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채치료/色彩治療/Color Therapy] 아스퍼거 증후군의 색채심리치료 -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심리적 증상, 색채심리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의 모습과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 및 적용한 후 색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색채치료/色彩治療/Color Therapy] 아스퍼거 증후군의 색채심리치료 -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심리적 증상, 색채심리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의 모습과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 및 적용한 후 색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심리적 증상

2. 색채심리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의 모습

3. 색채 심리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

4. 색채심리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색채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각과는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 것이고,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모습은 엄마의 지탄을 받게 되고, 자신에게도 화가 나는 색채이다.
[그림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OO는 현실과 이상의 관계에서 적절하게 반응하지 못함으로써 나타나는 반항행동에 의한 대인관계에 대한 대처로 노란색 주황 빨간색의 유사배색을 사용하였다. 이것은 다른 사람의 감정을 무시하는 표현으로 주OO에게 또 다른 상처로 억압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론적으로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이해하거나 제한된 상황 하에서의 사회적 규칙들을 명확히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알고 있는 것들을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상황에 잘 적용시키는 것은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즉, 검정색의 사용은 학원에서의 상호관계 작용의 결과로 엄격한 규칙과 무례하고 이상하게 보일 정도의 억지 행동 등은 관계에서 나타난 어색한 감정을 표현한 것이다. 이런 이유로 노란색은 친구를 사귀려고 노력했으나 계속 실패하면서 친구 만들기에 대한 관심을 회피하려는 것을 표현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림 6] 누리에를 활용한 색채심리치료
[그림 7] 파스텔 색조를 활용한 색채심리치료
[그림 7]에서 보는 초록색의 시각화는 주OO의 특정 증후군 때문에 혼잣말을 하거나, 마음속 생각을 아무 생각 없이 내뱉는 등, 무슨 말을 하는지 종잡기 힘들다는 인상을 보여주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주OO은 자신의 이야기를 듣는 친구들이 관심을 보여주지 않고, 이상한 나라의 아이로 취급당하는 것이 속상해 하고 있다. 왜냐하면 다른 아이들은 주OO에게 신경을 쓸 여유가 없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즉, 대화 내용에 관심이 있는지 여부를 적절히 관찰하지도 못할 뿐더러 자신이 말하는 내용의 결론을 내지도 못하는 두서없는 대화의 내용으로 친구사귀기는 쉽게 성공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한 마음을 해독하고 회복시키는 색채로 분노의 빨간색 빗방울을, 그래도 재미있어서 학원을 가야 한다는 희망의 노란색 빗방울을 표현하였다.
[그림 8] 주변 소품을 활용한 색채심리치료(1)
감정의 조화능력이 많이 향상된 주OO에게 생활에서 필요한 소품을 선택하여 자신에게 힘을 주는 색채를 사용하여 표현하도록 한다. [그림 8]에서 보듯이, 자신이 색칠하고 완성시킨 디자인으로 자신만의 소품을 소장한다는 것은 성취 욕구를 고취시킬 수 있다. 초록색은 안정감을 추구하는 무의식을 표현한 것이고, 검정색 테두리에 빨간색을 표현한 것은 어려운 감정을 의식화를 통해 참으면서 상처를 회복하려고 노력하는 색채를 나타낸 것이다. 그렇지만 초록에 검정이 조금 섞인 것은 주OO의 심리적 증상이 다소 침체되어 있음을 표현한다.
[그림 9] 주변 소품을 활용한 색채심리치료(2)
비가 올 때 입는 우비를 이용하여 마음에 드는 캐릭터를 골라 자신이 좋아하는 채색을 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자신이 만든 소품을 갖고 다닌다는 것은 아동에게 긍정적인 사고의 능력을 강화시키고 있는데, [그림 9]에서 나타난 주황색은 창의성을 표현하는 색채로 스스로 할 수 있다는 느낌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초록색은 스스로 넘지 못하는 증후군의 벽을 친구처럼 수용하려는 새로운 정신세계를 표현한 것이고, 노란색은 새로운 이성에 관심을 보이고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물론 이성에게 자신의 마음을 표현은 하지 못하고 스스로 비밀로 간직하며 행동하지만 어느 단계에서 자신의 의지를 표현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4. 색채심리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색채
[그림 10] 색채심리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색채표현
[그림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색채심리치료 후에는 다양한 색채의 채색도 이루어져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빨간색과 검정색을 사용하는 것을 통해서 구조적인 측면에서도 조금 복잡한 지시나 추상적인 개념의 지시를 해도 잘 따라한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즉, 색채심리치료 전에는 중얼거리거나 다른 사람의 말을 모방하고 특별한 한 문장의 첫 단어나 마지막 단어 몇 개를 되풀이해서 사용하였으나 색채심리치료 후에는 반향언어와 단순감이 많이 감소하였다.
노란색의 표현을 통해 주OO이 친구들과의 관계에서도 게임 등을 같이 하기 위한 왕래를 시작하는 희망을 나타낸 표현이지만, 갈색과 초록색의 표현은 사회성이 부족한 주OO에게 자극적인 비디오, 게임 등은 나홀로족으로 사회성을 더욱더 단절시키고 뇌의 불균형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친구들과의 소통도구로서만 가능하도록 절제를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06.24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45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