 언급해 놓은 모든 교과서에서 통일되게 나타난다.
2. 각 시기별 언어 활용 사례
1) 고대국어
(1)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의 고유 명사 표기
국어사의 시대 구분에서 중세 국어 이전의 시기인 고대 국어는 그 모습을 완벽하게 파악할 수는 없다. 전해 내려오는 당시의 국어 문헌 자료가 적기 때문이다. 고대 국어의 모습을 파악하는 자료 중의 하나로 고유 명사 표기를 들 수 있다. 고유 명사 표기는 차자 표기의 일부이다. 고유명사 표기에 있어서는 음독 표기, 석독 표기, 그리고 이들의 혼합 표기가 있다. 이 중 한 이름에 대해서 음독 표기와 석독 표기가 병존할 때 그것은 가장 믿음직한 언어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이기문, 신정판 국어사개설, 태학사, 1998.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국어 교과서에서는 ‘고유 명사 표기’를 학습하기 위한 언어 자료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주로 제시하고 있다. 많은 교과서에서 수록한 언어 자료를 보이면 아래와 같다.
‘고유 명사 표기’의 언어 자료
素那(或云金川) 白城郡蛇山人也 - “삼국사기” 권 제47
永同君 本吉同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 “삼국사기” 권 제34
因名赫居世王 (盖鄕言也 或作弗矩內王 言光明理世也) - “삼국유사” 권 제1
김유범(2009)에서는 고유어 이름을 통한 차자표기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차자표기법의 발달이 고유 명사를 한자를 빌려 적고자하는 욕구로부터 시작된 것이라고 볼 때, 오늘날 쓰이고 있는 고유 명사를 한자를 이용해 적어 보는 과정은 차자표기법의 특성을 이해하는 매우 유익한 교육 방법이 되기 때문이다. 김유범, 한국의 한자 차자표기법에 대한 문자학적 조명과 교육 방안의 모색, 인간과 문화연구, 동의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2009.
고유명사들을 한자로 표기한 예(김유범, 2009)
(ㄱ) 아름, 노을, 하나, 바다, ...
(ㄴ) 美音, 霞乙, 一那, 海兒, ...
(2) 향가
향찰 자료는 신라어를 연구하는 데 쓰이는 귀중한 자료이다. 삼대목(三代目)이 전하지 않는 지금, ‘삼국유사’에 실린 향가 14수는 창해유주(滄海遺珠)와 같은 존재이다. 이들은 간혹 고려 시대의 변개의 흔적이 아닌가 의심되는 것이 나타나지만 전반적으로는 신라 시대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무방할 것이다(이기문, 1998). 향가는 불교의식요 및 한시와 구별되는 우리 고유의 우리말 노래이며, 사설이 중요시되며 개인작으로 받아들여진 서정시이다. 향가가 등장해 우리말 노래도 한시와 함께 중세로 들어섰다는 점에서 국문학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조동일, 2005).
2) 중세 국어
(1) 용비어천가
용비어천가는 국어사적으로나 국문학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작품이다. 용비어천가는 악장 문학의 높은 문학적 수준을 성취한 작품이며, 중세 국어의 모습을 잘 드러내는 언어 자료이기도 하다. 따라서 예전부터 국어, 문법, 문학 교과서에서 자주 다루어졌다. 용비어천가는 작품에 대한 감상과 함께 국어사적 측면의 이해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런데 교재에 수록되는 측면에서 보면, 중세 국어 자료로는 ‘훈민정음’이 이미 존재한다. 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는 거의 같은 시기의 언어 자료이다. 용비어천가 자체로는 매우 중요한 작품이지만, 훈민정음과 비교해 보았을 때 중요도가 다소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다.
훈민정음을 ‘한글’과 관련된 별도의 독립된 단원에서 다룬다면 용비어천가를 중세 국어의 대표적인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러나 훈민정음을 중세 국어 단원과 통합해서 다룬다면 중세 국어의 언어 자료로서 훈민정음을 우선 다루어야 하고, 용비어천가는 문학 단원에서 다루되 작품의 감상에 그치지 말고 국어사적 접근에서 다루는 시도도 필요할 것이다.
교과서에 실려 있는 용비어천가는 1, 2, 7, 125장인데, 이 중 제2장이 압도적으로 높다. 제2장이 많이 제시된 것은 이 장이 교술적 목적시(敎述的目的詩)가 가지는 문학적 결함을 극복하고, 조선 왕조를 송축하는 뜻이 간절할 뿐 아니라 철학적 깊이까지 지니고 있어 용비어천가 총 125장 중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 장이기 때문이다
(2) 훈민정음
15세기 중엽 ‘훈민정음’의 창제는 국어사 연구에서 각별한 주목을 받아왔다. 또한 국어 교육에서도 많은 관심을 보여서 교육과정이 수립된 이후로 빠짐없이 교육 내용에 들어가 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국어의 역사’ 항목과 별개로 ‘한글 창제의 원리와 한글의 독창성’ 항목을 설정하여 반드시 다루도록 하였다. 그 결과 2007 개정 교육과정의 16종 모든 국어 교과서에 훈민정음 관련 내용이 수록이 되었다.
훈민정음의 교육적 의의와 중요성은 수차례 논의되어 온 부분이다. 훈민정음은 중세 국어의 자료일 뿐 아니라 그 자체가 한글 창제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학습 자료가 된다. 현대적인 관점에서 한글을 분석한 글과 연결시켜서 교수학습하여도 큰 의미가 있을 것이며, 고등학생들이 접하기에도 적절하고 고등학생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언간(한글 편지)
최근 국어사 교육에서 언간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조선시대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약 400여년에 걸쳐 다양한 지역, 다양한 내용, 다양한 계층의 한글편지가 전해지고 있으며, 특히 1970년대 말 이후로 다수의 무덤편지가 발굴되어 이에 대한 해독과 역주 작업의 결과가 발표되면서 국어사 연구와 생활사 측면에서 주요한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완산 이씨 언간
아긔개
너. .나 보.니 모. 처엄으로 먼리 .나니 못 닛. 졍은 닐러 알 일이 아니니 다시
키워드
추천자료
[공룡][공룡멸종][공룡 종류][공룡멸종 시대별 역사][공룡멸종 원인][공룡멸종설]공룡의 정의...
[로마 교육][로마의 교육][로마]로마교육(로마의 교육)의 목적, 로마교육(로마의 교육)의 시...
[사회복지] 우리나라 사회복지법의 역사적 전개를 각 시대적 배경과 연관하여 설명하고, 각 ...
[조각][미술 조각][미술][후삼국시대 조각][부산 조각][조각의 정의][조각의 역사]조각(미술 ...
한지의 역사, 한지의 종류 - 삼국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 종이와 문학, 원료/용도/형태/생산...
입체파(입체주의, 큐비즘) 미술 특성, 입체파(입체주의, 큐비즘) 미술 탄생, 입체파(입체주의...
[광고역사의 개관] 광고의 역사적 배경(광고의 시대적 흐름)
[사회복지]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등장배경부터 발전과정을 역사적으로 구분하여 기술하고...
[의복의 역사] 조선시대 의복(조선시대 복식의 특징, 개짐, 서민들의 의복, 기녀들의 의복, ...
[주일학교교육론]주일학교 교육의 역사 - 구약시대, 신약시대, 초대교회, 중세와 종교개혁시...
[청소년문제와 보호] 청소년 역사와 문화 이해 - 시대별 청소년,고대와 중세시대 청소년 이해...
[사회복지발달사] 사회보장의 출현과 복지국가의 성립 {개념과 시대 구분, 배경, 사회보장의 ...
[복지국가 확충] 복지국가 의미와 시대 구분, 복지국가 확충의 방향, 복지국가 확충, 외국 국...
아동의 개념과 아동복지의 이념 및 아동복지법의 발전과정(아동의 개념, 아동복지의 이념, 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