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History
1. 빌 게이츠
2. 마이크로-소프트 창업
3. MS의 성장
Ⅱ. 본문
1. MS 운영체제
2. 마이크로소프트와 국내 경쟁사 분석; 한글과 컴퓨터
3. 마이크로소프트의 실패 사례 분석; 킨(KIN)폰
4. 마이크로소프트의 조직과 관리
Ⅲ. 시사점
1. 창조적 모방
2. 해외 시장파악의 중요성 (MS의 국내진입)
3. 뒤늦은 시장대응
4. MS사 하락의 원인
5. 마이크로소프트의 강점 및 약점
Ⅳ. 출처
1. 빌 게이츠
2. 마이크로-소프트 창업
3. MS의 성장
Ⅱ. 본문
1. MS 운영체제
2. 마이크로소프트와 국내 경쟁사 분석; 한글과 컴퓨터
3. 마이크로소프트의 실패 사례 분석; 킨(KIN)폰
4. 마이크로소프트의 조직과 관리
Ⅲ. 시사점
1. 창조적 모방
2. 해외 시장파악의 중요성 (MS의 국내진입)
3. 뒤늦은 시장대응
4. MS사 하락의 원인
5. 마이크로소프트의 강점 및 약점
Ⅳ. 출처
본문내용
후부터 한글과컴퓨터 현금성 자산을 셀론으로 빼돌리는 등 횡령 배임 혐의가 있었다. 회사 측은 공시를 통해 횡령 배임혐의 금액 385억원을 밝혔다. 그 것은 IT 버블 붕괴와 10년간 코스닥 기업에 만연해온 최대주주의 모럴해저드이었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한글과컴퓨터에 대한 상장폐지 실질심사위원회 심의결과 상장폐지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했다.
2.2.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마케팅전략
2.2.1) 마이크로소프트사는 고객이 누구이고 그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발견하기 위
해서 제품의 개발을 다단계적으로 주기를 나누었다.
첫째, 계획단계에서는 제품의 비전, 사양서와 일정을 결정한다.
둘째, 개발단계에서는 각자 단계적으로 목표를 실현할 수 있게 하는 서너 개의 연속적
하부 프로젝트에서 기능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안정화 단계에서는 종합적인 내,외부의 테스트, 마지막 제품 안정화와 출하
를 하였다.
2.2.2) 마이크로소프트웨어사는 MS 오피스의 기능들의 추가로 인해 용량이 커져 속도가
늦어지게 되는데 이에 마이크로소프트는 블로트웨어라는 이미지를 불식시키기 위해 노력
했다.
※블로트웨어는 \'풍선처럼 부풀게 하다\'라는 뜻의 블로트(bloat)와 소프트웨어의 합성어이
다. 주로 퍼스널 컴퓨터에 번들로 포함되는 가계부와 게임 등의 소프트웨어가 해당된다.
2.2.3) 가격전략 목적 및 전략
첫째, 마이크로소프트 기업의 생존을 확보하는 것이다.
둘째, 마이크로소프트의 단기적 이익 극대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 국내외 시장점유율증가 시킨다.
넷째, 제품 품질의 선도기업이라는 이미지를 증식시킨다.
2.2.4) 가격전략
▶마이크로 소프트는 낮은가격, 리베이트프로그램 전략 정책을 사용하고 있다.
▶스키밍전략(초기고가 전략): 단기적 이익 극대화를 하기 위해서 신제품의 경우, 초기에
가격을 높게 매겨서 고소득층 시장에 집중적으로 침투하고 그 후 단계적으로 서서히
가격을 떨어뜨리는 전략을 쓰는데 이를 스키밍 전략 또는 초기고가 전략이라 한다
▶경쟁사 가격보다 낮게 측정: 마이크로소프트의 사례로는 다음과 같다.
1) 할인 판매 방법을 발굴하여 남들보다 우위에 선다.
2) 무료 제공하여 시장 점유율 확보하는 경우이다.
3) 다른 언론매체나 인물, 사건에 편승해 홍보한다.
4) 신제품의 기존 제품 가격보다 높은 가격 측정한다.
2.2.5) 유통전략
▶협력사 수익성 제고등 채널 지원 강화: 국내 최고의 경력과 능력을 갖춘 선두 유통업체를 총판으로 선정한다. 다우데이터, 인성디지털, 소프트뱅크 3대 총판체제
▶시스템 마케팅(판매 활동을 조직적으로 하는 것): MS는 총판, 서비스 프로바이더, 독립 소프트웨어 벤더, 리셀러등 다양한 파트너를 통하여 솔루션 및 제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2.6) 광고전략
▶단순하고 간결하게 홍보한다: ex) 윈도우즈를 쓰면 pc가 쉬워진다.
▶영향력있는 사용자를 확보한다: ex) 일본에서 마도베 나나미라는 애니메이션 케릭터를
통한 런칭으로 대성공
▶유력인사의 추천을 받는다
▶적은예산으로 마케팅을 시도한다: ex) 먼고파크 웹진
2.2.7)판매촉진전략
▶무료견본을 고객들에게 제공한다.
▶온라인으로 판매를 촉진시킨다.(무료 견본 웹 적용)
▶판매직원관리를 통해 판매를 촉진한다.
3. 마이크로소프트의 실패 사례 분석; 킨(KIN)폰
3.1. KIN One, 그리고 KIN Two
MS사에서 최초로 내놓은 자체 브랜드 폰으로 정식명은 KIN One 과 KIN Two 이다. 페이스북, 트위터 같은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 글과 사진 등을 실시간으로 자유롭게 공유 및 교환할 수 있도록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최적화된 SNS폰으로 킨루프(KIN Loop), 킨스팟(KIN Spot), 킨스튜디오(KIN Studio)의 기능을 통해 글이나 사진, 동영상 등을 쉽게 공유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두 제품 모두 MS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준(Zune) HD’에 채택된 바 있는 엔비디아 테그라(Tegra) 플랫폼을 채택했으며, 공통적으로 터치 스크린과 QWERTY방식의 슬라이드 키보드를 장착했다.
하지만 기존의 스마트폰과는 달리 별도의 서드파티 개발사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없고, 카카오톡이나 네이트온 같은 인스턴트 메시지도 사용이 불가해 소비자들 사이에서 반쪽 스마트폰이라는 반응이 주를 이뤘다.
출시 초기, 아이폰의 대항마로써 기대를 모았던 킨(KIN)폰은 저조한 판매 속에 출시 두 달 만에 KIN One는 $49에서 $29로, KIN Two는 $99에서 $49로 가격을 인하했지만 결국 window7의 출시에 집중하기 위해 생산중단 되었다.
3.2. 경쟁제품과의 스펙 비교
KIN One
KIN Two
iPHONE4
BlackBerry Bold 9780
제조사
MS
Apple
RIM
출시일
2010. 5. 13
2010. 6. 24
2010. 11. 17
출시가격
$49 (2년약정)
$99 (2년약정)
$199/$299 (2년약정)
$149.99 (3년약정)
화소
5백만
8백만
5백만
5백만
OS
KIN OS (윈도우 7 요소 포함)
i OS
블랙베리 OS 6.0
터치
O
O
X
디스플레이
QVGA
Retina
TFT
특징
SNS에 특화
스마트폰 선도기업
비즈니스 사용자에게 특화된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
타겟
10대
불특정 다수
비즈니스맨
3.3. KIN폰 실패원인 분석
3.3.1) 뒤늦은 시장대응
MS사가 킨(KIN)폰을 출시한 2010년 5월에는 이미 스마트폰 시장이 블루오션에서 레드
오션으로 전환되는 시기였다. 2007년 6월 APPLE사에서 출시한 아이폰이 국내를 비롯해
전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각 기업이 서둘러 준비기간을 거쳐 스마트폰을 내
놓기시작한 해가 2010년이었던 것이다. 실제로 주요 스마트폰들의 출시시기를 살펴보면
구글의 넥서스폰이 2010년 1월에, 삼성의 갤럭시s가 2010년 6월에 출시되었다.
왼쪽의 그래프는 2010년 2월 기준으로 전 세계의 스마트폰 트래픽을 조사하여 그 비율을 계산한 것으로 아이폰이 5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아이폰이 스마트폰 시장의 선도 기업으로써의 이점을 톡톡히 누리고 있을
2.2.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마케팅전략
2.2.1) 마이크로소프트사는 고객이 누구이고 그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발견하기 위
해서 제품의 개발을 다단계적으로 주기를 나누었다.
첫째, 계획단계에서는 제품의 비전, 사양서와 일정을 결정한다.
둘째, 개발단계에서는 각자 단계적으로 목표를 실현할 수 있게 하는 서너 개의 연속적
하부 프로젝트에서 기능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안정화 단계에서는 종합적인 내,외부의 테스트, 마지막 제품 안정화와 출하
를 하였다.
2.2.2) 마이크로소프트웨어사는 MS 오피스의 기능들의 추가로 인해 용량이 커져 속도가
늦어지게 되는데 이에 마이크로소프트는 블로트웨어라는 이미지를 불식시키기 위해 노력
했다.
※블로트웨어는 \'풍선처럼 부풀게 하다\'라는 뜻의 블로트(bloat)와 소프트웨어의 합성어이
다. 주로 퍼스널 컴퓨터에 번들로 포함되는 가계부와 게임 등의 소프트웨어가 해당된다.
2.2.3) 가격전략 목적 및 전략
첫째, 마이크로소프트 기업의 생존을 확보하는 것이다.
둘째, 마이크로소프트의 단기적 이익 극대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 국내외 시장점유율증가 시킨다.
넷째, 제품 품질의 선도기업이라는 이미지를 증식시킨다.
2.2.4) 가격전략
▶마이크로 소프트는 낮은가격, 리베이트프로그램 전략 정책을 사용하고 있다.
▶스키밍전략(초기고가 전략): 단기적 이익 극대화를 하기 위해서 신제품의 경우, 초기에
가격을 높게 매겨서 고소득층 시장에 집중적으로 침투하고 그 후 단계적으로 서서히
가격을 떨어뜨리는 전략을 쓰는데 이를 스키밍 전략 또는 초기고가 전략이라 한다
▶경쟁사 가격보다 낮게 측정: 마이크로소프트의 사례로는 다음과 같다.
1) 할인 판매 방법을 발굴하여 남들보다 우위에 선다.
2) 무료 제공하여 시장 점유율 확보하는 경우이다.
3) 다른 언론매체나 인물, 사건에 편승해 홍보한다.
4) 신제품의 기존 제품 가격보다 높은 가격 측정한다.
2.2.5) 유통전략
▶협력사 수익성 제고등 채널 지원 강화: 국내 최고의 경력과 능력을 갖춘 선두 유통업체를 총판으로 선정한다. 다우데이터, 인성디지털, 소프트뱅크 3대 총판체제
▶시스템 마케팅(판매 활동을 조직적으로 하는 것): MS는 총판, 서비스 프로바이더, 독립 소프트웨어 벤더, 리셀러등 다양한 파트너를 통하여 솔루션 및 제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2.6) 광고전략
▶단순하고 간결하게 홍보한다: ex) 윈도우즈를 쓰면 pc가 쉬워진다.
▶영향력있는 사용자를 확보한다: ex) 일본에서 마도베 나나미라는 애니메이션 케릭터를
통한 런칭으로 대성공
▶유력인사의 추천을 받는다
▶적은예산으로 마케팅을 시도한다: ex) 먼고파크 웹진
2.2.7)판매촉진전략
▶무료견본을 고객들에게 제공한다.
▶온라인으로 판매를 촉진시킨다.(무료 견본 웹 적용)
▶판매직원관리를 통해 판매를 촉진한다.
3. 마이크로소프트의 실패 사례 분석; 킨(KIN)폰
3.1. KIN One, 그리고 KIN Two
MS사에서 최초로 내놓은 자체 브랜드 폰으로 정식명은 KIN One 과 KIN Two 이다. 페이스북, 트위터 같은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 글과 사진 등을 실시간으로 자유롭게 공유 및 교환할 수 있도록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최적화된 SNS폰으로 킨루프(KIN Loop), 킨스팟(KIN Spot), 킨스튜디오(KIN Studio)의 기능을 통해 글이나 사진, 동영상 등을 쉽게 공유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두 제품 모두 MS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준(Zune) HD’에 채택된 바 있는 엔비디아 테그라(Tegra) 플랫폼을 채택했으며, 공통적으로 터치 스크린과 QWERTY방식의 슬라이드 키보드를 장착했다.
하지만 기존의 스마트폰과는 달리 별도의 서드파티 개발사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없고, 카카오톡이나 네이트온 같은 인스턴트 메시지도 사용이 불가해 소비자들 사이에서 반쪽 스마트폰이라는 반응이 주를 이뤘다.
출시 초기, 아이폰의 대항마로써 기대를 모았던 킨(KIN)폰은 저조한 판매 속에 출시 두 달 만에 KIN One는 $49에서 $29로, KIN Two는 $99에서 $49로 가격을 인하했지만 결국 window7의 출시에 집중하기 위해 생산중단 되었다.
3.2. 경쟁제품과의 스펙 비교
KIN One
KIN Two
iPHONE4
BlackBerry Bold 9780
제조사
MS
Apple
RIM
출시일
2010. 5. 13
2010. 6. 24
2010. 11. 17
출시가격
$49 (2년약정)
$99 (2년약정)
$199/$299 (2년약정)
$149.99 (3년약정)
화소
5백만
8백만
5백만
5백만
OS
KIN OS (윈도우 7 요소 포함)
i OS
블랙베리 OS 6.0
터치
O
O
X
디스플레이
QVGA
Retina
TFT
특징
SNS에 특화
스마트폰 선도기업
비즈니스 사용자에게 특화된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
타겟
10대
불특정 다수
비즈니스맨
3.3. KIN폰 실패원인 분석
3.3.1) 뒤늦은 시장대응
MS사가 킨(KIN)폰을 출시한 2010년 5월에는 이미 스마트폰 시장이 블루오션에서 레드
오션으로 전환되는 시기였다. 2007년 6월 APPLE사에서 출시한 아이폰이 국내를 비롯해
전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각 기업이 서둘러 준비기간을 거쳐 스마트폰을 내
놓기시작한 해가 2010년이었던 것이다. 실제로 주요 스마트폰들의 출시시기를 살펴보면
구글의 넥서스폰이 2010년 1월에, 삼성의 갤럭시s가 2010년 6월에 출시되었다.
왼쪽의 그래프는 2010년 2월 기준으로 전 세계의 스마트폰 트래픽을 조사하여 그 비율을 계산한 것으로 아이폰이 5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아이폰이 스마트폰 시장의 선도 기업으로써의 이점을 톡톡히 누리고 있을
키워드
추천자료
빌게이츠의 마이크로소프트와 생각의 속도
지식경영 기업사례 마이크로소프트(MS)
마이크로소프트와 한컴 비교분석 - 마이크로소프트사 Vs 한글과 컴퓨터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영전략 분석
[소송][소송제도][집단소송][행정소송][마이크로소프트사(MS) 소송][PL분쟁 및 소송 사례]집...
MOS 특강 Microsoft Office Specialist
[독점재벌][독점기업][의약품 독점][마이크로소프트사(MS사) 반독점 소송][독점을 보호하는 ...
심층분석,글로벌 핵심 인재와 글로벌 기업의 인재 육성 사례Powerpoint,마이크로소프트의 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미래의 경영전략
MFC(Microsoft Foundation Class) Library 개요
[기업의 성공 전략 분석] 마이크로 소프트(MICROSOFT)의 성공 전략 분석과 향후 전망.PPT자료
[사례연구] <당신의 인터넷 경험을 위한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의 분투> 모바일컴퓨팅의...
인터넷 환경 하에서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거대 기업이 경쟁을 하고 있다. 이들...
삼성 타이젠OSOS의 플랫폼 구축방안N 스크린 서비스애플 IOS구글 안드로이드 OS마이크로소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