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2. 중앙 도서관 실태조사
3. 성별에 따른 중앙도서관 이용률
4. 거리에 따른 중앙도서관 이용률
5. 중앙도서관이용률과 중앙도서관홈페이지 이용률 조사
2. 중앙 도서관 실태조사
3. 성별에 따른 중앙도서관 이용률
4. 거리에 따른 중앙도서관 이용률
5. 중앙도서관이용률과 중앙도서관홈페이지 이용률 조사
본문내용
거리에 따른 도서관의 이용률은 무의미하다고 볼 수 있다.
5. 중앙도서관이용률과 중앙도서관홈페이지 이용률 조사
<표-8> 도서관이용률과 홈페이지 이용률
구 분
평균값(표준편차)
N
검증결과
t값
p값
도서관 이용 횟수
1.79
(.699)
89
4.73
.000(***)
홈페이지 접속 횟수
1.04
(.494)
89
*p<0.05
중앙도서관 이용 횟수가 홈페이지 이용 횟수보다 더 저조할 것이라는 조사 결과이다. 중앙도서관 홈페이지 접속 횟수와 도서관 이용의 횟수에 대한 대응표본 t검정 결과 <표 4>와 같이 나타났다. 점수가 높을수록 이용 횟수가 더욱 빈번한 것으로 본다. p값이 0.000 으로 평균차이가 없다라는 영가설이 기각되며, 따라서 도서관 이용 횟수와 중앙도서관의 홈페이지 접속 횟수의 평균 차이가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응답자 수가 89 인데 이는 중앙도서관 홈페이지 접속을 한 번도 해보지 않은 학생 61명을 비교 대상에서 제외하였기 때문인데 이를 포함한다면 중앙도서관 홈페이지의 접속횟수는 더욱 낮아진다. 중앙도서관 홈페이지 접속 횟수 보다 도서관 이용 횟수 가 더욱 높음이 나타났다.
6. 연구의 한계점
본 연구는 전주대학교 학생들의 중앙도서관의 이용 실태와 빈도를 파악하고 중앙도서관 이용률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의의를 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대표성의 문제이다. 한 학부 당 25부씩 할당표본을 실시하였으나 본래는 대표성을 나타 낼 수 있을 만큼의 더 많은 양의 할당표본을 실시했어야 한다. 본 연구의 선문 개수는 대표성을 이루기에는 미비한 양의 설문일 것이라 보인다.
둘째로, 척도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중앙도서관과 중앙도서관 홈페이지의 이용률 조사 경우 단지 방문 횟수로 정의함으로써 이용률에 대해 일반화시키기에 미비하였다. 이는 체계적으로 계발된 척도를 사용하여 중앙도서관의 이용률 및 실태를 조사하지 못한 점이 연구의 아쉬움으로 남는다. 본 연구는 정확한 도서관의 이용률을 나타내는데 일반화시키기에 무리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로, 가설 3의 검증을 위한 적절한 설문이 미비하여 검증절차를 진행시키지 못한 점이다. 국가고시 등의 시험이 있는 학부와 그러지 않은 학부와의 도서관이용률에 차이가 있을거라는 가설을 세우고 나서 설문지에서는 그 부분이 누락되었기 때문에 검증하지 못하고 본 연구를 마무리 하게 되어 많은 아쉬움이 남는다.
5. 중앙도서관이용률과 중앙도서관홈페이지 이용률 조사
<표-8> 도서관이용률과 홈페이지 이용률
구 분
평균값(표준편차)
N
검증결과
t값
p값
도서관 이용 횟수
1.79
(.699)
89
4.73
.000(***)
홈페이지 접속 횟수
1.04
(.494)
89
*p<0.05
중앙도서관 이용 횟수가 홈페이지 이용 횟수보다 더 저조할 것이라는 조사 결과이다. 중앙도서관 홈페이지 접속 횟수와 도서관 이용의 횟수에 대한 대응표본 t검정 결과 <표 4>와 같이 나타났다. 점수가 높을수록 이용 횟수가 더욱 빈번한 것으로 본다. p값이 0.000 으로 평균차이가 없다라는 영가설이 기각되며, 따라서 도서관 이용 횟수와 중앙도서관의 홈페이지 접속 횟수의 평균 차이가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응답자 수가 89 인데 이는 중앙도서관 홈페이지 접속을 한 번도 해보지 않은 학생 61명을 비교 대상에서 제외하였기 때문인데 이를 포함한다면 중앙도서관 홈페이지의 접속횟수는 더욱 낮아진다. 중앙도서관 홈페이지 접속 횟수 보다 도서관 이용 횟수 가 더욱 높음이 나타났다.
6. 연구의 한계점
본 연구는 전주대학교 학생들의 중앙도서관의 이용 실태와 빈도를 파악하고 중앙도서관 이용률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의의를 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대표성의 문제이다. 한 학부 당 25부씩 할당표본을 실시하였으나 본래는 대표성을 나타 낼 수 있을 만큼의 더 많은 양의 할당표본을 실시했어야 한다. 본 연구의 선문 개수는 대표성을 이루기에는 미비한 양의 설문일 것이라 보인다.
둘째로, 척도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중앙도서관과 중앙도서관 홈페이지의 이용률 조사 경우 단지 방문 횟수로 정의함으로써 이용률에 대해 일반화시키기에 미비하였다. 이는 체계적으로 계발된 척도를 사용하여 중앙도서관의 이용률 및 실태를 조사하지 못한 점이 연구의 아쉬움으로 남는다. 본 연구는 정확한 도서관의 이용률을 나타내는데 일반화시키기에 무리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로, 가설 3의 검증을 위한 적절한 설문이 미비하여 검증절차를 진행시키지 못한 점이다. 국가고시 등의 시험이 있는 학부와 그러지 않은 학부와의 도서관이용률에 차이가 있을거라는 가설을 세우고 나서 설문지에서는 그 부분이 누락되었기 때문에 검증하지 못하고 본 연구를 마무리 하게 되어 많은 아쉬움이 남는다.
추천자료
[전자책][e-book][전자도서관][디지털도서관]전자책(e-book)의 개념, 특성, 디지털도서관(전...
[도서관]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의 특징, 역할과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의 필요성, 기대...
[영국의 도서관][미국의 도서관][네덜란드의 도서관][스위스의 도서관][러시아의 도서관]영국...
[대학도서관][도서관][대학][대학도서관 문제점][대학도서관 활성화방안]대학도서관의 역할, ...
[도서관][도서관조직]도서관의 개념, 도서관(도서관조직)의 역사, 도서관(도서관조직)의 영향...
전자도서관(디지털도서관)의 개념과 특징, 전자도서관(디지털도서관)의 필요성과 기능, 전자...
중앙은행(한국은행)의 기능, 중앙은행(한국은행)의 대출제도, 중앙은행(한국은행)의 통화정책...
행정정보공동활용(행정정보공동이용)의 개념과 목표, 행정정보공동활용(행정정보공동이용)의 ...
[도서관사서 계속교육][도서관사서][계속교육]도서관사서 계속교육의 개념, 도서관사서 계속...
[고대도서관][도서관 본질][도서관 역할][도서관 문제점][고대 도서관 기원]도서관의 본질, ...
[도서관건축][도서관건축의 계획수립][도서관건축의 디자인][도서관건축의 개선과제]도서관건...
[경영][학교경영][교실경영][학급경영][도서관경영][대학경영][체육경영]학교경영, 교실경영,...
[간호학특론4C] 앤더슨의 의료이용예측모형을 적용한 의료이용행위를 분석. 대상자 2인의 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