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적 대상관계(psychoanalytic object relations) 가족치료이론] 가족치료 이론 분석, 가족치료 이론 분석, 주요개념, 가족치료 방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분석적 대상관계(psychoanalytic object relations) 가족치료이론] 가족치료 이론 분석, 가족치료 이론 분석, 주요개념, 가족치료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기원 및 주요인물
2. 이론의 기초
3. 주요개념 및 원리들
4. 역기능의 가족관계
5. 치료의 목표 및 방법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칠레로 이민가는 바람에 칠레에서 자라게 됨.
샌디에고에 있는 정신분석 연구소에서 훈련 받았고. 라몬 간저레인과 함게 캔자스에 있는 토페카이주. 연구와 정시분석의 훈련을 담당하는 책임자로 일함. 콜롬비아대학에서 교수, 뉴욕주 정신분석 연구소 챔임자로 일함.
-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을 치료하는데 많은 노력.
- 클레인의 여러 가지 개념들을 통해서 컨버그는 경계선 성격장애자들의 과도한 방어나 공격성들을 설명함.
- 그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자신과 어떤 다른 대상 사이에 발생되는 분열 현상이 경계선 성격장애자들의 주된 특성임을 설명.
- 나쁜 자신과 좋은 자신이 발달하는 방식을 발달단계로 제시.
- 경계선 성격장애자들의 주된 특성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자신과 어떤 대상 사이에 발생되는 분열현상’
2. 이론의 기초
1) 관계본능 <좋든 싫든 아이는 엄마를 내면화 한다>
대상관계 가족치료이론은 인간은 대상을 찾고 관계를 맺으려는 본능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을 가지고 있다.
대상관계이론에서 대상이란 보조적이거나 수단시되는 개념이 아니다. 대상은 그 자체로서 유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존재이며 살아서 움직이는 실체이다. 유아들이 출생 후에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으려는 대상으로서 존재하며 이 대상이 없이는 유아의 발달은 불가능해진다.
2) 발달하는 존재로서의 인간
인간은 탄생 후에 여러 단계를 거쳐서 발달한다. 인간의 발달은 대상과의 관계 속에서 자아가 형성되는 과정 중에 발생된다. 이러한 단계들은 예견가능하고 단계들마다 위계질서를 갖게 된다.
처음에는 대상과의 관계가 단순 경험들로 구성이 되나 시간이 지나면 조금씩 복잡해지며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의 관계나 유아의 행동들은 자아의 구조 속에 통합된다. 대상과의 관계 속에서 경험하는 대상에 대한 여러 가지 표상들 또한 유아의 자아 속에 통합된다.
이러한 기능들은 하나의 자아 속에 일정한 조직을 만들어내며 이는 대표적으로 정서, 공격성 또는 성적 충동, 대상과의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신체적 경험들 그리고 자신의 신체에 대한 상들이 포함된다.
유아는 여러 가지 현성들을 단지 포함하지 않고 외부의 세계를 일정한 방식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일정한 형태를 만들고 형성된 자아의 구조는 역으로 외부의 세계를 일정하고 일관성 있게 받아들이는 기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자아는 자신의 자아의 구조와 맞는 경험들은 점차 받아들이고, 맞지 않는 경험들은 받아들이지 않는 적극적 기능을 하게 된다.
3) 무의식 속의 자아
자아의 구조는 대부분 무의식의 세계 속에 존재하게 된다. 평상시에 자아의 구조는 제대로 경험되기 어렵다. 그러나 잠을 잘 때 꿈속에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는 퇴행하는 행동 속에 나타는 경우도 있다.
자아의 구조는 무의식의 세계 속에 존재하지만 사람들의 행동이나 삶의 방향성들을 이끌어나가는 마음의 행동자 또는 대변자의 역할을 하며 경험되는 자아의 부분은 자신에 대한 자아개념이라는 방식으로 인식 속에 떠오르게 된다.
자신에 대한 가치관이나 믿음들로 이루어진 자아개념을 정체성이라고 하는데 이는 내가 어떤 사람인가 또는 나는 무엇을 위해서 사는가 하는 질문들에 일정한 방식으로 대답을 할 수 있는 자아의 부분은 무의식의 세계에 들어 있는 거대한 자아가 의식의 세계 속에 나타난 표상을 의미한다.
4)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인간의 성격은 유전적도 있지만 환경에 영향을 받음)
인간이 가지고 태어나는 잠재 가능성은 환경과 상호작용을 통해서 인간의 발달을 일어나게 한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잠재 가능성을 가지고 태어나기 때문에 아무리 좋은 환경이 제공된다 하더라고 일정한 잠재 가능성의 범위를 벗어나서는 발달하지 않는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특성들의 범위 내에서 인간은 발달한다. 그러나 환경은 이러한 발달의 방향과 양식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5) 돌보는 사람의 자아에 대한 영향
자아 구조의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환경은 유아를 돌보는 사람들이다. 유아를 돌보는 사람의 질에 따라서 유아는 안정된 자아 구조를 발달시키는가 아니면 불안정한 자아 구조를 발달시키는가 하는 점이 결정된다.
유아의 발달에 있어서 안전한 환경의 제공이 중요하며 안전한 환경 제공을 위해서는 ‘이정도면 충분한 엄마노릇’(충분히 아이를 먹이고 재우며 불안할 때 위로와 공감을 해 주는 엄마의 활동)이 필요하다.
자아의 구조를 만들어 가는 내용들은 많은 경우에 엄마와의 관계에서 맺어진 여러 가지 상들이나 경험들 또는 관계들을 포함하며 이러한 경험과 관계없이는 유아가 다른 현실이나 세상 속에서 경험하는 여러 가지 현상들을 의미 있는 방식으로 받아들이기가 힘들게 된다.
‘이정도면 충분한 엄마노릇’은 유아의 자아 구조의 내용을 채우면서 동시에 유아가 세상과의 상호작용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6) 완전한 엄마 노릇
유아를 돌보는 사람이 ‘이 정도면 충분한 엄마 노릇’을 제공하는데 실패하면 유아의 자아 구조는 불안정 해진다. ‘완전한 엄마노릇’을 하려고 하거나 유아를 제대로 돌보지 않는 경우에 유아는 자아를 제대로 발달시킬 수 없게 된다. 완전한 방식은 유아의 욕구에 맞추는 방식보다 엄마의 요구에 아이를 맞추게 되기 때문에 유아가 엄마의 요구에 민감해지고 자신의 요구에는 민감해지지 않는다. 또한 유아를 제대로 돌보지 않는 경우에도 유아는 불안과 두려움에 사로잡히게 됨으로 대상과의 관계를 적극적으로 만들기 어렵게 되고 대상과의 관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유아는 자신의 내적 요구와 엄마 또는 외부의 환경에서 주어지는 여러 자극들 사이에서 갈등하고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어 자아구조가 일정하게 안정된 형태를 가지지 못하고 일관성과 지속성을 잃어버리게 된다.
7) 형상으로서의 자아
자아는 여러 가지 형상들(태도, 음성, 억양, 언어 등)을 경험을 통해 내면화하게 된다. 또한 다른 여러 가지 사물들과의 경험들이나 주변 환경과의 경험 속에서 만들어진 형상들도 자아의 구조 속에 포함시키데 된다. 형상들과 기능들은 유아로 하여금 앞으로 살아가면서 경험하게 될 여러 가지 형상들을 어떤 방식으로 처리하여야 하는가에 대해서 일정한
  • 가격3,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5.07.02
  • 저작시기201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57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