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산소요법
1) 산소후드
2) 산소텐트
3) 코 삽입관
4) 산소마스크
2. 분무요법
3. 기관지(체위)배액
4. 흉부물리요법
1) 타진법
2) 진동법
3) 가슴누르기
4) 심호흡
5) 기침
5. 기계적 환기
1) BVM(bag-valve-mask)
2) 비침습적 양압환기
3) 음압환기
4) 고빈도 환기장치
6. 기관절개술
1) 흡인
2) 간호
1) 산소후드
2) 산소텐트
3) 코 삽입관
4) 산소마스크
2. 분무요법
3. 기관지(체위)배액
4. 흉부물리요법
1) 타진법
2) 진동법
3) 가슴누르기
4) 심호흡
5) 기침
5. 기계적 환기
1) BVM(bag-valve-mask)
2) 비침습적 양압환기
3) 음압환기
4) 고빈도 환기장치
6. 기관절개술
1) 흡인
2) 간호
본문내용
해야 한다.
3) 가슴누르기(sdueezing of the chest)
→ 체위배액 동안 유용한 방법으로, 아동에게 심호흡을 한 후에 입으로 숨을 빠르게 내쉬게 하면서 가슴의 측면을 손으로 빠르고 강하게 누름으로써 호기의 호흡을 증가시킨다. 이것은 기관과 기관지 가지의 용적을 감소시키고 분비물을 짜내기 쉽게 한다. 내뱉는 강한 기침과 심부자극운동을 여러 번 한 수 숨을 들이마신다.
4) 심호흡(deep breathing)
→ 체위배액이 필요하고 아동이 편안할 때 격려하는 방법으로, 아동은 지시에 따라 횡격막호흡을 사용하여 심호흡을 한다. 심호흡의 사용은 보통 폐용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분비물을 통과하고 기침을 자극시킬 것이며, 주변 공기 순환을 가능하게 하여 기관지를 확장시킨다.
* 기타 심호흡을 자극하는 방법
→ 병을 불거나 폐활량계(spirometer)를 사용할 수 있으며 호기 시간을 길게 하고 호기 압력을 증가시키는 놀이(탁구공불기, 비누방울불기 등)을 병행할 수 있다.
5) 기침
→ 자극이 있은 없든 아이들에게 기침을 격려하고, 힘과 에너지를 낭비하는 약하고 반복적인 비효율적 기침을 하지 않게 한다. 심호흡 후의 한 두 번하는 강한 기침이 효과적이다. 아동은 의존적인 자세에서는 기침이 어렵기 때문에 기침하는 동안 앉아 있도록 권장한다. 시술자는 기침에 맞춰 손으로 아동의 가슴 아래 부위를 압박하여 아동이 기침하는 것을 도와준다. 이러한 방법은 아동을 덜 피로하게 하며 기침효과를 증진시킨다.
5. 기계적 환기(mechanical ventilation)
● 적응증
- 산소요법에도 불구하고 산소농도나 혈액가스 분석저하(PaCO₂증가, pH저하)를 나타내는 저산소증(hypoxia)의 진행
- 다음과 같은 부적절한 환기
무호흡(apnea)
중추신경계 손상이나 감염
폐포 과다환기
호흡근육 쇠약
약물의 독작용
전염성의 병리학적 상태
이물질로 인한 폐쇄
- 견축, 과호흡(hypetventilation), 산소농도저하, 비정상적 호흡양상을 나타내는 과도한 호흡운동
- 부적절한 호흡노력
- 증가된 두 개 내 압력의 처리를 위한 과호흡증후군
1) BVM(bag-valve-mask)
수동식으로 마스크가 달린 팽창할 수 있는 주머니와 재 호흡을 방지하는 밸브가 있다.
코와 입 위에 마스크를 대고 bag의 공기가 환아의 기도에 들어가도록 백을 주기적으로 짜준다.
자가 팽창백은 고농도의 산소를 전달할 수 있게 갖추어져 있다.
자가 팽창백은 기압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호기압이 최대 30~35cm H₂O가 되도록 설치된 pop-off valve가 함께 갖추어 있어야 한다.
기도를 유지하기 위해 환아의 턱을 위로 올리고 목을 뻗은 자세를 취해 준다.
이 때 기도가 폐색될 수 있으므로 영아의 목을 과신전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2) 비침습적 양압환기(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NPPV)
급만성 호흡문제가 있는 아동을 지지하고 가정에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관 내 삽관이나 기관지절개술을 하지 않고도 비강이나 구강 마스크를 통해서 환기를 가능하게 한다.
● 종류
→ 지속적 양압 호흡(CPAP), 간헐적 양압 호흡(IPPB), 2단계 양압호흡(BiPAP)
3) 음압 환기(negative pressure ventilation)
흉벽의 주위에 온도가 대기보다 낮은 압력을 만들고, 복부 음압을 만들어 횡격막이 확장하고 가슴 안에 공기가 차게 한다.
흉갑, 철제 폐, 비옷 또는 환기코트 등 여러 형태가 있다.
지속적이거나 간헐적으로(밤 또는 낮잠 동안) 사용하는 것은 신경근 질환 환아가 휴식할 수 있게 한다.
4) 고빈도 환기장치(high frequency ventilation)
순환 비율이 신속하며 각 주기에 적은 폐 용적으로 공급한다.
폐 용량은 비교적 일정하여 대류환기가 감소함에 따라 팽창과 수축을 하며, 폐 손상이 적은 상태로 가스교환이 유지되는 방식이다.
● 종류
→ 고빈도 양압환기, 고빈도 유동차단 환기, 고빈도 분사 환기, 고빈도 진동환기 등
* 기계적 환기의 간호
사용되고 있는 인공호흡기(ventilator)의 기능을 알아야 한다.
비람직한 세팅으로부터의 이탈과 기능부전의 징후를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관의 이탈(extubation) 방지, 편안하고 최적의 환기를 위한 체위, 필요할 때만 기도흡인 하기, 잠재적 부작용 감시(기흉) 등
감염예방, 적당하고 충분한 습기가 제공되고 있는지 확인
환아의 가족에게 안위와 지지, 확신을 제공하는 것 등의 관리가 포함된다.
영양과 수화요구는 위루영양(gastrotomy feedings)이나 비경구 영양(parenteral nutrition)으로 충족되어야 한다.
영아 또는 아동이 기도 삽관을 할 때, 불안을 감소시키고 손상 없이 삽관을 성공적으로 성취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약물을 투약한다.
- 삽관을 위한 진정제로는 합성진정 마취제인 opioids(fentanyl, morphine), benzodiazapine(midazolam, lorazepam), 신경근 차단제(vecuronium과 rocuronium) 등이 있다.
- 단시간형 마취제인 Propofol은 소아과 삽관 시 단기간 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약30초)
- 진정제를 연장하여 사용하는 것은 금단증상, 신체적 의존과 내성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특히 약을 중단하는 과정 동안 길항작용을 중화하도록 계획을 세워 실행해야 한다.
6. 기관 절개술(tracheostomy)
→ 두 번째와 네 번째 기관고리(tracheal ring) 사이의 기관에 외과적으로 개구부를 만드는 것이다.
성문하 협착, 기관연화증, 성대 마비와 같은 선천성 혹은 후천적 구조적 결손 시 장기간 필요로 한다.
후두개염, 크룹(Croup)이나 이물질 흡인과 같은 응급상황에서 실시된다.
장기간의 호흡기 사용이 필요한 영아나 아동의 경우에도 실시할 수 있다.
소아 기관절개술 튜브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이나 실리콘로 만든다.
- 성인 것에 비해 각도를 더 정확하게 만들 수 있다.
- 체온에서 부드러워지며 기도의 외형에 잘
3) 가슴누르기(sdueezing of the chest)
→ 체위배액 동안 유용한 방법으로, 아동에게 심호흡을 한 후에 입으로 숨을 빠르게 내쉬게 하면서 가슴의 측면을 손으로 빠르고 강하게 누름으로써 호기의 호흡을 증가시킨다. 이것은 기관과 기관지 가지의 용적을 감소시키고 분비물을 짜내기 쉽게 한다. 내뱉는 강한 기침과 심부자극운동을 여러 번 한 수 숨을 들이마신다.
4) 심호흡(deep breathing)
→ 체위배액이 필요하고 아동이 편안할 때 격려하는 방법으로, 아동은 지시에 따라 횡격막호흡을 사용하여 심호흡을 한다. 심호흡의 사용은 보통 폐용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분비물을 통과하고 기침을 자극시킬 것이며, 주변 공기 순환을 가능하게 하여 기관지를 확장시킨다.
* 기타 심호흡을 자극하는 방법
→ 병을 불거나 폐활량계(spirometer)를 사용할 수 있으며 호기 시간을 길게 하고 호기 압력을 증가시키는 놀이(탁구공불기, 비누방울불기 등)을 병행할 수 있다.
5) 기침
→ 자극이 있은 없든 아이들에게 기침을 격려하고, 힘과 에너지를 낭비하는 약하고 반복적인 비효율적 기침을 하지 않게 한다. 심호흡 후의 한 두 번하는 강한 기침이 효과적이다. 아동은 의존적인 자세에서는 기침이 어렵기 때문에 기침하는 동안 앉아 있도록 권장한다. 시술자는 기침에 맞춰 손으로 아동의 가슴 아래 부위를 압박하여 아동이 기침하는 것을 도와준다. 이러한 방법은 아동을 덜 피로하게 하며 기침효과를 증진시킨다.
5. 기계적 환기(mechanical ventilation)
● 적응증
- 산소요법에도 불구하고 산소농도나 혈액가스 분석저하(PaCO₂증가, pH저하)를 나타내는 저산소증(hypoxia)의 진행
- 다음과 같은 부적절한 환기
무호흡(apnea)
중추신경계 손상이나 감염
폐포 과다환기
호흡근육 쇠약
약물의 독작용
전염성의 병리학적 상태
이물질로 인한 폐쇄
- 견축, 과호흡(hypetventilation), 산소농도저하, 비정상적 호흡양상을 나타내는 과도한 호흡운동
- 부적절한 호흡노력
- 증가된 두 개 내 압력의 처리를 위한 과호흡증후군
1) BVM(bag-valve-mask)
수동식으로 마스크가 달린 팽창할 수 있는 주머니와 재 호흡을 방지하는 밸브가 있다.
코와 입 위에 마스크를 대고 bag의 공기가 환아의 기도에 들어가도록 백을 주기적으로 짜준다.
자가 팽창백은 고농도의 산소를 전달할 수 있게 갖추어져 있다.
자가 팽창백은 기압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호기압이 최대 30~35cm H₂O가 되도록 설치된 pop-off valve가 함께 갖추어 있어야 한다.
기도를 유지하기 위해 환아의 턱을 위로 올리고 목을 뻗은 자세를 취해 준다.
이 때 기도가 폐색될 수 있으므로 영아의 목을 과신전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2) 비침습적 양압환기(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NPPV)
급만성 호흡문제가 있는 아동을 지지하고 가정에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관 내 삽관이나 기관지절개술을 하지 않고도 비강이나 구강 마스크를 통해서 환기를 가능하게 한다.
● 종류
→ 지속적 양압 호흡(CPAP), 간헐적 양압 호흡(IPPB), 2단계 양압호흡(BiPAP)
3) 음압 환기(negative pressure ventilation)
흉벽의 주위에 온도가 대기보다 낮은 압력을 만들고, 복부 음압을 만들어 횡격막이 확장하고 가슴 안에 공기가 차게 한다.
흉갑, 철제 폐, 비옷 또는 환기코트 등 여러 형태가 있다.
지속적이거나 간헐적으로(밤 또는 낮잠 동안) 사용하는 것은 신경근 질환 환아가 휴식할 수 있게 한다.
4) 고빈도 환기장치(high frequency ventilation)
순환 비율이 신속하며 각 주기에 적은 폐 용적으로 공급한다.
폐 용량은 비교적 일정하여 대류환기가 감소함에 따라 팽창과 수축을 하며, 폐 손상이 적은 상태로 가스교환이 유지되는 방식이다.
● 종류
→ 고빈도 양압환기, 고빈도 유동차단 환기, 고빈도 분사 환기, 고빈도 진동환기 등
* 기계적 환기의 간호
사용되고 있는 인공호흡기(ventilator)의 기능을 알아야 한다.
비람직한 세팅으로부터의 이탈과 기능부전의 징후를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관의 이탈(extubation) 방지, 편안하고 최적의 환기를 위한 체위, 필요할 때만 기도흡인 하기, 잠재적 부작용 감시(기흉) 등
감염예방, 적당하고 충분한 습기가 제공되고 있는지 확인
환아의 가족에게 안위와 지지, 확신을 제공하는 것 등의 관리가 포함된다.
영양과 수화요구는 위루영양(gastrotomy feedings)이나 비경구 영양(parenteral nutrition)으로 충족되어야 한다.
영아 또는 아동이 기도 삽관을 할 때, 불안을 감소시키고 손상 없이 삽관을 성공적으로 성취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약물을 투약한다.
- 삽관을 위한 진정제로는 합성진정 마취제인 opioids(fentanyl, morphine), benzodiazapine(midazolam, lorazepam), 신경근 차단제(vecuronium과 rocuronium) 등이 있다.
- 단시간형 마취제인 Propofol은 소아과 삽관 시 단기간 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약30초)
- 진정제를 연장하여 사용하는 것은 금단증상, 신체적 의존과 내성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특히 약을 중단하는 과정 동안 길항작용을 중화하도록 계획을 세워 실행해야 한다.
6. 기관 절개술(tracheostomy)
→ 두 번째와 네 번째 기관고리(tracheal ring) 사이의 기관에 외과적으로 개구부를 만드는 것이다.
성문하 협착, 기관연화증, 성대 마비와 같은 선천성 혹은 후천적 구조적 결손 시 장기간 필요로 한다.
후두개염, 크룹(Croup)이나 이물질 흡인과 같은 응급상황에서 실시된다.
장기간의 호흡기 사용이 필요한 영아나 아동의 경우에도 실시할 수 있다.
소아 기관절개술 튜브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이나 실리콘로 만든다.
- 성인 것에 비해 각도를 더 정확하게 만들 수 있다.
- 체온에서 부드러워지며 기도의 외형에 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