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성 정동장애(Bipolar) 케이스스터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양극성 정동장애(Bipolar)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3. 간호사정
4. 간호문제 목록 작성하기
5. 문제원인 탐색하기
6. 간호진단 내리기
7. 간호목표 수립하기
8. 간호계획 세우기
9. 간호지시하기
10. 문제 중심 간호기록하기
11. 간호결과 평가하기
12. 피드백 제공하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혈구 생산부족, 골수억압 시
ESR
14mm/hr
0~20mm/hr
급성염증이나 만성염증의 지속상태임을 반영하는 지표.
Hb
12.1g/㎗
남:14~18g/㎗
여:12~16g/㎗
ㆍ감소: 철분결핍성/겸상세포성 빈혈,
골수억압 시
ㆍ증가: 다혈구혈증, 출혈, 탈수증
Hct
34.2%
37~47%
MCH
25.6pg
26~33pg
평균적혈구 혈색소량
MCHC
32.1%
32~36%
평균적혈구 색소농도
RDW
14.8
11.5~14.5
적혈구 크기 분포
MPV
8.8fL
7.4~10.4fL
Mean Pletelet volume: 평균 혈소판 용적을 의미, 증감시에 골수이상, 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혈소판이상, 비장이상
PCT
0.25
0.15~0.32
Pletelet crit: 특발성 PLT감소성 자반증 등 출혈질환 감별
Lymphocytes
32.6%
20~44%
ㆍ감소: 호지킨병, 쿠싱증후군, 부신피질호 르몬사용, 외상, 화상, AIDS, 면역 억제제
ㆍ증가: 세균성상기도감염, 바이러스감염,
호르몬질환, 결핵, 림프성 백혈병
PT
11.9초
12초~15초
ㆍ지연: 항응고제 사용, 응고인자결핍,
간질환 시
PTT
37초
30초~45초
2) Urinalysis
성 분
대상자의 결과
정 상 치
임상적 의의
색깔
노란색
호박색 또는
옅은 노란색
ㆍ오렌지: 담종
ㆍ적색: 혈액,요로염증 등
혼탁도
투명
투명
ㆍ 혼탁: 염증 있을 때
pH
6.0
4.6~8.0
ㆍ 알칼리: 대사성 알칼리 혈증
Specific gravity
(비중)
1.010
1,001~1.035
ㆍ낮은 비중: 신세뇨관 기능 저하, 요붕증
ㆍ높은 비중: 고칼슘혈증 신질환 등
Protein
(단백질)
없음
없음
ㆍ케톤뇨: 당뇨병, 고혈당
아세톤
없음
없음
ㆍ단백뇨: 임신, 심한 운동, 신장 질환 등
요소청정치
60
54~75㎖/min
ㆍ낮음: 신장배설능력 감소
크레아티닌
0.74
남: 1~1.9gm/24hr
여:0.8~1.7gm/24hr
ㆍ낮음: 신장배설능력 감소

없음
없음
ㆍ 당뇨: 외내압상승, 임신
3) Blood chemistry
성 분
대상자의 결과
정 상 치
임상적 의의
BUN
13.9㎎/㎗
8~18㎎/㎗
ㆍ상승: 고단백식이, 탈수, 화상, 위장출혈, 신부전증, 사구체신염
ㆍ저하: 저단백식이, 간기능 저하
Creatinine
126㎎/㎗
70~110㎎/㎗
ㆍ증가: 신질환, 만성 사구체신염, 신우신염
Total protein
7.6g/㎗
6~8g/㎗
Albumin
4.0g/㎗
3.5~5.0g/㎗
ㆍ저알부빈혈증: 만성 간질환,
단백질 섭취부족
Globulin
3.2g/㎗
2.5~3.5g/㎗
ㆍ고글로불린혈증: 백혈병, 호지킨병, 골수증, 결핵만성간염
SGOT(AST)
18U/㎖
8~33U/㎖
ㆍ1000u/㎖이상: 심근경색 간염, 간경화
SGPT(ALT)
39U/ ㎖
0~100U/ ㎖
ㆍ심한 상승: 간염, 간염성 단핵구증
ㆍ약간 상승: 간경화증, 심근경색
ammonia
35
9~33umol/L
Total
bilirubin
0.58㎎/㎗
0.2~1.2㎎/㎗
간접(비결합):0.2~0.8
직접(결합):0.1~0.3
ㆍ증가: 출혈, 간기능 저하, 악성 빈혈,
간염, 담낭염
Sodium
(Na+)
142mEq/L
135~145mEq/L
ㆍ고나트륨혈증: 수분섭취부족
ㆍ저나트륨혈증: 탈수, 전해질 상실
Potassium
(K+)
4.0mEq/L
3.5~5.0mEq/L
ㆍ고칼륨혈증: 신질환, 외상, 칼륨배설 저하
ㆍ저칼륨혈증: 칼륨섭취저하, 구토 등
-GTP
139mmol/L
135~145mmol/L
family Hx(-)
아이들에게 지나치게 허용적
(특히 아들에게)
가족력
스님
이혼
연락안됨
연애결혼
호주거주
쌍둥이
99
년생
02
년생
의학적 진단 및 치료계획
① 의학적 진단
- Axis Ⅰ (장애와 임상적 관심의 초점이 되는 기타 상태)
- Axis Ⅱ (인격장애와 정신지체)
- Axis Ⅲ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
- Axis Ⅳ (심리사회적 환경적 문제)
- Axis Ⅴ (전반적인 기능평가)(GAF)
② 치료계획
- 투약 : Depakote Tab. 250mg
Quetapin Tab. 25mg
Rivotril Tab. 0.5mg
Zyprexa Tab. 5mg
- 정신요법(개인, 집단요법) : 미용, 이완요법, 정신건강교육
- 활동요법 : 가요방, 산책
수면: 입원 전 하루 1시간 취침.
식욕: 나쁨 -> 입원 후 간식신청(과자, 빵, 요쿠르트)도 자주 하고 밥도 잘 먹음.
성: 최근 남편에게 정관수술을 풀라고 함. 다시 아이를 1명 더 낳아준다고 하였음.
4. 간호문제 목록 작성하기
문제번호
간호문제(P)
근거(ES)
발견날짜
해결날짜
#1
스트레스
- 본인이 아파서 입원하는 것에 대한 스트레스.
- 남편에게 마음의 상처가 되는 심한 말을 했다는 죄책감.
- 어린 아들이 본인의 입원 사실을 알까봐 두려움.
- 거리의 사람들이 뱀과 늑대무리로 보임.
3. 17
3. 20
#2
부정적 사고
- 학생간호사에게 자신처럼 살지말라는 말을 자주함.
- 일주일 이내로 자신을 퇴원시키지 않으면 이혼할 것이라 남편에게 소리침.
- 저녁 노을이 지는 창가를 바라보면 자신의 신세가 처량하다고 표현함.
3.17
3. 19
#3
개인위생불량
- 입원당시 기름진 머리.
- 환의에 식사 도중 흘린 국물자국과 밥풀이 붙어 있음.
- 양치 대신 물로 입을 가글 하는 모습을 보임.
3. 17
3. 18
5. 문제원인 탐색하기
대상자는 20여년 전에 onset되었으며 아버지에게 살짝 맞으면서 머리를 다쳤고 그 후 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다. 아버지께서 스님이셨는데 젊은 시절 아버지께서 찾아오시면 물한잔도 내올지 않을 만큼 살갑게 대하지 못한 것을 후회한다고 한다. 약 2주전부터 잠 안자고 돌아다니며 과소비하기 시작하고 남편, 시댁과의 사이도 좋지 않고 자주 싸웠다고 한다. 최근 식사량도 저하보인다. 대상자는 특히 둘째아들의 사랑이 남다르며 본인이 현재 입원 중이여서 내일 있을 학생임원단어머니 모임에 참석하지 못하는 것을 걱정하셨다. 지금은 학생간호사들이 뱀, 늑대로 보이지 않지만 길에 걸어다니는 여자들을 보면 뱀, 늑대로 보여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5.05.05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64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