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폭력 개관.pptx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디어 폭력 개관.pptx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가치유보 대 가치표명의 윤리적 딜레마


①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가치가 다를 때 겪는 딜레마
 1) 이혼
 2) 성역할
 3) 토의

② 가족 연대 대 개인 권리간의 딜레마
 1) 가족폭력
 2) 혼외관계
 3) 토의

③ 결 론

④ 토 론

본문내용

그리고 플라스틱 농장 동물들이다. 이 방에서 20분 동안 노는 것이 허용되었다. 관찰자는 일방경을 통해 공격성의 척도에 따라 아동의 행동을 측정한다.
공격성 측정- 모델의 언어적 공격에 대한 모방은 어구를 세는 것으로 측정한다. 다른 물체를 말렛으로 때리는 것도 기록한다. 비 모방적인 공격성은 모든 피험자가 성인 모델에 의해 수행되지 않은 신체적 그리고 언어적 공격을 도표화하여 제시하였다.
(4)실험 결과
①폭력적 모델에 접하게 된 아동들은 그들이 관찰한 바로 그 폭력적 행동을 모방하기 쉽 다. 폭력적 모델에 노출된 남성 피험자에서는 평균 38.2개의 모방한 신체적 공격의 예가 있었고, 여성에서는 12.7개의 예가 있었다. 그 외에 모델의 언어적으로 공격적인 행동은 소년들에게 평균 17번, 소녀들에게 평균 15.7번 모방되었다. 이러한 특별한 신체적 언어적 공격의 행동은 비공격적인 모델에 노출된 피험자나 어떤 모델에도 노출되지 못한 통제집단 에서는 전혀 볼 수 없었다.
소년의 폭력적 행동은 공격적인 여성 모델보다는 공격적인 남성 모델에서 더 많은 영향 을 받는다. 소년들이 여자 모델을 관찰했을 때는 공격적 행동의 평균 총 사례 수는 48.4인 데 비교하여 남성 공격적 모델을 봤을 때는 104회, 여성 모델이 있는 조건에서는 57.7회 인 반면에, 소녀들은 남성 모델을 봤을 때의 36.3회에 비해 공격적 여성 모델의 경우에는 평균 57.7회의 공격적 행동을 보여주었다. 같은 성별의 공격적 조건에서 소년들은 신체적 폭력을 모방하기 쉽고 소녀들은 언어적 폭력을 모방하기 쉽다는 것을 보여준다.
소년들은 거의 모든 조건에서 소녀들보다 더 신체적으로 공격적인 성향을 보여주었다. 모든 공격의 수를 합하면 소녀가 128.3회인 것에 비해 소년의 폭력적 행동은 270회이다.
3. 아동이 접하는 미디어 (과거와 현재)
과거 - TV매체 편중
현재 - TV, 인터넷
과거와는 달리 현재 미디어를 접하는 과정이 인터넷의 비중이 커짐을 알 수 있다.
3-9세의 경우 80%이상이 인터넷을 접하고 있으며 10대의 경우 거의 대부분이 인터넷을 사용함으로써 인터넷이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 미디어인지 알 수 있다.
-미디어와 폭력 청소년-
1) 정신분석학적 접근 (정화가설)
심리학계에서도 가장 낙관적인 견해라 할 수 있는 정화가설은 흔히 \"수압설\"로도 불리는데, 성적 본능이나 공격본능은 하나의 에너지(action-specific energy)의 형태로서 인간내부의 저수조에 저장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에너지는 생래적 방출기제(innate releasing mechanism)에 의해 통제되는데, 이 방출기제를 외부의 해발자극이 잡아당김으로써 축적된 에너지가 방출되어 그 에너지에 해당되는 행동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론의 정화라는 개념에서 기원을 둔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이이론에 따르면 폭력물이나 음란물을 봄으로써 오히려 공격적 에너지나 성적 에너지가 방출됨으로써 공격성이나 성적 일탈행위가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화가설을 지지하는 연구 결과들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많은 영구 결과들은 정화가설을 지지하기보다는 오히려 그 공격에너지가 더 증가하는 반대효과를 밝히고 있다. 정화이론의 신봉자로 알려지 feshbach의 조차도 정화는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고 하였고, aronson(1984)은 폭력적 프로그램을 보는 것이 사람들의 감정을 순화시켜 공격성을 줄이지도 않고 또 그럴 것이라고 믿을 만한 근거도 없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들을 내놓았다.
2) 사회학습이론
정화이론과 반대되는 이론으로, 특정한 행동의 관찰은 주어진 상황에 행동해야 할 하나의 모범이나 실례로서 작용하여 미래에 갱인이 행하게 될 적절한 형태의 행동과 사고의 틀을 제공한다. (bandura) 실제로 모델링의 효과는 공격행동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경험적 지지를 받고 있다. (eisenberg, 1980 ; leyens, Herman,&Dunand, 1982;O Neal, McDonald, Cloninger,& Levine, 1979) 이 이론은 인간은 행위를 통해 학습을 하게 되는데 학습은 직접 행함으로써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관찰을 통해서도 가능하며 이점이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반두라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은 관찰함으로써 학습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Eron과 그의 동료들 역시 22년간의 종단적 연구를 통하여 공격적인 모델을 학습한 어린이들의 공격성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학습이론에 따르면 폭력적인 프로그램을 보는 것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공격적 행위를 촉진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폭력적 프로그램은 어떻게 공격적으로 행동하는지를 알려준다.
둘째, 시청자들과 프로그램의 주인공을 동일시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주인공이 하니까나도 할 수 있다고 믿게 한다는 것이다.
셋째, 폭력적 프로그램 시청으로 폭력에 대란 두려움을 둔화시키고 폭력적 행위에 대해 무감각하게 할 수 있다.
넷째, 폭력적 행위에 의해 생성된 정서적 혼란이 공격성을 자극하는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음란물의 효과 역시 이러한 연장선에서 논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3) 사회인지적 관점
Berkowiz(1984)는 Collins와 Loftus(1975)의 가설에 기초하여 점화가설(Priming Hypothesis)을 세웠는데, 그에 따르면 사람들은 자신이 듣고 본 내용에 대해 직접 반응하기보다는 그에 대한 나름대로의 해석에 따라 반응하며 따라서 여기에는 기억이 개입하게 된다. 즉, 관찰학습이 전달매체에서 제시된 특정한 행동의 학습만 설명해 줄 수 있는 반면, 인지적 접근에서는 관찰된 행동은 그것과 관련된 생각, 정서 등을 활성화시켜 결국 전혀 다른 형태의 행동이 나타날 가능성을 높인다고 설명하고 있다.
Huesmann에 의하면 인간의 사회적 행동은 인간의 초기 발달단계에서 학습했던 행동프로그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개인적 경험에 바탕을 둔 인지스크립트가 개인적 경험을 통해 부호화 되고, 정교화 되며, 저장되고, 회상되는 과정 속에서 내면화된 규범적 가치
  • 가격1,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5.06.05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21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