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능전동기 I,II & 콘덴서 시동전동기 & 콘덴서 운전 전동기 (사전보고서, 예비레포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만능전동기 I,II & 콘덴서 시동전동기 & 콘덴서 운전 전동기 (사전보고서, 예비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8. 만능 전동기 Ⅰ

[실습목적]
[개요]
[준비물]
[실습]
[실습평가]


19. 만능 전동기 Ⅱ

[실습목적]
[개요]
[준비물]
[실습]
[실습평가]


20. 콘덴서 시동전동기

[실습목적]
[개요]
[준비물]
[실습]
[실습평가]


21. 콘덴서 운전 전동기

[실습목적]
[개요]
[준비물]
[실습]
[실습평가]




[관련이론]

만능 전동기 Ⅰ,Ⅱ관련이론

20. 콘덴서 시동전동기 관련이론

21. 콘덴서 운전 전동기 관련이론

본문내용

마력으로 환산한 출력 = [HP]
㈆ 마력을 전기량으로 환산한 출력 = [W]
㈇ 전동기 효율 = [%]
㈈ 전동기 손실 = [W]
3. 표 25-2에서 무부하 직류 동작시
㈀ 전 력 = [W]
㈁ 전동기속도 = [r.p.m]
4. 표 25-2에서 전부하(9[lbf-in]) 직류 동작시
㈀ 전 력 = [W]
㈁ 전동기속도 = [r.p.m]
㈂ 마력으로 환산한 출력 = [HP]
㈃ 마력을 전기량으로 환산한 출력 = [W]
㈄ 전동기의 효율 = [%]
㈅ 전동기 손실 = [W]
5. 만능 전동기를 교류 전원으로 동작시켰을 때와 직류 전원으로 동작 시켰을 때
각각의 특성은? 차이점은 ?
19. 만능 전동기 Ⅱ
[실습목적]
1.교류시 시동토크와 직류 시 시동토크의 비교
2. 보상권선을 제거하였을 시의 효과
3. 전동기에 유도 보상을 준다.
[개요]
만능 전동기의 시동 토크는 전기자와 계자 권선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결정된다.
이들 권선의 유도리액턴스 때문에 교류 시동전류는 항상 직류 시동전류 보다 작다.
결과적으로, 교류전력하의 시동토크는 직류 전력하의 시동토크보다 작다.
보상권선은 전동기의 전체 리액턴스를 줄이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한편, 전기자 반작용을
상쇄시키는 만능전동기는 전력의 대부분을 손실하게 된다. 브러쉬의 스파크 또한 나빠지게
된다.
[준비물]
(1) 만능 전동기 (EMS 8254)
(2) 전원 공급장치 (EMS 8821, AC 0-120[V], D.C 0-120[V])
(3) 전기 동력계 (EMS 8911)
(4) 교류 전류계 (EMS 8425, A.C 2.5/8[A]
(5) 교류 전압계 (EMS 8426, A.C 100/250[V])
(6) 직류 전압 전류계 (EMS 8412, D.C 200[V], D.C 2.5/5[A])
(7) 회전 속도계 (EMS 8920)
(8) 리드선 (EMS 8941)
(9) 타이밍 벨트 (EMS 8942)
[실습]
※ 주의 : 이 실습에는 고전압이 사용되므로 전원을 켠 채로 결선하지 말아야 한다.
각각의 측정이 끝난 후 전원을 꺼야한다.
1. 만능 전동기, 전기 동려계, 전원 공급장치, 직류 전압 전류계 등을 사용하여
그림 26-1의 회로를 결선한다. 실습 10에서와 같은 결선을 하여야 한다.
2. ㈀ 타이밍 벨트를 사용하여 전기동력계와 만능전동기를 커플링한다.
㈁ 전기동력계의 입력단자를 전원공급장치의 단자 1과 N에 결선시킨다.
㈂ 전기동력계의 조절손잡이를 시계방향으로 끝까지 돌린다.
㈃ 만능전동기의 브러쉬를 중립위치에 설정한다.
3. ㈀ 전원을 켠 후, 30Vdc 에 맞춘다.
㈁ 전동기의 전류와 토크를 측정후 기록한다.
I= [A]
토크= [1bf-1in]
㈂ 전압을 0으로 돌린 후 전원을 끈다.
4. 그림 26-2와 같이 AC작동하의 회로로 재결선한다.
5. ㈀ 전원을 켠 후, 30Vdc 에 맞춘다.
㈁ 전동기의 전류와 토크를 측정후 기록한다.
I= [A]
토크= [1bf-1in]
㈂ 전압을 0으로 돌린 후 전원을 끈다.
6. 실습절차 3과 5의 결과를 설명한다.
[비 보상 작동]
7. 보상코일 권선을 제거한 후 그림 26-3과 같이 회로를 재결선 한다.
8. ㈀ 전기동력계의 조절 손잡이를 반시계 방향으로 끝까지돌린다.
㈁ 전원을 켠 후 120Vac 에 맞춘다.
㈂ 전기동력계의 부하를 3 Ibf-1in로 증가시킨다.
㈃ 전동기 전류와 속도를 측정한 후 기록한다.
I = [Aac]
토크 = 회/분
㈄ 브러쉬의 스파크를 살펴본다.
㈅ 전압을 0으로 돌린 후 전원을 끈다.
9. ㈀ 실습 13의 도표 26-1에서 얻은 결과와 위의 결과를 비교한다.
㈁ 브러쉬의 스파크는 어떠한가?
10. 그림 26-4와 같이 DC 작동하의 회로로 재결선 한다.
11. 실습절차 8을 반복한다.
I = [Aac]
DC속도 = 회/분
12. ㈀ 실습 13의 도표 26-2에서 얻은 결과와 위의 결과를 비교한다.
㈁ 브러쉬의 스파크는 어떠한가 ?
[유동 보상]
13. ㈀ 전동기가 AC하에서 작동할 eo 유도보상을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를 관찰한다.
㈁ 그림 26-3과 같이 AC작동하의 회로로 재결선한다. 전류계의 스케일은 0-8 Aac로
바꾼다. 리드선을 단자에 직접 연결함으로써 보상코일을 단락시킨다.
㈂ 전원을 켠 후 120Aac 로 조정한다.
㈃ 전동기를 0.5 Ibf-1in의 토크로 부하시킨다.
㈄ 전동기 전류, 전동기속도, 토크들을 측정 후 기록한다.
㈅ 브러쉬의 스파크는 전동기가 전도적으로 보상되었을 시의 스파크와 같은가 ?
㈆ 전동기가 작동 시 보상코일을 지난 단락을 제거한다.
㈇ 나타는 현상에 대해 설명한다.
㈈ 전압을 0으로 돌린 후 전원을 끈다.
14. ㈀그림 26-3의 회로를 DC작동하의 회로로 재결선한다.
㈁ 실습절차 13을 반복한다.
I = [Aac]
DC속도 = 회/분
DC토크 = Ibf-1in
㈂ 단락이 제거 된 후의 변화는 ?
15. 유도 보상된 전동기 DC와 AC모두에서 잘 작동하나 ? 설명하시오.
[실습평가]
(1) 유도 보상된 만능 전동기와 전도 보상된 만능 전동기의 차이점은?
(2) 교류 전원과 직류 전원 중 어느 쪽이 더 잘 작동하는가?
(3) 교류 직권 전동기에 보상 계자 권선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여라.
(4) 만능 전동기를 60[Hz]의 교류 전원으로 동작시킬 때와 25[Hz] 교류 전원으로 동작시킬 때 어느 쪽이 더 잘 동작할까요?
(5) 만능 전동기가 사용되는 장비를 열거하여 보시오.
20. 콘덴서 시동전동기
[실습목적]
1. 콘덴서 기동전동기의 시동 및 작동
2. 콘덴서 기동전동기의 시동 및 작동을 분상전동기와 비교
[개요]
분상전동기의 경우는 주 권선 전류와 보조 권선 전류간의 위상차가 90도에 훨씬 못 미친다. 반면 콘덴서 기동전동기의 경우 90도의 위상차가 가능하다. 분상 시스템의 변형인 콘덴서 기동시스템은 고정자의 기동권선과 직렬 연결된 낮은 리액턴스 콘덴서를 사용하는데, 그이유는 시동전류에 90도의 위상차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콘덴서 기동전동기는 운전 시 분상전동기와 같은 특성을 지닌다. 표준 분상전동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콘덴서와 시동권선은 원심스위치에 의해 단로된다. 기동전동기의 회전
  • 가격8,4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15.04.30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60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