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구조와 기능
Ⅱ.주요 질환
Ⅲ.주요 시술과 검사
Ⅳ.기타 학습
Ⅱ.주요 질환
Ⅲ.주요 시술과 검사
Ⅳ.기타 학습
본문내용
고 방사성 물질은 8시간 이내에 배설된다고 설명해 준다. 간호사는 검사 동안 대상자를 편안하게 해주고 정상적으로 호흡하도록 돕는다. 다양한 폐사진을 얻기 위해 기계가 가슴 위로 움직인다는 것을 말해준다.
아. Skin test(Mantoux intradermal skin test) 결핵검사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
-검사목적 : 결핵에 감염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이다.
-검사방법 : purified protein derivative 0.1ml를 전박내측에 피내주사
-의의&정상치 : 경결이 6mm이상(양성)이면 과거 혹은 현재 감염을 의미하고, 6mm미만(음성)은 거의 혹은 전혀 감수성이 없음을 의미한다. 양성반응이라고 해서 활동성 결핵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흉부 X-선 촬영이 필요하다.
-간호 및 주의사항 : 활동성 결핵환자나 BCG접종을 받은 대상자는 검사를 금기한다. 검사 부위를 긁거나 만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검사 후 주입부위가 가렵고 아플 수 있지만 되도록 만지지 않도록 한다. 밴드를 붙이거나 주물러도 검사 결과가 부정확해질 수 있다.
자. Thoracentesis 흉강천자
-검사목적 : 검사물 채취, 흉막액 제거 또는 흉막강 내 약물주입을 위해서 이다.
-검사방법 : 흉강 내에 바늘을 삽입하여 시행한다.
-의의&정상치 : 흉수 Pleural Fluid는 흉막강 내에 액채가 고인 상태를 말한다. 즉 흉수란 암이나 세균감염에 의한 흉막염이나 심부전에서 흉강 내에 정체되어 있는 액체로서 흉부 X-선 사진이나 CT, 초음파 검사로 진단. 정상인 경우에도 소량의 흉수는 존재하여 폐의 유동성에 도움을 준다. 이상적으로 증가 한 경우는 병적이라고 할 수 있다. 흉강 천자를 통해 폐의 병적 상태를 알 수 있다.
-간호 및 주의사항 : 시술 후 흉강천자부위를 위로 가게 하고 건강한 쪽이 아래로 가는 자세를 취해준다. 활력징후와 합병증 징후를 관찰하고 폐가 재팽창될 수 있도록 심호흡을 권장한다.
Ⅳ.기타 학습
1.CPT(Chest physiology therapy)흉부물리요법의 종류와 적응증 및 종류별 금기증
-종류 : ①체위배액~중력을 이용하여 분비물제거, 분비물의 위치에 따라 체위변경, 농흉,기관지 확장증 ②타진법~점액이 기도벽에서 쉽게 떨어지게 한다, 손을 컵처럼 오므리고 흉벽을 두드린다. ③진동법~호기동안 흉벽에 반복적인 진동 압력, 호기 촉진, 기침유도, 점액 묽게한다. ④심호흡~대상자의폐를 최대한 확장시키기 위함 ⑤기침~분비물을 폐로부터 제거하기 위함
-적응증 : 수술전 다량의 분비물을 배출하는 환자
수술후 기침을 잘하지 못해 다량의 분비물이 있는 환자
객담이 많이 나오는 기관지 폐렴 환자
폐농양 환자
비정상 객담을 배출하는 질환이 있으며 감염이 잘 재발하는 환자
근골격계가 비정상적인 환자 (예-척추측만증, barrel chest)
스스로 기침을 하지 못하는 환자
비만증 부동환자
-금기증 : 체위배액 금기~체위배액을 하면 청색증과 피로가 증가하는 환자
흡인기구가 마연되지 못했을 때나 환자가 그 자신의 기도를 관리하지 못할 때
활력징후가 안정되지 않은 환자 (예-뇌내압 상승, 응급환자)
체위배액은 식후 2시간 이후 또는 식전에 해야함 (식사후 즉시 체위배액을 하지 않음)
/타진,진동의 금지~폐암이 의심되는 환자나 전이성 질환이 있는 환자
두드리기를 했을 때 기관지 경련이 증가하는 환자
출혈경쥴이 있는 환자/객혈, 폐농양, 늑골골절, 조절되지 않는 저산소증, 뇌내압상승/심맥관, 혈액학적 불안정 상태, 심한 기관지 경련, 기흉, 혈흉, 늑막삼출액 환자
2.밀봉배액(Chest drainage)의 목적 및 간호
-목적 : 흉막강내로부터의 공기나 액체의 제거, 흉막강내에 정상 음압을 유지, 폐의 재팽창을 증진, 배액기구로부터 흉막강내로 공기나 액체가 역류되는 것 방지
-간호 : ①배액관 개방성의 유지
-파동: 흡기시 물이 올라가고 호기시 내려간다.
-파동이 사라짐: 막히거나 다른 문제가 있는지 사정
-기포: 환자에서 공기가 새고 있음을 의미
②배액병의 양. 색 관찰
③배액관의 분리시 무균적 연결 후 주치의에게 호출
④관훑기-혈액의 응고물이나 죽은 조직의 제거
-개방성의 용이
⑤지지간호 -통증의 경감.
-체위의 변경시 배액관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
-배액병은 환자보다 낮은 곳에 위치
3.흉곽수술 환자의 수술 전·후 간호 및 팔과 어깨운동
-수술 전 간호 : 폐 기능 검사, 흉곽X선 촬영, 폐조사, 심전도, 동맥혈가스분석검사, BUN, 혈철 크레아티닌, 혈당, 혈청 전해질, 전혈구 검사 실시, 필요시 심장기능검사도 한다.
대상자는 금연해야 하며, 수술 전 항생제를 투여한다.
-수술 후 간호 : 적절한 심박출량 유지, 가스교환과 호흡의 증진, 기도유지 증진. 통증과 불편감 제거, 적절한 밀봉배액 유지, 영양증진, 상지의 기능 회복, 출혈과 피하기종의 사정, 자가간호에 대한 이해 등 이다.
-팔과 어깨운동 : 수술 후 관절가동범위 운동을 한다.
수술 후 처음 24시간 동안 수술한 쪽의 팔과 어깨에 4시간마다 2회 수동적 ROM을 시행하고, 그 다음은 2시간마다 10회 하도록 한다. 수술 후 2일에는 능동적인 ROM운동을 시작하도록 한다.
Ⅳ.참고문헌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배영숙, 황옥남, 권보은, 서순림, 안경주, 유양숙, 은영 저.[2013].성인간호학 상권.481-617.서울:현문사
-http://blog.daum.net/bombi914/17196136
-http://blog.naver.com/euljimicu?Redirect=Log&logNo=110010388919
-http://health.naver.com/medical/disease/detail.nhn?selectedTab=detail&diseaseSymptomTypeCode=AC&diseaseSymptomCode=AC000159&cpId=ja2#con
-이한기 외 공저.[2011].사람 해부학.337-350.경기도:수문사
-원종순, 유재희, 백훈정, 손영희, 양선희, 전미양 외 공저.[2012].기본간호수기.190-194.서울:현문사
아. Skin test(Mantoux intradermal skin test) 결핵검사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
-검사목적 : 결핵에 감염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이다.
-검사방법 : purified protein derivative 0.1ml를 전박내측에 피내주사
-의의&정상치 : 경결이 6mm이상(양성)이면 과거 혹은 현재 감염을 의미하고, 6mm미만(음성)은 거의 혹은 전혀 감수성이 없음을 의미한다. 양성반응이라고 해서 활동성 결핵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흉부 X-선 촬영이 필요하다.
-간호 및 주의사항 : 활동성 결핵환자나 BCG접종을 받은 대상자는 검사를 금기한다. 검사 부위를 긁거나 만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검사 후 주입부위가 가렵고 아플 수 있지만 되도록 만지지 않도록 한다. 밴드를 붙이거나 주물러도 검사 결과가 부정확해질 수 있다.
자. Thoracentesis 흉강천자
-검사목적 : 검사물 채취, 흉막액 제거 또는 흉막강 내 약물주입을 위해서 이다.
-검사방법 : 흉강 내에 바늘을 삽입하여 시행한다.
-의의&정상치 : 흉수 Pleural Fluid는 흉막강 내에 액채가 고인 상태를 말한다. 즉 흉수란 암이나 세균감염에 의한 흉막염이나 심부전에서 흉강 내에 정체되어 있는 액체로서 흉부 X-선 사진이나 CT, 초음파 검사로 진단. 정상인 경우에도 소량의 흉수는 존재하여 폐의 유동성에 도움을 준다. 이상적으로 증가 한 경우는 병적이라고 할 수 있다. 흉강 천자를 통해 폐의 병적 상태를 알 수 있다.
-간호 및 주의사항 : 시술 후 흉강천자부위를 위로 가게 하고 건강한 쪽이 아래로 가는 자세를 취해준다. 활력징후와 합병증 징후를 관찰하고 폐가 재팽창될 수 있도록 심호흡을 권장한다.
Ⅳ.기타 학습
1.CPT(Chest physiology therapy)흉부물리요법의 종류와 적응증 및 종류별 금기증
-종류 : ①체위배액~중력을 이용하여 분비물제거, 분비물의 위치에 따라 체위변경, 농흉,기관지 확장증 ②타진법~점액이 기도벽에서 쉽게 떨어지게 한다, 손을 컵처럼 오므리고 흉벽을 두드린다. ③진동법~호기동안 흉벽에 반복적인 진동 압력, 호기 촉진, 기침유도, 점액 묽게한다. ④심호흡~대상자의폐를 최대한 확장시키기 위함 ⑤기침~분비물을 폐로부터 제거하기 위함
-적응증 : 수술전 다량의 분비물을 배출하는 환자
수술후 기침을 잘하지 못해 다량의 분비물이 있는 환자
객담이 많이 나오는 기관지 폐렴 환자
폐농양 환자
비정상 객담을 배출하는 질환이 있으며 감염이 잘 재발하는 환자
근골격계가 비정상적인 환자 (예-척추측만증, barrel chest)
스스로 기침을 하지 못하는 환자
비만증 부동환자
-금기증 : 체위배액 금기~체위배액을 하면 청색증과 피로가 증가하는 환자
흡인기구가 마연되지 못했을 때나 환자가 그 자신의 기도를 관리하지 못할 때
활력징후가 안정되지 않은 환자 (예-뇌내압 상승, 응급환자)
체위배액은 식후 2시간 이후 또는 식전에 해야함 (식사후 즉시 체위배액을 하지 않음)
/타진,진동의 금지~폐암이 의심되는 환자나 전이성 질환이 있는 환자
두드리기를 했을 때 기관지 경련이 증가하는 환자
출혈경쥴이 있는 환자/객혈, 폐농양, 늑골골절, 조절되지 않는 저산소증, 뇌내압상승/심맥관, 혈액학적 불안정 상태, 심한 기관지 경련, 기흉, 혈흉, 늑막삼출액 환자
2.밀봉배액(Chest drainage)의 목적 및 간호
-목적 : 흉막강내로부터의 공기나 액체의 제거, 흉막강내에 정상 음압을 유지, 폐의 재팽창을 증진, 배액기구로부터 흉막강내로 공기나 액체가 역류되는 것 방지
-간호 : ①배액관 개방성의 유지
-파동: 흡기시 물이 올라가고 호기시 내려간다.
-파동이 사라짐: 막히거나 다른 문제가 있는지 사정
-기포: 환자에서 공기가 새고 있음을 의미
②배액병의 양. 색 관찰
③배액관의 분리시 무균적 연결 후 주치의에게 호출
④관훑기-혈액의 응고물이나 죽은 조직의 제거
-개방성의 용이
⑤지지간호 -통증의 경감.
-체위의 변경시 배액관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
-배액병은 환자보다 낮은 곳에 위치
3.흉곽수술 환자의 수술 전·후 간호 및 팔과 어깨운동
-수술 전 간호 : 폐 기능 검사, 흉곽X선 촬영, 폐조사, 심전도, 동맥혈가스분석검사, BUN, 혈철 크레아티닌, 혈당, 혈청 전해질, 전혈구 검사 실시, 필요시 심장기능검사도 한다.
대상자는 금연해야 하며, 수술 전 항생제를 투여한다.
-수술 후 간호 : 적절한 심박출량 유지, 가스교환과 호흡의 증진, 기도유지 증진. 통증과 불편감 제거, 적절한 밀봉배액 유지, 영양증진, 상지의 기능 회복, 출혈과 피하기종의 사정, 자가간호에 대한 이해 등 이다.
-팔과 어깨운동 : 수술 후 관절가동범위 운동을 한다.
수술 후 처음 24시간 동안 수술한 쪽의 팔과 어깨에 4시간마다 2회 수동적 ROM을 시행하고, 그 다음은 2시간마다 10회 하도록 한다. 수술 후 2일에는 능동적인 ROM운동을 시작하도록 한다.
Ⅳ.참고문헌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배영숙, 황옥남, 권보은, 서순림, 안경주, 유양숙, 은영 저.[2013].성인간호학 상권.481-617.서울:현문사
-http://blog.daum.net/bombi914/17196136
-http://blog.naver.com/euljimicu?Redirect=Log&logNo=110010388919
-http://health.naver.com/medical/disease/detail.nhn?selectedTab=detail&diseaseSymptomTypeCode=AC&diseaseSymptomCode=AC000159&cpId=ja2#con
-이한기 외 공저.[2011].사람 해부학.337-350.경기도:수문사
-원종순, 유재희, 백훈정, 손영희, 양선희, 전미양 외 공저.[2012].기본간호수기.190-194.서울:현문사
추천자료
미숙아,신생아특발성 호흡곤란 증후군 CASE STUDY
[간호][환자간호][환자][간호 사례][환자 간호 사례]심근경색환자 간호, 심도자술환자 간호, ...
아동의 호흡기능 유지방법
급성 호흡성 증후군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진단중재 Case Study
RDS case study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케이스 스터디)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케이스 스터디
[신생아실] 미숙아(Premature infant) & 일과성빈호흡(Transient Tachpnea of Newborn : ...
의학논문요약 - 체계적인 호흡운동 프로그램이 기흉환자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인 호흡운동 프로그램이 기흉환자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Case study
응급실 호흡곤란 (dyspnea) 케이스 CAS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