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화학실험] 비누합성 결과보고서 : 동물성과 식물성 기름을 이용하여 비누를 만들어 본다, 비누화 반응과 에스테르화 반응을 이해한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기화학실험] 비누합성 결과보고서 : 동물성과 식물성 기름을 이용하여 비누를 만들어 본다, 비누화 반응과 에스테르화 반응을 이해한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 원리
3. 실험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5. 실험 결과
6. 고찰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수분해를 일으켜 카복실산과 알코올을 생성하는 반응이다.
촉진제로 산 또는 알칼리를 첨가하며 알칼리를 첨가하는 편이 효과가 크다.
예전에는 유지나 밀랍으로부터 비누를 만들어 내는 반응을 비누화반응이라고 하였으나, 현재는 에스터가 가수분해를 일으켜 카복실산과 알코올을 생성하는 반응, 즉 에스터화의 역반응을 말한다.
비누화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산 또는 알칼리를 첨가하는데, 산보다도 알칼리를 첨가하는 편이 효과가 더 크다.
이때 생성물인 카복실산은 알칼리염으로 얻게 되며,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을 사용한다.
한편, 산을 첨가하는 예로 유지(油脂)로부터 글리세롤을 얻을 때 묽은 황산을 쓰는 경우가 있으나, 유지와 산이 잘 혼합되지 않으므로 이때는 적당한 에멀션화제를 첨가한다.
에스테르화 반응
카르복시산과 알코올의 혼합물에 진한 황산을 조금 넣고 가열하면 에스테르와 물이 생성된다.
이와 같은 반응을 에스테르화 (에스터화) 반응이라고 하며 2개의 분자에서 물이 한 분자가 되면서 두 분자가 결합하는 반응을 축합 반응이라고 한다. 에스테르화 반응은 역으로도 진행되는데, 에스테르에 물을 넣고 가열하면 카르복시산과 알코올이 생긴다.
이 반응은 가수 분해 반응이라고 한다.
3. 실험기구 및 시약
이름
사진
설명
수조
물을 담아 두는 큰 통을 말한다.
흡인여과기
글래스제의 흡인병에 흡인 깔대기, 또는 글래스 필터를 취부하여 흡인병 안을 수류펌프(아스피레이터라 한다), 그 외의 펌프 등으로 흡인하면서 깔대기 내에 있는 용액을 여과하여, 침전을 깔대기 내에서 분리하는 방법을 말한다.
삼각
플라스크
바닥이 편평하고 넓은 원뿔 모양의 플라스크로, 독일의 유기화학자 에를렌마이어가 1866년에 고안하였는데, 밑바닥이 넓고 평평하여 세워놓기에 안정적이고 안에 넣은 액체가 바깥으로 튀는 일이 거의 없는 이점이 있다.
증류수
물을 가열했을 때 발생하는 수증기를 냉각시켜 정제된 물을 말한다.
거름종이
액체나 기체를 통과시키면서 침전물이나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걸러내기 위해 사용하는 종이이다.
중탕냄비
중탕할 때 쓰는 냄비
교반봉
액체성의 물질을 저어 주는 역할을 하는 봉.
시계접시
보통은 자기로 된 것을 사용하며 경우에 따라 유리나 금속으로 만든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 가열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열에 안정한 재료를 사용한다.
시약
, , , 유지
4. 실험 방법
사진
설명
1
유지(30g)을 비커에 넣는다.
2
(12g)과 (20㎖)에 녹여 만든 용액의 반을 서서히 가열하여 우리봉으로 교반하면서 water bath상에서 70~80℃가 되도록하여 30분간 가열한다.
3
남은 용액을 모두 가하여 한시간 동안 가열한다.
4
비누화 반응이 끝난 비누는 glycerol을 분리하기 위하여 포화 용액 (40㎖)을 몇 번에 나누어서 가하여 6분씩 가열하면 비누가 염석되어 위에 뜨게 되고 glycerol은 아래층에 분리된다.
5
여과를 통해 비누와 glycerol을 분리한다.
6
가온하여 성형기에 넣어 굳힌다.
5. 실험 결과
glycerol을 분리한 후 노란색의 비누가 합성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4.15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41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