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원의 말을 찾아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순원의 말을 찾아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가 이순원에 대해서.
2. 작품 소개
3.서사구조
4. 작품의 이해
5. 제목 <말을 찾아서>에 대해
6. 그레마스 - 행위자모델
7.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과의 연관성

본문내용

리, 그 리고 메밀꽃이 흐드러지게 핀」그곳을 연상하게 한다. 첫 번째로 배경에 대해 살펴보 자면 봉평과 대화, 그리고 메밀밭이라는 공통적 배경이 있다는 것뿐만 아니라 메밀밭 이 아버지와 아들의 동질성을 찾아가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나귀와 아버지(허생원, 아부제)와의 동일성이다. ‘메밀꽃 필 무렵’에서 허 생원과 나귀가 장돌뱅이 20년의 생활을 함께 지냈다는 점, '가스러진 목덜미'나 '개진 젖은 눈' 등의 외모가 서로 닮았다는 점뿐만 아니라, 나귀가 암탕나귀를 보고 욕정을 부리며 발광하는 것이 허 생원이 충주집을 대하는 태도와 일치하고 있다. 이것으로 보아 나귀는 허생원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 동물로 허 생원의 상징적인 존재라고 볼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메밀꽃 필 무렵
말을 찾아서
인물
허생원-성서방네 처녀-의부
아부제-당숙모
매개동물
나귀
노새
인연
우연한 만남
수호의 의지
주인공
동이
수호
관계
친자
양자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작품은 구체적으로 원작을 모방한 창작 배경이나 부자 관계 이야기, 노새나 말의 상징적 암시가 유사한 모티프들이다. 아부제는 자식에 대한 열망과 그에 따라 양자에 대해 헌신적인 애정과 관심을 갖는다. 하지만 수호는 받아들이려 하지 않고 갈등을 겪으면서 양자 관계를 맺기까지 현실에 대해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입장에서 노력한다. 따라서 이 작품은 원작의 분위기와 향수를 고스란히 전하면서 원작에서 느껴지는 순수하고 아름다운 혈육의 정보다는 인위적인 양자 관계에서 느끼는 갈등 속에서 더 끈끈하고 애달픈 양부의 사랑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메밀꽃 필 무렵>의 주인공들은 그들의 삶에 대해 고민하거나 갈등을 느끼지 않고, 그리고 운명적 삶에 불행이나 슬픔을 느끼지 않고 현실에 순응한다. 또한 <메밀꽃 필 무렵>에서의 배경은 참신한 비유적 표현으로 쓰이고 시적언어에 흡사할 정도로 섬세하면서도 미묘한 색조를 불러일으킨다. 낭만적 정취가 듬뿍한 달밤의 정취 하에 삶과 자연이 어우러진 환상적 분위기이다. 이런 분위기에 걸맞게 허생원과 동이의 부자 관계 암시는 자연의 일부처럼 수동적이며 동화된 모습이다. <말을 찾아서>는 원작에 비해 서정적 정취나 치밀한 묘사가 미흡하지만 친 혈육이 없는 당숙의 인간적 고뇌와 갈등을 엿볼 수 있다. 수호가 당숙을 찾아 아부제란 호칭을 부름으로써 부자 관계를 수용하기에 아부제는 이것을 확인함으로써 갈등을 해소하는 것이다. 특히 전반부의 정겨운 달밤에 펼쳐진 메밀밭이나 노새의 방울 소리를 들으며 걷는 풍경은 원작에 아주 흡사한 분위기를 느끼게 한다. 그러나 원작처럼 인간이 자연의 일부로 융합된 한 폭의 그림이라기보다는 부자 관계 맺기를 확인하는 정겨운 분위기 묘사이다. 문체는 훨씬 간결하며 사실적이다.
<참고문헌>
“1996 이상 문학상 작품집”, 문학사상사, 1996.
신익호, "『메밀꽃 필 무렵』과 『말을 찾아서』, 『날개』와 『이상의 날개』의 상호텍스트성", 현대문학이론연구 Vol.21, 현대문학이론학회, 2004.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3.13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94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