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번역] A Risk and Resilience Perspective (저자-Greene) 6장 위험에 처한 청소년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서번역] A Risk and Resilience Perspective (저자-Greene) 6장 위험에 처한 청소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Topic 1. Assessment
-Topic2. Alternative Schools
-Topic3. Interventions
-Topic 4. Stages of Solution Building
-Conclusion

본문내용

rapy Institute) 에서 시작했다. 그리고 조심스러운 관찰과 문제 가정에 대한 실질적 활동 평가에 근거하고 있다. REM과 유사하게, 철학은 클라이언트의 강점, 자산, 재능을 존경하고 희망적이고 긍정적이며 할 수 있다는 언어를 선택하는 것, 새로운 행위를 실험하는 것 그리고 지속적인 변화를 축하해 줄 것을 강조한다.
Table 6.2 솔루션 구축과 문제 해결과의 비교
솔루션 구축 문제 해결
어떻게 그것을 했니? 왜 그것을 했니?
미래에 집중 과거를 강조
솔루션 중심적 대화 문제 중심적 대화
무엇이 동작하는가에 주의 무엇이 잘못인가에 주의
학생은 능력이 있다 학생은 약점이 없다
모른다에 숙련된 옹호 선생은 모든 것을 안다
문제를 해결하는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운 선생은 문제를 해결하는 책임을 받아들인다
선생
출처: Franklin, C., & Streeter, C. (2003), 21세기의 솔루션 중심 책임 학교; Gonzalo Garza 독립 고등학교의 훈련 매뉴얼. 오스틴: 오스틴에 있는 텍사스 대학교, 사회 사업 학교, 정신 건강을 위한 Hogg Foundation.
정신 건강과 가족 문제는 자주 학교생활을 어렵게 하고 중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많은 교육자들은 고등학교를 중퇴한 젊은이들이 학문적으로 좋은 학생이 되기 위한 인지적인 자원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종종 사실이 아니다. 대신 이들 젊은이들은 인지적으로 유능하고 쾌활하며 수완이 좋다. 그들은 어떻게 그들이 안전하게 머무를 수 있는지, 어떻게 사회적, 감정적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어떻게 개인적이고 환경적인 강점을 구축하는지, 어떻게 그들의 자율과 문제 해결 능력을 도와줄 정보와 새로운 기술을 제공하는지를 아는 선생, 사회복지사 그리고 기타 직원에게 긍정적으로 대답한다. 인터뷰에서 말한 솔루션 구축 개념은 확실히 전통적인 문제 해결 접근 방법을 벗어났다. 그것은 전문가들이 학생들과 직원들이 대화의 배경 내에서 솔루션을 건설하는 활동적이고 끝이 없는 과정을 생각하게 하도록 사용하는 도구이다. 표 6,2는 솔루션 구축과 문제 해결 대화간의 어느 정도의 차이를 요약한다. 솔루션 구축 대화라는 용어는 대체로 교육 분야에서 사용되고 당사자가 치료법에 종사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Establishing Helping Relationships도움 관계 수립 p124
도움 관계의 중요성이 솔루션 중심 모델의 질문 테크닉만큼 강조되지 않을지라도 관계 개발과 관계 구축은 도움 관계 모델의 성공적인 용도를 보여주는 중요한 관점이다 (Lipchik, 2002), 사실, 솔루션 구축은 치료상의 관계 요인을 매우 강조하는 것이다. 동시에 도움 관계를 형성하는 데 관계되는 복잡성과 미묘함을 인정하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언어, 신체 자세, 주관적인 견해의 이해 그리고 클라이언트와 보조를 맞추는 것과 같은 요인은 상당한 주의를 불러온다.
사람을 돕는다는 것의 핵심은 언어를 이해하고 그들의 견해를 존중하고, 그들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듣고, 솔루션을 찾는 그들의 능력을 명예롭게 여기는 데 있다. 중퇴 젊은이의 솔루션 중심 치료를 하는데,, 사회복지사는 이들 학생들과 협력하고 존중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관계를 촉진한다. 솔루션 구축 과정에서 학생들의 관계의 본질 확인하면 학생들을 인정하는 초기 접근 방법의 길잡이를 알 수 있다. De Jong과 Berg (2002)는 학생들이 변화의 과정에서 보여주는 관계 참여의 3가지 수준을 발표했다. 관계의 첫 번째 형태는 방문자이다. 방문자는 학생이 문제가 있다 또는 그들이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어떤 부분을 취해야 한다는 인식이 없이 단지 과정을 방문하는 것은 나타낸다. 학생들은 종종 누군가에게 말을 하거나 배치되도록 강요된다. 이런 학생을 “책임 부정”과 대면하게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이런 전술은 학생들을 과정에 관여하게 하는 데에는 소용이 되지 않는다. 이런 학생 때문에 누군가는 그들이 무엇이 발생하기를 원하는지 찾아내는 데 집중해야만 한다. 그리고 나면 목표를 분명하게 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선생은 이러한 목표의 본질에 대하여 관심을 가져왔는데, 그것은 자기봉사이자 아무도 고귀하지 않다는 것이다. “윌슨 씨를 내 사업에서 제외하기”를 원하는 것은 이룰 수 있는 목표이며 학생들이 보다 관련된 불평자의 관계로 이동하게 한다. 불평자는 문제가 있지만 그에 대한 솔루션으로 누군가가 변화하고 있다고 분명히 인식한다.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선생과 부모는 조종 불평자가 된다. 과제는 학생들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듣는 것이고 그들의 무능함을 탐구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불평자의 인식에 도전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아이디어는 불평자로 하여금 그들이 다른 사람의 행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무언가를 식별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학생들을 고객이 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고객 관계에 있는 학생들은 문제를 인식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들이 솔루션을 구축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인식한다. 이런 학생들은 문제가 없는 미래는 무엇일까에 대한 잘 정리된 비전을 가지지 못할 지라도 그들은 이미 솔루션에 근접하는 단계를 구축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다. 철학적으로, 이런 강도 기반 오리엔테이션은 간단하게 들릴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실행하기는 쉽지가 않다. 이들 원칙을 따르는 것은 자신과 클라이언트의 상호작용을 관리하는 데 많은 치료상의 전문적 기술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마스터 치료학자가 해결하는 것을 본 사람은 (본 장의 미디어 요소에서 본 김인수 버그와같이) 그들이 얼마나 참을성 있게 그리고 얼마나 지속적으로 클라이언트와 관계를 갖는지에 주목하고 항상 그들의 리드를 따르지만 결코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해결해야 할 어려운 문제로부터 도망치도록 하지 않는다.
Topic 4. Stages of Solution Building솔루션 구축 단계 p125
솔루션 구축 과정은 분명한 단계를 따르고 기능이 검증된 테크닉에 달려 있다. 표 6.3은 이러한 과정의 단계를 요약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단계가 어떻게 클라이
  • 가격3,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5.05.21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87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