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보고서 (문헌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당뇨 보고서 (문헌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병태생리
2. 분류
3. 진단검사
4. 증상
5. 치료와 간호

본문내용

함꼐 속효형이나 초속효형인슐린을, 저녁식사전에 속효형이나 초속효형인슐린을 잠자기 전 NPH투여하는 방법. - 공복시혈당이 높은사람에게 좋다.
· 하루 4회 인슐린 주사요법: 아침식사와 잠잘 때 NPH를 투여하고 초속효성이나 속효성 인슐린은 각 식사전에 투여한다.
① 필요물품
(인슐린)
· 중간형 인슐린은 사용전 흔들지 말고 굴리거나 부드럽게 회전시켜 섞고 실온이나 냉장보관하며 주사전 냉장고에서 미리 꺼내두었다가 실온에서 투여한다.
· 중간형과 장시간형 인슐린 약병안쪽에 하얗게 서리가 끼어있으면 응결을 의미 하며 이는 효과가 없으니 폐기
· 유효일자가 지났거나, 한달이상 개봉시, 색깔이 변할시도 폐기
(주사기)
· 반드시 인슐린 농도와 맞는 것을 사용하며 100단위 주사기를 사용하며 주삿바늘길이는 27G와 29G사이인 것을 사용한다.
② 주사준비
(인슐린 혼합) 맑은 속효형인슐린을 먼저 뽑고나서 혼탁한 중간형을 뽑는다.
③ 주사부위 선정
( 주사부위 선택과 회전법)
· 주사부위 : 복부, 팔, 허벅지(앞쪽)가 복부는 매일 돌아가면 위치를 바꿈
why? 지방조직의 국소적인 변화를 예방하기 위해서임.
· 회전법의 일반적인 원칙
2~3주동안 같은곳에 한번이상 주사하지 않는다
운동을 할 때 사지에 주사x
wHY? 인슐린 흡수속도가 빨라져 저혈당에 빠지기 때문
④ 주사방법
· 피부를 펴서 하는방법, 피부를 집어서하는방법, 45도 또는 90도각도로 넣는방법
· 피부를 집어서 바늘을 꼽을시 반드시 피하조직내로 주사한다.
▶ WHY?
피하조직내 너무 얕게 주사하거나 근육내 너무 깊게 주사하는 경우 인슐린 흡수율에 영향을 주게 됨.
(3) 인슐린요법의 부작용 및 과민 반응
① 알레르기 반응
· 국소 염증반응을 일으켜 가려움, 발적, 주사부위 타는듯한 느낌, 두드러기, 과민성쇼크
② 저혈당
· 인슐린 과다 투여, 식사시간 늦거나 부족시, 과도운동, 과다음주, 혈당강하제복용시 초래시
· 인슐린 사용시 저혈당 증상과 징후를 잘 이해한다.
③ 지방위축증과 지방비후증
· 같은 부위에 계속 주사시 그 부위가 움푹들어가 함몰되는 지방위축증을 일으킨다.
· 이 부위를 6개윌이상 그 부위에 주사하지 않으면 비후증이 없어진다.
④ 소모기 현상
· 저혈당반응과 고혈당시기가 특징적으로 변하는 반응으로 과다한 인슐린 투여후 혈당이 저하, 급성저혈당에 대한 반응으로 카테콜아민, CORTISOL, 성장호르몬이 분비되어 반동적인 반응으로 고혈당, 케톤뇨가 나타난다.
· 새벽에 혈당 60이하가 되고 야간 저혈당에 대한 반동으로 흔히 밤에 식은땀, 악몽, 아침에 일어날 때 머리가 아프다.
⑤ 새벽현상
· 새벽3시까지 혈당이 정상이다가 그 이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한다.
5) 대상자 교육
· 당뇨병에 대한 기본적 이해와 당뇨병으로 인한 신체대사 변화
· 처방된 치료방침과 혈당 조절기전
· 인슐린 종류,양,투약시간,방법, 정확한 인슐린주사법, 필요한 물품준비및관리
· 혈당강하제 종류, 용량, 투약시간, 부작용, 대처방안
· 저혈당에 증상과 대처방안
· 혈당과 소변케톤에 대한 정확한 자가측정방법, 대처방안, 필요한 물품관리
· 운동이 열량과 인슐린 요구량에 미치는 효과
· 평상시 식사를 질병으로 인해 지속할 수 없을 때 당뇨식이에 대한 대처방안
· 하지 손상예방, 필요한 추후관리 방법
· 의문 생길 때 의논할 대상자
6) 합병증
1) 급성합병증
(1) 저혈당증
①병태생리
· 저혈당은 혈당이 50~60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 약 68이하가 되면 글루카곤과 에피네프린이 증가해 간에서 당원을 생성시켜 혈당치를 상승시킨다. 에프네프린은 인슐린분비를 억제한다.
· 저혈당은 밤이나 낮시간중 언제든지 일어나며 식사시간 지연, 식사량부족, 운동 과다, 간식 먹지 않을 때 자주 나타남.
(EX) 오전에 발생하는 저혈당은 오전에 투여한 RI작용이 최고일 때 일어나고, 오후 늦게 일어나는 저혈당은 아침에 투여한 NPH의 작용이 최고일 때 나타난다.
② 저혈당 증상
당분감소로 인한 신경계 증상
자율신경계 증상
허약,피로, 혼동, 정서불안, 발작, 기억력저하,의식상실, 뇌손상, 사망
아드레날린성 (떨림,심계항진, 과민/불안)
콜린성 (발한,허기,얼얼함)
③치료와 간호
· 의식이 명료한 경우 당질 10~15G이 함유된 응급식품을 먹도록한다
( 1/2컵의 순수 과일주수나 탄산수 공급, 2~3개 설탕공급, 2~3티스푼의 설탕물제공)
· 집중력 저하, 말이느려짐, 의식잃는등 뇌증상을 보이면 50%dextrose을 1~3분에 걸쳐 주사하거나 1mg의 글루카곤을 피하나 근육으로 주사한다.
( 글루카곤은 췌장 B-세포를 자극해 간에 저장된 포도당 글리코겐을 분해해 포도당분비를 자극하는 호르몬)
④ 예방과 대상자 교육
· 저혈당 예방위해 인슐린이 최고로 작용하는 시간에 운동을 피하고, 식사하며, 취침시 간식을 제공한다.
· 신체활동량이 증가시 간식과 음식을 추가로 섭취하며 규칙적으로 혈당을 측정해 인슐린 요규량을 변화를 한다.
· 대상자와 가족에게 저혈당 증상을 교육한다.
(2) 당뇨성 케톤산증
①병태생리
·당뇨성 케톤산증은 인슐린이 현저히 부족하거나 생산되지 않을 때 생기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대사에 이상이 생긴다.
· 주요 특상은 탈수, 전해질 손실, 산증이다
· 삼투성이뇨현상으로 탈수와 전해질 손실이 생긴다.
②원인
· 처방된 인슐린양이 적거나 인슐린 투여를 하지 않은 경우, 당뇨병 대상자가 다른질병이나 감염상태인 경우, 진단과 치료가 안된 당뇨병 대상자에게서 처음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③ 증상과 징후
· 다뇨, 갈증, 다식을 일으키며 두통, 쇠약감, 흐린시야, 기립성저혈압
· 케톤증과 당뇨병성케톤산증 때문에 식욕부진, 오심, 구토, 복통같은 위장계 증상
· KUSSMAUL호흡 (과일향이 나는 냄새)
· DKA 대상자는 많은 증병증이 생길수 있는데 전해질불균형, 뇌부종
④ 임상검사
· 혈당은 300-800mg/dl정도이다. 일부 대상자는 혈당이 250미만일수 있다.
· 당뇨성케톤산증의 심각성과 혈당수치는 절대적인 관계 안보임
· pH 7.25~7.30은 경중 DkA, 7~7.24는 중등도 DKA 7미만시 중증의
· 소듐과 포타슘치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5.06.26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47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