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체육 교수 스타일 [전공체육 임용준비 교과교육학 체육교수스타일]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04.체육 교수 스타일 [전공체육 임용준비 교과교육학 체육교수스타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체육교수 스타일의 개관
2. 수업 스타일의 구조
3. 피드백
4. 수업 스타일의 구조와 T-L-O
5. 인지
6. 체육교수 스타일
7. 모사중심(A~E) 스타일의 공통점
8. 체육교과내용 설계의 실제

본문내용

서 체계
① 상호작용적 인지 기능은 질문에 반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 연결 체계 ”를 형성한다. ”
② 일시적인 순서 체계는 “ 질문과 문제해결 ” 사이의 교량 역할을 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활용된다.
③ 해결 방안이 모색되면 일시적 순서 체계는 소멸되고 학습자는 인지적 일치 상태로 되돌아간다.
④ 중심적인 인지 기능은 고립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보조적인 인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용한다.
질문은 중심적 인지기능을 유도하고, 보조적 인지기능은 올바른 반응을 도출하는 데 필수적이다.
자주 바람직한 반응을 도출하지 못했던 학생들은 한 개 이상의 보조적 인지 기능을 발달시키지 못했다.
보조적 인지 기능에 대한 숙달 없이는 질문에 대해 성공적으로 반응할 수 없게 된다.
중심적 인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질문을 수정하여 부족한 보조적인 인지기능 규명, 잘못된 의미를 명료화한다.
학습자에게 친숙하지 않은 인지 기능을 활용하여 연습하도록 한다.
6) 반응(R)
① 중심적 인지 기능과 보조적 인지 기능 사이의 상호작용은 곧 이은 반응을 유도한다.
② 사색 단계는 반응이 활성화될 때 종료된다.
③ 반응은 “ 기억, 발견, 창조 ” 로 나타날 수 있으나, 항상 중심적인 인지 기능의 영역 안에 있게 된다.
④ 반응의 속도, 양, 질은 주어진 인지 기능에 대한 학습자의 경험, 특정한 교과내용 영역의 사전 지식, 학생들의 능력이나 재능에 따라 달라진다.
4. 수렴형 사고와 확산형 사고
▣ 수렴형 사고
다음 올림픽 개최 장소의 이름을 말해보아라.
팔꿈치를 펴는 데 사용되는 근육을 말해보아라.
배구의 오버핸드 서브의 첫 번째 단서를 말해보아라.
자유형에서 여러분이 호흡하려고 할 때를 기억하라.
▣ 확산형 사고
올림픽 경기에서 5가지 팀 스포츠의 이름을 기억하라.
3가지 농구 패스를 수행하라.
배드민턴에서 활용될 수 있는 5가지 스트로크를 열거하라.
민첩성을 요구하는 체조 움직임의 예를 제공하라.
수비자들이 사용하는 4가지 게임 전략들을 회상하라.
농구에서 중심을 낮추어야 되는 3가지 이유를 진술하라.
1) 학습자에게 1가지 질문에 대한 1가지 정확한 대답을 기억하도록 요구하는 수렴식 사고 과정이 가능하다.
① 사색 동안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한 학습자의 탐색은 한 가지 정확한 답으로 수렴된다.
② 모델화된 움직임을 연습하는 것은 시범 보여진 움직임을 완수하기 위한 일련의 움직임을 모방하는 것이다.
③ 움직임 내에 복합적인 부분이 작용할지라도 인지적 통로는 확산형 사고라고 볼 수 있다.
2) 학습자에게 1가지 질문에 몇 가지 정확한 해답을 기억하도록 요구하는 확산형 사고 과정에 참여시킬 수 있다.
① 사색 동안 질문에 답하기 위해 학습자의 탐색은 분산하여 복합적인 해답을 기억하는데 활용된다.
② 발견과정에 참여할 때 학습자가 단일 해결책을 발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수렴형 통로를 수반한다.
③ 학습자가 동일한 문제에 대해 복합적인 해결책을 발견하는 확산형 통로가 가능한다.
④ 모든 선택사항 : 수렴형과 확산형 기억
⑤ 발견 및 창조 : 의식적인 사고흐름에 대한 순서를 유지한다.
⑥ 사색(R) or 복합 반응(Rx) 형태로 나타나는 결과는 기억, 발견 or 창조성으로 발산된다.
5. 발견역치
1) 스펙트럼의 교수학습 선택사항은 인지 초점에 따라 군집화될 수 있다.
① 스타일 A ~ E 까지는 모사(기억)에 대한 인간 능력
② 스타일 F ~ K 까지는 창조(발견)에 대한 인간 능력
③ 기억을 유발하는 군집과 발견을 유도하는 군집 사이에 ‘ 발견역치 ’ 라고 불리는 비가시적 구분선이 존재한다.
2) 교수행동(A~E)의 기억 군집
① 교사의 역할은 습득된 지식이나 기술을 전달하는 것이다.
② 학습자 역할은 지정된 인지 기능에서 지식이나 기술을 재생산하는 수용자가 되는 것이다.
③ 비교, 순서 회상, 문제 해결함에 있어 학생의 참여는 기억, 순서 회상, 정확한 문제해결을 기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3) 에피소드의 의도가 발견(스타일 F~K)로 옮겨갈 때 교사와 학습자는 자신들의 행동을 변화시켜 발견역치를 넘는다.
① 교수학습 행동은 학습자들이 발견역치로 옮겨가고 발견과정에 참여하는 다른 질문을 소개할 때 이동한다.
② 학습자 행동은 움직이거나 설계하거나, 정보의 순서를 정하거나, 의도된 인지 기능을 적극적으로 발견해 감으로써 발견 과정에서 적극적인 창조로 이동하게 된다.
4) 창조역치로 이동하기 위해서 교사와 학생은 행동을 변화해야만 한다.
① 교수·학습 행동은 학습자들이 창조적인 과정에 참여하기 위해 이동하는 서로 다른 자극으로 전환된다.
② 학습자들은 교수 행동에서 창조적인 과정을 자극하기 위한 질문을 스스로 던지기도 한다.
6. 인지 기능의 역할
▧ 인지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질문이 적절한 상황
① 새로운 인지 기능과 경험을 소개할 때
② 교사가 사전에 결정된 사고를 기대될 때
③ 학습자들이 반복적으로 기대되는 반응을 제공하는 데 실패할 때
④ 학습자 사이에 경쟁이 존재할 때
⑤ 해답이 점수로 매겨질 때
⑥ 제한된 시간에서 해답이 예측되는 반응이나 바람직한 사고 과정을 필요로 할 때
⑦ 비임의적 반응의 창출이 학습 목표나 내용 습득을 보조하지 못할 때
▨ 인지 기능에 대한 불분명한 질문이 적절한 상황
① 해답이 구체적이고 정확한 반응이나 사고 과정과 무관할 때
② 학습자들의 인지적 선호도를 추구할 때
③ 교사가 의견을 수렴하려고 할 때
④ 상호작용이 우연이나 단기적으로 이루어질 때( 종종 사회적 상황에서 적절함. )
⑤ 질문, 문제 또는 쟁점에 도달하기 위해 새로운 방향을 탐색할 때
⑥ 방법에 문제가 있거나 재분류가 필요할 때
⑦ 학습 목표가 비임의적이고 관계가 없는 반응을 추구할 때
1) 구체적인 인지 관련 단어
① 구체적 사고과정을 유도하는 단어들을 숙지함으로써 교사는 의도하는 내용에 관한 질문을 구성하도록 한다.
② 인지 과정의 복합성과 풍부함은 개개인의 인지 기능의 다양성과 양에 근거하고 있다.
③ 이 다양성은 독특하게 무제한적인 가능성과 능력을 제공한다.
④ 그러나 인지 습득은 연습을 필요로 한다.
인지 기능 군집 - “ 기억 ”
기 억
관찰하기
추적하기
자취를
  • 가격1,000
  • 페이지수56페이지
  • 등록일2015.08.14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88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