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토끼전의 배경
1) 토끼전의 형성과정
2) 근대초기 소설
3) 의인 소설
4) 토끼전의 이본 및 줄거리
Ⅲ. 토끼전의 분석
1) 내용적- ㉠ 인물
㉡ 배경
㉢ 주제
㉣ 풍자와 해학
2) 형식적
㉠ 수사와 표현, 문체
㉡ 화자의 개입
㉢ 의인화 기법 사용
Ⅳ. 나오며
Ⅱ. 토끼전의 배경
1) 토끼전의 형성과정
2) 근대초기 소설
3) 의인 소설
4) 토끼전의 이본 및 줄거리
Ⅲ. 토끼전의 분석
1) 내용적- ㉠ 인물
㉡ 배경
㉢ 주제
㉣ 풍자와 해학
2) 형식적
㉠ 수사와 표현, 문체
㉡ 화자의 개입
㉢ 의인화 기법 사용
Ⅳ. 나오며
본문내용
부인할 만한 근거를 찾을수 없기 때문이다.
이 시대를 살펴보면, 정치, 사상적인 측면에서는 북학파 학자들에 의해 실학이 등장하였고, 자본주의의 맹아, 신분제도의 붕괴, 서민의식의 성장 등이 나타났다. 또한 영조는 등극하면서부터 朋黨(붕당), 奢侈(사치), 禁酒(금주)라는 三條(삼조)의 戒書(계서)로 善政(선정)을 시작하는 등, 근대적인 사고를 더욱 고취시켰다. 그리고 문학적인 측면에서도 정치, 사상의 근대적인 기운에 편승해 전대의 양반주도의 문학에서 벗어나 서민의식의 문학이 주도권을 잡게 됐다. 이에 따라 사설시조의 등장은 물론, 소설문학에도 자연적으로 서민의식이 강하게 부각되어 근대적인 성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것이다. 그래서 이 시기에 燕岩 朴趾源(연암 박지원)(1737~1805)의 《양반전》을 비롯한 12편의 한문소설이 실학 정신에 입각하여 근대화의 기수로 등장했다. 또한 《춘향전》을 비롯한 판소리계 소설이 나타나 전대에서 볼 수 없었던 서민의식의 부각과 근대성을 띠고 당시 사회상을 반영하였다. 이와 같은 작품에서 작자는 근대적인 서민 의식을 작품에 투영하고 모순된 사회제도와 부패한 양반 사회를 풍자하면서 작품의 소재를 현실사회에서 구하고 있는데, 이것이 전대의 소설보다 크게 진전된 점이라 할 수 있다.
3) 의인소설
의인소설은 인간이 아닌 사물을 인간에 가택(假宅)하여 표현한 것이다. 의인의 수법은 신화적 주인공의 비범성에서부터 각종 사물의 특성을 입체적으로 파악코자 하는 인간의 각별한 애정, 지적 호기심의 충족, 윤리적 교훈, 세태풍자 등의 효과에 이르기까지 두루 활용된다. 의인의 대상 또한 인간의 심성으로부터 살아있는 동물, 식물은 물론 일상용품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金承璨외, 《韓國文學槪論》 (제2판), 三知院, 1995, 264쪽
심성의인소설은 인격수양의 경지를 테마로 한 작품들이다. 이런 소설로는 《수성지(愁城志)》, 《천군연의(天君演義)》, 《천군본기(天君本記)》, 《천군실록(天君實綠)》 등이 있다.
동물우화소설에는 《토끼전》, 《호질》, 《장끼전》 등의 풍자류(諷刺類)와 《까치전》, 《서대주전(鼠大州傳)》 등의 송사류(訟事類), 《두껍전》, 《녹처사연회》 등의 쟁장류(爭長類)가 있다. 정출헌, 《조선후기 우화소설의 사회적 성격》, 고려대 박사논문, 1992
민 찬, 《조선후기 우화소설의 다충적 의미구현양상》, 서울대 박사논문, 1994
이런 의인소설들은 사회의 풍자와 비판이 신랄하게 녹아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4) 《토끼전》의 이본 및 줄거리
조선 후기 판소리계 동물 우화소설인 《토끼전》의 이본은 약 60여종이다. 《수궁가》, 《별주부전》, 《토생원전》, 《토별수소록》, 《토끼전》, 《별토전》, 《토별가》, 《토끼타령》, 《토처사전》 등 다양한 제목을 보여주며 그 기본 줄거리는 대동소이하다. (여기서 전 또는 록은 소설계본이며, 가와 타령은 판소리계본이다.) 그러나 이본의 결말부는 나름대로의 다양한 모습을 볼 수 있는데, 토끼에게 속은 자라가 수궁으로 그냥 돌아오는 이본, 자라가 자살하려 하자 도인(화타)이 나타나 선약을 주어 돌려보내는 이본, 자라가 자살하고 용왕도 유언을 남기고 죽는 이본, 토끼 똥을 가지고 자라가 돌아가 용왕의 병이 나았고 토끼는 월궁으로 올라가 약을 찧는 이본, 자라가 토끼 똥을 가지고 돌아가고 토끼가 자경가(自警歌)를 부르는 이본, 토끼를 놓쳐 용왕을 볼 면목이 없어 자라가 육지에서 살아가는 이본 등 다양한 모습을 지닌다. 김진영김진동외 《토끼전 전집》, 박이정, 1998
그러면 각 이본별로 줄거리는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기로 한다.
㉠《별주부전》
동해 용왕이 병이 들었지만 어떤 약도 소용이 없었다. 이때 세 명의 도사가 왕의 병은 주색(酒色)이 원인이라고 하며, 토끼의 생간을 먹어야 병이 나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어와 자라가 서로 토끼를 잡아오겠다고 강한 의지를 보이며 다툰 후, 결국 자라가 토끼를 잡아오기로 한다. 자라는 토끼의 그림을 가지고 육지로 나와 토끼를 찾던 중, 토끼를 만나서 육지 생활이 매우 위험함을 강조하고, 용궁의 화려하고 안정된 생활을 과장되게 이야기하며, 용궁에 가서 함께 행복하게 살자고 유혹한다. 결국 토끼는 자라의 유혹에 넘어가 자라의 등에 업혀서 수궁(水宮)으로 들어간다. 그러나 용왕이 토끼를 잡아서 간을 내오라고 하는 말에 놀라 이내 속았음을 알고 꾀를 내어, 간을 육지에 두고 왔다고 거짓말을 한다. 그러나 육지에 도달하자 토끼는 간을 빼어놓고 다니는 짐승이 어디 있냐며 자라를 놀리고는 달아나 버린다. 토끼를 놓친 자라는 소상강으로 피접하고, 토끼와 정을 통해 토끼를 못 잊는 자라 부인은 상사병으로 죽으니 수궁에서는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사모하여 죽은 줄 알고 정문을 내린다. 부인이 죽었음을 알고 자라는 소상강 이비(二妃)에게 원정을 올리고 자결하니 옥황이 알고 용궁에 알려 주부의 충성을 표양한다는 내용이다.
㉡《토끼전》
단권 30장본 순한글본으로 《별주부전》과 그 내용은 비슷하며 토끼를 육지에 내려놓으니 토끼가 도망가 버리고 자라는 앙천탄식 한다는 내용으로 끝난다.
㉢ 경판본 《토전》
삽화 내용을 전반적으로 검토해보면 경판본 《토끼전》과 매우 흡사하다. 마지막부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토끼와 함께 육지에 다시 나간 자라는 토끼에게 속은 것을 알고 바위에 머리를 찧어 죽는다. 거북이 나와 보고 용왕에게 보고하자, 신하들은 수궁군사를 일으켜 토끼 족속을 몰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용왕은 이를 사양하고 병이 위중해져서 용자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죽는다. 무수한 조문객들이 조문하고, 길지를 택하고, 길일을 택하고, 무덤을 조성하는 일들이 자세하게 묘사된다. 그리고 새 용왕은 정사를 어질게 하여 백성들은 함포고복하며 격양가하며 태평세월을 보낸다는 내용이다.
Ⅲ. 토끼전의 분석
1) 내용적
㉠ 인물
《토끼전》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들은 토끼, 자라, 용왕 등이 있다. 우선 토끼는 명예욕이 매우 강하고 허영심과 공명심 역시 강하다.
“슈궁이란 곳이 집을 지으되 호박(琥珀) 듀초(柱)의 산호 기동이며, 밀화(蜜花) 들보의 청강석 기화 이혀스며 슈정 水晶 발 드리오고, 백옥 난간을
이 시대를 살펴보면, 정치, 사상적인 측면에서는 북학파 학자들에 의해 실학이 등장하였고, 자본주의의 맹아, 신분제도의 붕괴, 서민의식의 성장 등이 나타났다. 또한 영조는 등극하면서부터 朋黨(붕당), 奢侈(사치), 禁酒(금주)라는 三條(삼조)의 戒書(계서)로 善政(선정)을 시작하는 등, 근대적인 사고를 더욱 고취시켰다. 그리고 문학적인 측면에서도 정치, 사상의 근대적인 기운에 편승해 전대의 양반주도의 문학에서 벗어나 서민의식의 문학이 주도권을 잡게 됐다. 이에 따라 사설시조의 등장은 물론, 소설문학에도 자연적으로 서민의식이 강하게 부각되어 근대적인 성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것이다. 그래서 이 시기에 燕岩 朴趾源(연암 박지원)(1737~1805)의 《양반전》을 비롯한 12편의 한문소설이 실학 정신에 입각하여 근대화의 기수로 등장했다. 또한 《춘향전》을 비롯한 판소리계 소설이 나타나 전대에서 볼 수 없었던 서민의식의 부각과 근대성을 띠고 당시 사회상을 반영하였다. 이와 같은 작품에서 작자는 근대적인 서민 의식을 작품에 투영하고 모순된 사회제도와 부패한 양반 사회를 풍자하면서 작품의 소재를 현실사회에서 구하고 있는데, 이것이 전대의 소설보다 크게 진전된 점이라 할 수 있다.
3) 의인소설
의인소설은 인간이 아닌 사물을 인간에 가택(假宅)하여 표현한 것이다. 의인의 수법은 신화적 주인공의 비범성에서부터 각종 사물의 특성을 입체적으로 파악코자 하는 인간의 각별한 애정, 지적 호기심의 충족, 윤리적 교훈, 세태풍자 등의 효과에 이르기까지 두루 활용된다. 의인의 대상 또한 인간의 심성으로부터 살아있는 동물, 식물은 물론 일상용품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金承璨외, 《韓國文學槪論》 (제2판), 三知院, 1995, 264쪽
심성의인소설은 인격수양의 경지를 테마로 한 작품들이다. 이런 소설로는 《수성지(愁城志)》, 《천군연의(天君演義)》, 《천군본기(天君本記)》, 《천군실록(天君實綠)》 등이 있다.
동물우화소설에는 《토끼전》, 《호질》, 《장끼전》 등의 풍자류(諷刺類)와 《까치전》, 《서대주전(鼠大州傳)》 등의 송사류(訟事類), 《두껍전》, 《녹처사연회》 등의 쟁장류(爭長類)가 있다. 정출헌, 《조선후기 우화소설의 사회적 성격》, 고려대 박사논문, 1992
민 찬, 《조선후기 우화소설의 다충적 의미구현양상》, 서울대 박사논문, 1994
이런 의인소설들은 사회의 풍자와 비판이 신랄하게 녹아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4) 《토끼전》의 이본 및 줄거리
조선 후기 판소리계 동물 우화소설인 《토끼전》의 이본은 약 60여종이다. 《수궁가》, 《별주부전》, 《토생원전》, 《토별수소록》, 《토끼전》, 《별토전》, 《토별가》, 《토끼타령》, 《토처사전》 등 다양한 제목을 보여주며 그 기본 줄거리는 대동소이하다. (여기서 전 또는 록은 소설계본이며, 가와 타령은 판소리계본이다.) 그러나 이본의 결말부는 나름대로의 다양한 모습을 볼 수 있는데, 토끼에게 속은 자라가 수궁으로 그냥 돌아오는 이본, 자라가 자살하려 하자 도인(화타)이 나타나 선약을 주어 돌려보내는 이본, 자라가 자살하고 용왕도 유언을 남기고 죽는 이본, 토끼 똥을 가지고 자라가 돌아가 용왕의 병이 나았고 토끼는 월궁으로 올라가 약을 찧는 이본, 자라가 토끼 똥을 가지고 돌아가고 토끼가 자경가(自警歌)를 부르는 이본, 토끼를 놓쳐 용왕을 볼 면목이 없어 자라가 육지에서 살아가는 이본 등 다양한 모습을 지닌다. 김진영김진동외 《토끼전 전집》, 박이정, 1998
그러면 각 이본별로 줄거리는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기로 한다.
㉠《별주부전》
동해 용왕이 병이 들었지만 어떤 약도 소용이 없었다. 이때 세 명의 도사가 왕의 병은 주색(酒色)이 원인이라고 하며, 토끼의 생간을 먹어야 병이 나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어와 자라가 서로 토끼를 잡아오겠다고 강한 의지를 보이며 다툰 후, 결국 자라가 토끼를 잡아오기로 한다. 자라는 토끼의 그림을 가지고 육지로 나와 토끼를 찾던 중, 토끼를 만나서 육지 생활이 매우 위험함을 강조하고, 용궁의 화려하고 안정된 생활을 과장되게 이야기하며, 용궁에 가서 함께 행복하게 살자고 유혹한다. 결국 토끼는 자라의 유혹에 넘어가 자라의 등에 업혀서 수궁(水宮)으로 들어간다. 그러나 용왕이 토끼를 잡아서 간을 내오라고 하는 말에 놀라 이내 속았음을 알고 꾀를 내어, 간을 육지에 두고 왔다고 거짓말을 한다. 그러나 육지에 도달하자 토끼는 간을 빼어놓고 다니는 짐승이 어디 있냐며 자라를 놀리고는 달아나 버린다. 토끼를 놓친 자라는 소상강으로 피접하고, 토끼와 정을 통해 토끼를 못 잊는 자라 부인은 상사병으로 죽으니 수궁에서는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사모하여 죽은 줄 알고 정문을 내린다. 부인이 죽었음을 알고 자라는 소상강 이비(二妃)에게 원정을 올리고 자결하니 옥황이 알고 용궁에 알려 주부의 충성을 표양한다는 내용이다.
㉡《토끼전》
단권 30장본 순한글본으로 《별주부전》과 그 내용은 비슷하며 토끼를 육지에 내려놓으니 토끼가 도망가 버리고 자라는 앙천탄식 한다는 내용으로 끝난다.
㉢ 경판본 《토전》
삽화 내용을 전반적으로 검토해보면 경판본 《토끼전》과 매우 흡사하다. 마지막부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토끼와 함께 육지에 다시 나간 자라는 토끼에게 속은 것을 알고 바위에 머리를 찧어 죽는다. 거북이 나와 보고 용왕에게 보고하자, 신하들은 수궁군사를 일으켜 토끼 족속을 몰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용왕은 이를 사양하고 병이 위중해져서 용자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죽는다. 무수한 조문객들이 조문하고, 길지를 택하고, 길일을 택하고, 무덤을 조성하는 일들이 자세하게 묘사된다. 그리고 새 용왕은 정사를 어질게 하여 백성들은 함포고복하며 격양가하며 태평세월을 보낸다는 내용이다.
Ⅲ. 토끼전의 분석
1) 내용적
㉠ 인물
《토끼전》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들은 토끼, 자라, 용왕 등이 있다. 우선 토끼는 명예욕이 매우 강하고 허영심과 공명심 역시 강하다.
“슈궁이란 곳이 집을 지으되 호박(琥珀) 듀초(柱)의 산호 기동이며, 밀화(蜜花) 들보의 청강석 기화 이혀스며 슈정 水晶 발 드리오고, 백옥 난간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