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_청년실업에 대한 ‘복지정책’의 필요성
2. 본론
2.1 경기적 원인에 대한 대책_지원금정책을 중심으로
2.2 ‘구조적 원인’에 대한 대책_‘교육제도’를 중심으로
2.3. 마찰적 원인에 대한 대책_ 인턴제를 중심으로
3 결론
2. 본론
2.1 경기적 원인에 대한 대책_지원금정책을 중심으로
2.2 ‘구조적 원인’에 대한 대책_‘교육제도’를 중심으로
2.3. 마찰적 원인에 대한 대책_ 인턴제를 중심으로
3 결론
본문내용
『복지정책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청년실업문제』
<목차>
1. 서론_청년실업에 대한 ‘복지정책’의 필요성
2. 본론
2.1 경기적 원인에 대한 대책_지원금정책을 중심으로
2.2 ‘구조적 원인’에 대한 대책_‘교육제도’를 중심으로
2.3. 마찰적 원인에 대한 대책_ 인턴제를 중심으로
3 결론
1. 서론_청년실업에 대한 ‘복지정책’의 필요성
가. 요즘의 젊은이들... 저의 세대랑 좀 다른것 같습니다. 밝고 구김없고 순발력있고 톡톡틔고 신선한 면은 너무 보기 좋습니다. 그러나 구세대인 제가 보기엔 인내력이 부족한것이 흠인것 같습니다. 요즘 젊은이들 집은 없어도 차는 있어야하고.. 좀 벌었다 싶으면 해외여행에 백화점에 가서 펑펑 쓰지요.. 또 카드 박박 긁고 신용불량되기도 합니다. 어려운 일을 하지 않으려 하면서 일확천금을 꿈꿉니다. 일자리 없다면서 집에서 딩굴고 있지요. 일자리 널렸는데 말입니다. 그런데 직장 구할때 조건이 월급보다 주5일근무제하는냐라고 합니다. 취업률 1위는 노땅인 40대라고 합니다. 이민가고 싶어하는 세대도 젊은 세대입니다......제가 보기엔 요즘 젊은이들 독한게 없습니다. 요즘은 부모집에서 눌러서 먹고사는 캥거루족도 있다고 합니다. 일본은 졸업하고 직장다니면 집에 생활비를 냅니다. 미국은 졸업후 자력갱생입니다. 저는 \"인내력= 실력.\"이라고 믿습니다.
나. 남들이 뭐라고 하건 나는 열심히 달려왔다. 아무리 열심히 해도 나의 힘으로 어떻게 하지 못하는 벽에 부딪힐 때가 있다. \"노력이라는 말은 다른 사람에 비해 몇 배의 힘을 쏟아 부었을 때에만 꺼낼 수 있는 말이다.\" 이 말을 듣자마자, 하나의 정자로서 엄마의 뱃속을 헤엄쳐 갔을 때 말고는 태어나서 한 번도 노력이란 것을 해본 적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느 영화에서는 쇼펜하우어의 사상을 연구해온 철학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는 생전에 \"엘리트가 될 수 없다면, 스스로 목숨을 거두는 것이 행복을 위한 길이다.\"라는 말을 남겼다. 그때 나는 분명 서재에서 목을 매단 가상의 주검을 보면서, 살아가는 모든 삶의 가치가 있는 것이라고 중얼거렸다. 그러나 지금의 나는, 그것을 주저 없이 딱 잘라 말할 수 없게 되었다. 얼마 전부터 노력하지 않는 사람에게 살아갈 가치가 있는가에 대해서 생각해 왔기 때문이다. 오늘 아침에 알밤여사와 아버지, 그리고 내가 떡국을 먹으면서, 뉴스를 보고 있었다. 뉴스에서는 환경미화원을 뽑는 체력장에서 온 힘을 쏟아 붓는 사람들의 모습을 비춰 주었다. 아버지는 그들을 보면서 \"요즘 젊은 사람들, 저러고 어떻게 살아?\"하는 식의 말을 입에 올렸다. 그 맞은편에 앉은 나는, 잔뜩 움츠린 채 \"저들을 비웃고 넘어갈 일이 아니야.\"라고 말하는 수밖에 없었다.
위의 글들은 장년층이, 그리고 청년층 스스로가 현재 청년실업을 바라보는 가장 일반적인 시각이다. 두 가지 시각의 공통점은 ‘청년실업’ UN의 정의에 의하면 ‘청년’은 15-24세의 젊은이를 의미하지만, 우리나라의 상황을 고려하여 청년의 범주를 19-29세로 조작적 정의를 내린다. 이러한 청년층의 실업은 전체실업 문제에 포함 될 수도 있지만, ‘청년’이 자본시장에서 상대적 약자라는 것과, 이들의 ‘첫 일자리’진입이 어려울 때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이 사회문제를 야기한다고 볼 때 ‘청년실업’에 대한 접근이 용이해 진다.
을 개인적 차원에서 바라본다는 것이다. 이는 IMF 이후에 언론의 ‘취업전쟁’에 대한 공공연한 선포와 98년도부터 쏟아져 나온 정부의 ‘청년실업 대책’을 무색하게 한다.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 ‘실업률’표를 제시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해 보일지 모른다. 그런데 통계청에서 제시하는 청년층의 실업률은 2000년대 초반까지도 3-4%였다. 실상 그리 높지 않다. 다만, 우리나라의 청년층의 실업문제는 표면적인 청년실업문제와 더불어 청년층에서 차지하고 있는 임시직, 일용직 근로자들에 대한 문제를 포함한다. 채창균,2001:3
이를 수치에 포함할 경우 실업문제는 실제로 엄청나다고 예측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청년실업의 경우, 단순한 실업의 유무만으로 판단하기는 어려운 다양한 병리적인 현상들을 조명할 필요가 있다. 공무원과 의사로 대표되는 특정 직업에 대한 줄서기 현상의 이면에는 ‘첫 취업에서 일자리 불일치’(job mismatch) 일자리 불일치(job mismatch)란 첫 일자리의 수준이 자신의 교
<목차>
1. 서론_청년실업에 대한 ‘복지정책’의 필요성
2. 본론
2.1 경기적 원인에 대한 대책_지원금정책을 중심으로
2.2 ‘구조적 원인’에 대한 대책_‘교육제도’를 중심으로
2.3. 마찰적 원인에 대한 대책_ 인턴제를 중심으로
3 결론
1. 서론_청년실업에 대한 ‘복지정책’의 필요성
가. 요즘의 젊은이들... 저의 세대랑 좀 다른것 같습니다. 밝고 구김없고 순발력있고 톡톡틔고 신선한 면은 너무 보기 좋습니다. 그러나 구세대인 제가 보기엔 인내력이 부족한것이 흠인것 같습니다. 요즘 젊은이들 집은 없어도 차는 있어야하고.. 좀 벌었다 싶으면 해외여행에 백화점에 가서 펑펑 쓰지요.. 또 카드 박박 긁고 신용불량되기도 합니다. 어려운 일을 하지 않으려 하면서 일확천금을 꿈꿉니다. 일자리 없다면서 집에서 딩굴고 있지요. 일자리 널렸는데 말입니다. 그런데 직장 구할때 조건이 월급보다 주5일근무제하는냐라고 합니다. 취업률 1위는 노땅인 40대라고 합니다. 이민가고 싶어하는 세대도 젊은 세대입니다......제가 보기엔 요즘 젊은이들 독한게 없습니다. 요즘은 부모집에서 눌러서 먹고사는 캥거루족도 있다고 합니다. 일본은 졸업하고 직장다니면 집에 생활비를 냅니다. 미국은 졸업후 자력갱생입니다. 저는 \"인내력= 실력.\"이라고 믿습니다.
나. 남들이 뭐라고 하건 나는 열심히 달려왔다. 아무리 열심히 해도 나의 힘으로 어떻게 하지 못하는 벽에 부딪힐 때가 있다. \"노력이라는 말은 다른 사람에 비해 몇 배의 힘을 쏟아 부었을 때에만 꺼낼 수 있는 말이다.\" 이 말을 듣자마자, 하나의 정자로서 엄마의 뱃속을 헤엄쳐 갔을 때 말고는 태어나서 한 번도 노력이란 것을 해본 적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느 영화에서는 쇼펜하우어의 사상을 연구해온 철학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는 생전에 \"엘리트가 될 수 없다면, 스스로 목숨을 거두는 것이 행복을 위한 길이다.\"라는 말을 남겼다. 그때 나는 분명 서재에서 목을 매단 가상의 주검을 보면서, 살아가는 모든 삶의 가치가 있는 것이라고 중얼거렸다. 그러나 지금의 나는, 그것을 주저 없이 딱 잘라 말할 수 없게 되었다. 얼마 전부터 노력하지 않는 사람에게 살아갈 가치가 있는가에 대해서 생각해 왔기 때문이다. 오늘 아침에 알밤여사와 아버지, 그리고 내가 떡국을 먹으면서, 뉴스를 보고 있었다. 뉴스에서는 환경미화원을 뽑는 체력장에서 온 힘을 쏟아 붓는 사람들의 모습을 비춰 주었다. 아버지는 그들을 보면서 \"요즘 젊은 사람들, 저러고 어떻게 살아?\"하는 식의 말을 입에 올렸다. 그 맞은편에 앉은 나는, 잔뜩 움츠린 채 \"저들을 비웃고 넘어갈 일이 아니야.\"라고 말하는 수밖에 없었다.
위의 글들은 장년층이, 그리고 청년층 스스로가 현재 청년실업을 바라보는 가장 일반적인 시각이다. 두 가지 시각의 공통점은 ‘청년실업’ UN의 정의에 의하면 ‘청년’은 15-24세의 젊은이를 의미하지만, 우리나라의 상황을 고려하여 청년의 범주를 19-29세로 조작적 정의를 내린다. 이러한 청년층의 실업은 전체실업 문제에 포함 될 수도 있지만, ‘청년’이 자본시장에서 상대적 약자라는 것과, 이들의 ‘첫 일자리’진입이 어려울 때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이 사회문제를 야기한다고 볼 때 ‘청년실업’에 대한 접근이 용이해 진다.
을 개인적 차원에서 바라본다는 것이다. 이는 IMF 이후에 언론의 ‘취업전쟁’에 대한 공공연한 선포와 98년도부터 쏟아져 나온 정부의 ‘청년실업 대책’을 무색하게 한다.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 ‘실업률’표를 제시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해 보일지 모른다. 그런데 통계청에서 제시하는 청년층의 실업률은 2000년대 초반까지도 3-4%였다. 실상 그리 높지 않다. 다만, 우리나라의 청년층의 실업문제는 표면적인 청년실업문제와 더불어 청년층에서 차지하고 있는 임시직, 일용직 근로자들에 대한 문제를 포함한다. 채창균,2001:3
이를 수치에 포함할 경우 실업문제는 실제로 엄청나다고 예측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청년실업의 경우, 단순한 실업의 유무만으로 판단하기는 어려운 다양한 병리적인 현상들을 조명할 필요가 있다. 공무원과 의사로 대표되는 특정 직업에 대한 줄서기 현상의 이면에는 ‘첫 취업에서 일자리 불일치’(job mismatch) 일자리 불일치(job mismatch)란 첫 일자리의 수준이 자신의 교
키워드
추천자료
노동복지정책의 정의, 현황, 문제점
노인문제와 노인복지정책의 발전 방향
청년실업 증가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여성복지정책의 전개와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및 발전방향
청년실업의 원인, 현황과 향후 청년실업정책의 방향, 청년실업정책의 과제 및 청년실업정책의...
한 일 청년실업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 청년실업의 원인과 문제점,외국의 청년실업 현황 및 대책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를 보는 시각인 잔여적 관점과 제도적 관점을 비교분석
[사회과학] 청년실업의 실태를 분석해보고 문제점이 무엇인지,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은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청년실업의 실태를 분석해보고 문제점이 무엇인지, 이를 개선할 수 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