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實驗01 파형관측및측정a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험實驗01 파형관측및측정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란?
2. 오실로스코프 작동시켜 보기
3. 파형 발생장치 (function generator) 연결
4. 오실로스코프의 원리
5. 오실로스코프의 여러 가지 조절 장치

본문내용

한 신호를 비추어 볼 수 있고 X-POS 조정 장치 및 Y-POS 조정 장치를 사용하여 축의 위치도 바꾸어 볼 수 있다. 예를 들러 아무란 신호도 없을 때 정상 그림표는 화면 중앙을 가로 지르는 직선이다. Y-POS 조정 장치를 사용하여 Y-축의 0 되는 점을 바꾸어 전체 그림표를 화면의 위 아래로 옮길 수 있어 신호의 범위가 다른 경우 즉 양의 신호와 음에서 양까지 변화하는 신호를 각각 비추어 볼 수 있다.
5. Lissajous figure
Lissajous figure는 다음과 같이 매개 변수를 이용한 연립 방정식의 그림을 일컫는 것이다.
이 식은
로 하여도 마찬가지가 된다. , , 및 의 값에 따라 직선, 원, 타원 또는 포물선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또 값에 따라 다음의 여러 형태가 되기도 한다. (
oscilloscope는 이 원리를 이용하여 Lissajous curves를 그리는 것이다. x-축에
의 신호를 걸어주면 외부 신호
의 그림을 그릴 수 있다.
또는 x와 y에 각각의 입력을 연결하고 XY mode로 하면 앞에서의 그림표를 스코프의 화면에 비추어 볼 수 있다.
Java applet sites
http://ibiblio.org/e-notes/Lis/Lissa.htm
http://surendranath.tripod.com/Applets/Oscillations/Lissajous/LissajousApplet.html
http://www.u.arizona.edu/~vmiller/applets/lissajous/LissajousApplet.html
Oscilloscope
http://www.csupomona.edu/~pbsiegel/www/gsix/oscilloscope.htm
http://www.phy.ntnu.edu.tw/ntnujava/viewtopic.php?t=51
http://pages.infinit.net/niuton/mesure/oscillo2.htm
5. 오실로스코프의 여러 가지 조절 장치
화면 : 보통 전압-시간 그림표를 비춰준다. 두 축의 축척을 조정하여 여러가지 신호를 비춰 볼 수 있다.
POWER ON/OFF 스위치 : 오실로스코프를 켰다 끄는 장치
X-Y mode : HORIZOTAL TIME/DIV을 가장 시계방향으로 돌려서 설정. 오실로스코프는 전압-시간 그림표 대신 전압-전압 그림표를 비추게 된다. 이 때 수평축은 CH1 입력, 수직축은 CH2 입력이 된다. 소자의 특성 곡선이나 리사주 (Lissajous) 그림을 비추 볼 수 있다.
TIME / DIV : 전압-시간 그림표의 수평축 축척을 조정할 수 있다.
trigger 조정 : 오실로스코프 화면 그림을 선택한 신호에 동기화(synchronise)시켜 볼 수 있다.
MODE : AUTO로 설정하면 triggering은 자동이다. 대부분의 경우 작동한다. NORM으로 설정하면 신호가 사라져 화면에서 아무것도 볼 수 없을 지도 모른다. 이제 LEVEL 조정 장치를 조절하면 다시 화면에서 신호를 볼 수 있다. LEVEL을 조정함에 따라 그림표가 파형의 다른 부분에서 시작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이용하면 파형의 원하는 부분을 자세히 볼 수도 있다.
SOURCE : 보통 보고자 하는 신호가 연결된 입력 즉 CH1이나 CH2로 한다. LINE은 교류 전원의 신호에 의하여 triggering되고 EXT으로 하면 EXT TRIG IN에 연결한 신호에 의하여 triggering된다.
밝기와 초점 (intensity and focus) : INTEN 조정은 화면의 밝기를 조절한다. 선명한 상이 생기도록 FOCUS를 설정한다. 화면을 사진찍을 때는 눈금을 볼 수 있도록 SCALE 조명을 조절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TRACE ROTATION을 작은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조정하여 신호를 연결하지 않았을 때 화면 그림표가 수평이 되도록 조절한다.
VERTICAL POSITION : 전압-시간 그림표를 오실로스코프 화면에서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화면에 있는 grid를 시용하여 파형의 주기 등을 측정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X-MAG : HORIZONTAL VARIABLE을 앞으로 잡아 당기면 전압-시간 그림표의 수평축이 10배로 확대된다. 즉 TIME/DIV을 1 ms/DIV에 설정하고 X-MAG을 IN으로 하면 0.1 ms/DIV이 되는 것이다.
CAL 출력 : 최고-최저가 0.5 V 정도의 사각 파형을 출력한다. 이 출력의 신호는 오실로스코프가 정상적으로 보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VERTICAL CH1 POSITION 및 CH2 POSITION : 해당 신호를 위 아래로 이동시켜 볼 수 있다. 교류를 살펴보고자 할 때 VERTICAL POSITION을 조정하여 화면의 중앙을 0 V로 할 수 있고 직류의 경우 화면 가장 아래 부분을 0 V로 설정할 수 있다. VERTICAL CH1 POSITION과 VERTICAL CH2 POSITION을 사용하여 두 신호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역상 (invert) : A INV 단추를 눌러 IN으로 하면 해당 신호의 역상 즉 위 아래가 바꾸어 화면에 보인다.
입력 (CH 1 및 CH 2) : BNC 케이블을 사용하여 BNC 단자에 입력 신호를 연결한다.
VOLTS / DIV : V-t 그림표의 수직축 축척을 조정. CH 1과 CH 2의 수직축 축척을 따로따로 조절할 수 있다.
DC/AC/GND 선택 스위치 : DC 위치에서는 입력 신호가 해당 채널 즉 CH 1 또는 CH 2의 Y-증폭기에 직접 연결된다. AC 위치의 경우 전기 용량(capacitor)이 중간에 연결되어 DC 신호는 차단되고 AC 신호만 비춰진다.
GND 위치이면 Y-증폭기 입력에 0 V가 연결된다. 오실로스코프 화면의 0 V 위치를 확인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DC 위치에 놓으면 된다.
HORIZONTAL MODE : 오실로스코프 화면에 보여줄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CH1은 CH1 신호만, CH2는 CH1 신호만 보여준다. DUAL의 경우에는 두 신호를 동시에 보여주며 ADD의 경우에는 CH 1과 CH 2 신호를 합하여 하나로 표시한다.
  • 가격8,4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5.05.21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87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