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카[和歌]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와카[和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遍照], 오노노 고마치[小野小町], 훈야노 야스히데[文屋康秀], 기센[喜撰], 오토모노 구로누시[大友主]이며, 이들 중 나리히라, 헨조, 고마치가 이 시기의 대표적인 가인이다.
나라히라는 에이안왕조 시대를 대표하는 풍류인으로 풍부한 감정을 간결하게 표현하였고, 여정(余情), 여운이 남는 노래를 읊었다. 헨조는 여유롭고 소탈한 시의 세계를 보여 주었으며, 고마치는 『고킨슈』를 대표하는 여류가인으로 사랑의 체험을 내면적으로 심화시켜, 인생의 비애사랑의 슬픔을 담은 서정적인 노래를 남겼다.
見ずもあらず
안 본 것도 아니요
見もせぬ人の
본 것도 아닌
しくは
님 그리워
あやなく今日や
오늘도 속절없이
ねがめくらさむ
하루가 지나가네
(제11권사랑1아리와라노 나리히라)
名にめでて
안 본 것도 아니요
をそればかりぞ
본 것도 아닌
女花
님 그리워
われおちにきと
오늘도 속절없이
人に語るな
하루가 지나가네
(제4권가을 상헨조)
うたたねに
선잠에
しき人を
고운 님
見てしより
뵈온 후론
夢てふものは
덧없는 꿈마저
たのみそめてき
이리도 기다려집니다
(제12권사랑2오노노 고마치)
3) 제3기(편찬자 시대)
글자 그대로 『고킨슈』가 편찬된 시기를 말한다. 기노쯔라유키[紀貴之](868~945)등 편찬자들이 활약한 시기이다. 『고킨슈』에 작자명이 기록되어 있는 약 130명의 가인중 과반수 이상이 이 시기에 작품을 남겼으며, 편의상 3기로 구분하였지만 이 시기가 『고킨슈』의 중심을 이룬다.
기노 쯔라유키는 『고킨슈』를 대표하는 가인으로서, 『고킨슈』편찬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신분은 낮았지만 와카의 지위를 향상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의 노래는 신선한 착상과 새로운 구상을, 조코토바[序詞], 가케코토바[掛詞] 연어(語) 등의 다양한 수사법을 구사하여 표현, 『고킨슈』의 주류를 이루는 가풍을 창출하였다. 또한, 최초의 가나로 된 일기인 도사일기(土佐日記)를 쓰는 등 가나문학의 발달에 많은 공적을 남긴 가인이다.
편찬자 이와의 가인으로는 탐미성이 농후한 노래를 읊은 소세이[素性], 여류시인으로 사랑의 번뇌를 섬세하고 세련되게 읊어 앞서 인용한 고마치[小町]와 쌍벽을이루는 이세[伊勢]등이 있다.
結ぶ手の
고개마루 옹달샘
しづくににごろ
포갠 손 사이
山の井の
떨어지는 물방울......
あかでも人に
목마르는 아쉬움은
わかれぬるかな
그 여인과의 짧은 해후이어라
(제8권이별가기노 쯔라유키)
心あてに
맘 가는 대로
折らばや折らむ
한송이 꺾어 볼까나
初霜の
첫서리
置きまどはせる
내려앉은
白菊の花
흰 국화꽃
(제5권가을 하오시고우치노미쯔네)
心ありあけの
지새는 달,
つれなくみえし
무정하기만 하던
わかれより
이별 후론
あつきばかり
새벽처럼
うきものはなし
괴로운 것 다시 없네
(제13권사랑3미부노 다다미네)
冬枯れの
황량한 겨울 들판
野べとわが身を
타오르는 불이
思ひせば
될 수만 있다면
燃えても春を
이 몸이 태워서라도
待たましものを
다시 봄을 기다리는 것을
(제15권사랑5이세)
3. 신코킨와카슈[新古今和歌集]
-와카문학의 완결편-
『신코킨와카슈』는 와카문학의 정점을 이룬 가집으로 평가되며, 고전에 바탕을 둔 신고킨 세계의 상징주의적인 수법은 렌가[連歌]노[能] 등의 예술에, 그리고 근대에 들어와서는 낭만주의 시 운동 등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다양한 이미지를 오버랩시켜 허구적 세계를 구축해 간 신코킨 노래의 세계는, 사물의 본질(본의本意)에 중점을 두었으며, 격변하는 시대상황, 불교적 무상감의 영향 하에서 더욱 그 시적(詩的) 깊이를 더해 가게 된다.
(1) 성립
『고킨슈』이후 헤이안 시대 말기까지 7대 칙찬집이 편찬되며, 와카는 점차 전문화예술화의 길을 걸어간다.
우타아와세, 백수가(百首歌정해진 제목에 따라 한 사람이 백 수의 노래를 읊음)등의 유행은 와카의 연마에 박차를 가하였으며, 동시에 와카의 이론을 모색하는 와카평론(歌論), 와카에 관한 학문(歌) 등이 성행하여 이를 뒷받침한다. 그러면서 차츰 와카를 전문으로 계승해 가는 가계(家系), 집안이 생겨난다. 와카는 개인의 창작이며 가인의 자질이 작품을 좌우할 텐데, 집안의 전통으로 세습되어 가면서 대를 이은 시인들의 활동에 의해 그 성격도 차츰 변질되어 간다.
약 400년간 귀족문화의 꽃을 피어 왔던 헤이안 왕조는 여러 차례의 전란 끝에 막을 내리고 권력은 무사들의 손에 넘어가게 되며, 귀족들은 급변해 가는 시대상황 속에서 무력할 수밖에 없었다. 『신코킨슈』는 이런 상황 속에서 가마쿠라 초기인 1250년에 완성된다. 화려했던 왕조시대에의 동경을 예술의 세계, 와카의 세계에 응축시킨 것이 바로 『신코킨슈』라 할 수 있다.
성립과정은 다른 시가집보다 비교적 잘 알려져 있는데, 가집 성립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은 칙명을 내린 고토바인[後鳥弱院](1180~1239)이다. 고토바인은 대규모의 우타아와세를 개최하는 등 와카가단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으며, 와카도코로[和歌所칙찬집 편찬업무를 맡아보던 임시관청]를 부활시켜 11명의 담당자를 임명하고, 그 중에서 미나모토노 미치토모[原通具], 후지와라노 마사쯔네[藤原有家], 자쿠렌[寂蓮]등의 6명에게 칙찬집의 편찬을 명한다. 그러나 자쿠렌은 다음해에 사망하고, 고토바인을 중심으로 한 5명의 편찬자에 의해 편찬작업이 진행되어 1205년 『신코킨슈』는 완성된다. 완성 후에도 고토바인에 의해 가집(歌集)의 개정작업은 계속되며 30년 후 고토바인이 유배지인 오키[岐]에서 재 편찬한 오키본[岐本]이 만들어지기까지 오랜 성립의 역사를 갖는다. 권력을 잃은 천황의, 예술에 대한 집착을 단적으로 보여 주는 것이 『신코킨슈』의 편찬 과정이라 할 수 있겠다.
(2) 내용
전 20권으로 노래 수는 약 2,000수이며, 전부 단가형식이다. 이름이 알려진 총 작자 수는 396명으로, 그 중 10수 이상 수록되어 있는 작자는 46명이며, 『고킨슈』에 비해 작자미상의 노래는 훨씬 적다. 동시대 가인들의 노래와 함께 만요 이후의 옛 가인들의 노래도 함께 수록되어 있는데, 중심이 된 것은 역시 동시대 가인들의 작품이다. 동시대 가인들 중 수록된 노래 수가 많은 가인은 사이교[西行](94수), 지엔[慈圓](92수), 요시쯔네[良](79수),
  • 가격1,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5.03.13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94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