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수술실 간호사례 (Case study)
Ⅰ. 서론 ------------------------------------------------------------ page. 1
Ⅱ. 연구기간 및 방법 --------------------------------------- page. 1
Ⅲ. 문헌고찰 ----------------------------------------------------- page. 1
Ⅳ. 대상자 사정, 관찰
1.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 page. 9
2. 검사결과 ----------------------------------------------------------- page. 10
3. 객관적 관찰 -------------------------------------------------------- page. 14
4. 수술 부위 피부 소독 및 준비물품 -------------------------------- page. 15
5. 수술절차 ------------------------------------------------------------ page. 15
6. 마취에 사용한 약물 ------------------------------------------------ page. 17
7. 수술동안 사용한 약물 ---------------------------------------------- page. 17
8. 대상자 회복실로 옮겨 온 후의 Observation. 처치 --------------- page. 18
9. 회복실에서 사용한 약물 ------------------------------------------- page. 18
10. 간호과정 ----------------------------------------------------------- page. 18
Ⅴ. 결론 ------------------------------------------------------------ page. 19
Ⅳ. 참고문헌 ---------------------------------------------------- page. 19
수술실 간호사례 (Case study)
Ⅰ. 서론 ------------------------------------------------------------ page. 1
Ⅱ. 연구기간 및 방법 --------------------------------------- page. 1
Ⅲ. 문헌고찰 ----------------------------------------------------- page. 1
Ⅳ. 대상자 사정, 관찰
1.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 page. 9
2. 검사결과 ----------------------------------------------------------- page. 10
3. 객관적 관찰 -------------------------------------------------------- page. 14
4. 수술 부위 피부 소독 및 준비물품 -------------------------------- page. 15
5. 수술절차 ------------------------------------------------------------ page. 15
6. 마취에 사용한 약물 ------------------------------------------------ page. 17
7. 수술동안 사용한 약물 ---------------------------------------------- page. 17
8. 대상자 회복실로 옮겨 온 후의 Observation. 처치 --------------- page. 18
9. 회복실에서 사용한 약물 ------------------------------------------- page. 18
10. 간호과정 ----------------------------------------------------------- page. 18
Ⅴ. 결론 ------------------------------------------------------------ page. 19
Ⅳ. 참고문헌 ---------------------------------------------------- page. 19
본문내용
용
- 통증 자가 조절(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 트롤락주
1ml
· 중등도 및 중증의 통증에
대한 단기요법
· 소화불량, 설사, 변비,
구토, 위염 등
· 람세트주
0.3mg
· 항악성종양제(시스플라틴
등) 투여에 따른 소화기증
상(구역, 구토)
· 수술 후의 구역 및 구토
· 쇼크, 가려움증, 강한
구역, 구토 등
· 펜타닐
500ug/10ml
· 단시간 진통제 : 마취 시,
마취전 투약, 마취유도,
마취유지 및 수술직후(회
복실)
· 호흡곤란, 아나필락시양
반응, 혈압강하 등
· N/S
100ml
· 수분 및 전해질 결핍시의
보급(나트륨 결핍, 염소
결핍)
· 주사제의 용해 희석제
· 대량급속투여에 의해 울
혈성심부전, 부종, 산증,
혈청전해질 이상
10. 간호과정 날 짜 : 2013년 03월 04일
간호진단 :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사정
주관적
자료
“…이제 괜찮아요?” -By. 본인
“불안하다.”-By. 본인
객관적
자료
- 인상을 찌푸리며 말하는 것이 관찰됨
- 간호사가 보이면 계속 자신의 예후를 묻는 것이 관찰됨
간호목표
대상자의 불안이 사라진다.
계획
진단적 계획
① 대상자의 불안요소를 파악
한다.
치료적 계획
② side rail을 올려준다.
③ 이불을 덮어준다.
- 교육적 계획
④ 수술의 예후와 질병의 예후
를 설명한다.
이론적근거
- 진단적 계획
① 대상자의 불안요소를 정확히 파
악하여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
다.
- 치료적 계획
② 침대에서 환자의 활동성과 안전
성을 증가시키는 장치로 침대나
운반차에서 떨어지는 것을 예방
한다.
③ 대상자의 몸을 감싸주어 안정감
을 제공한다.
- 교육적 계획
④ 정확한 사실을 제공하여 과장하
지 않는다.
수행
- 진단적 수행
① 대상자에게 무엇이 불안한지 정확하게 묻자, 복막염의 사실을 알고
있었으며 완벽히 치유가 되었는지 알고 싶다고 하셨다.
- 치료적 수행
②,③ side rail을 올려주고 이불을 덮어주어 안정감을 제공하였으며 대상
자의 곁에 있어주며 안정감을 제공하였다.
- 교육적 수행
④ “염증이 심하셨던 경우에는 주변으로 농양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확
인한 입원약에서 항생제가 처방이 되어 있으므로 많은 걱정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또한, 병원입원 해 계시는 동안 항상 병동에 간호사
가 상주하고 있으니 무슨 일이 생기더라도 즉각적인 처치가 있을 겁니
다.“ 라고 말씀드렸다.
평가
대상자는 마취가 깬 다음 회복실로 와선, 처음에는 불안을 호소하였으나 곁에 있어주며 정확한 설명을 해드리자 불안해하지 않고 미소를 보이셨다.
Ⅴ. 결론
4일 동안 OR에서 실습을 하는 동안, 총 3번의 Appendectomy를 보았다. 이것은 결코 작은 숫자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나의 대상자는 범복막염을 동반한 급성 충수염이셨지만, 복막염을 OP로 치료하기 보단 항생제로 다스리는 법을 택하셨다. OR에서 만난 대상자라서 짧은 만남이었지만 적절한 간호과정으로 성공적인 결과를 이뤄낸 것에 대해 만족스럽다. 그리고 3번의 OP Observation으로 충수염의 OP는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된 것 같아 기쁘다.
Ⅵ. 참고문헌
김금순, 김영숙 외(2012).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page 387, 388, 391~393, 455~460)
성미혜 외(200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외과, (2009.08.27) <복강경 충수절제술과 개복 충수절제술의 임상적 비교>
Case study
<성인간호학 실습 OR>
Acute Appendectomy
과 목 명
성인간호학 실습
실습병원
춘해병원
실습기간
2013. 03. 04 ~ 03. 08
실습병동
OR
학 교
춘해보건대학교
학 번
201101235
이 름
이다혜B
담당교수
김재영 교수님
제출일자
2013. 03. 08
목 차
수술실 간호사례 (Case study)
Ⅰ. 서론 ------------------------------------------------------------ page. 1
Ⅱ. 연구기간 및 방법 --------------------------------------- page. 1
Ⅲ. 문헌고찰 ----------------------------------------------------- page. 1
Ⅳ. 대상자 사정, 관찰
1.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 page. 9
2. 검사결과 ----------------------------------------------------------- page. 10
3. 객관적 관찰 -------------------------------------------------------- page. 14
4. 수술 부위 피부 소독 및 준비물품 -------------------------------- page. 15
5. 수술절차 ------------------------------------------------------------ page. 15
6. 마취에 사용한 약물 ------------------------------------------------ page. 17
7. 수술동안 사용한 약물 ---------------------------------------------- page. 17
8. 대상자 회복실로 옮겨 온 후의 Observation. 처치 --------------- page. 18
9. 회복실에서 사용한 약물 ------------------------------------------- page. 18
10. 간호과정 ----------------------------------------------------------- page. 18
Ⅴ. 결론 ------------------------------------------------------------ page. 19
Ⅳ. 참고문헌 ---------------------------------------------------- page. 19
- 통증 자가 조절(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 트롤락주
1ml
· 중등도 및 중증의 통증에
대한 단기요법
· 소화불량, 설사, 변비,
구토, 위염 등
· 람세트주
0.3mg
· 항악성종양제(시스플라틴
등) 투여에 따른 소화기증
상(구역, 구토)
· 수술 후의 구역 및 구토
· 쇼크, 가려움증, 강한
구역, 구토 등
· 펜타닐
500ug/10ml
· 단시간 진통제 : 마취 시,
마취전 투약, 마취유도,
마취유지 및 수술직후(회
복실)
· 호흡곤란, 아나필락시양
반응, 혈압강하 등
· N/S
100ml
· 수분 및 전해질 결핍시의
보급(나트륨 결핍, 염소
결핍)
· 주사제의 용해 희석제
· 대량급속투여에 의해 울
혈성심부전, 부종, 산증,
혈청전해질 이상
10. 간호과정 날 짜 : 2013년 03월 04일
간호진단 :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사정
주관적
자료
“…이제 괜찮아요?” -By. 본인
“불안하다.”-By. 본인
객관적
자료
- 인상을 찌푸리며 말하는 것이 관찰됨
- 간호사가 보이면 계속 자신의 예후를 묻는 것이 관찰됨
간호목표
대상자의 불안이 사라진다.
계획
진단적 계획
① 대상자의 불안요소를 파악
한다.
치료적 계획
② side rail을 올려준다.
③ 이불을 덮어준다.
- 교육적 계획
④ 수술의 예후와 질병의 예후
를 설명한다.
이론적근거
- 진단적 계획
① 대상자의 불안요소를 정확히 파
악하여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
다.
- 치료적 계획
② 침대에서 환자의 활동성과 안전
성을 증가시키는 장치로 침대나
운반차에서 떨어지는 것을 예방
한다.
③ 대상자의 몸을 감싸주어 안정감
을 제공한다.
- 교육적 계획
④ 정확한 사실을 제공하여 과장하
지 않는다.
수행
- 진단적 수행
① 대상자에게 무엇이 불안한지 정확하게 묻자, 복막염의 사실을 알고
있었으며 완벽히 치유가 되었는지 알고 싶다고 하셨다.
- 치료적 수행
②,③ side rail을 올려주고 이불을 덮어주어 안정감을 제공하였으며 대상
자의 곁에 있어주며 안정감을 제공하였다.
- 교육적 수행
④ “염증이 심하셨던 경우에는 주변으로 농양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확
인한 입원약에서 항생제가 처방이 되어 있으므로 많은 걱정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또한, 병원입원 해 계시는 동안 항상 병동에 간호사
가 상주하고 있으니 무슨 일이 생기더라도 즉각적인 처치가 있을 겁니
다.“ 라고 말씀드렸다.
평가
대상자는 마취가 깬 다음 회복실로 와선, 처음에는 불안을 호소하였으나 곁에 있어주며 정확한 설명을 해드리자 불안해하지 않고 미소를 보이셨다.
Ⅴ. 결론
4일 동안 OR에서 실습을 하는 동안, 총 3번의 Appendectomy를 보았다. 이것은 결코 작은 숫자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나의 대상자는 범복막염을 동반한 급성 충수염이셨지만, 복막염을 OP로 치료하기 보단 항생제로 다스리는 법을 택하셨다. OR에서 만난 대상자라서 짧은 만남이었지만 적절한 간호과정으로 성공적인 결과를 이뤄낸 것에 대해 만족스럽다. 그리고 3번의 OP Observation으로 충수염의 OP는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된 것 같아 기쁘다.
Ⅵ. 참고문헌
김금순, 김영숙 외(2012).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page 387, 388, 391~393, 455~460)
성미혜 외(200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외과, (2009.08.27) <복강경 충수절제술과 개복 충수절제술의 임상적 비교>
Case study
<성인간호학 실습 OR>
Acute Appendectomy
과 목 명
성인간호학 실습
실습병원
춘해병원
실습기간
2013. 03. 04 ~ 03. 08
실습병동
OR
학 교
춘해보건대학교
학 번
201101235
이 름
이다혜B
담당교수
김재영 교수님
제출일자
2013. 03. 08
목 차
수술실 간호사례 (Case study)
Ⅰ. 서론 ------------------------------------------------------------ page. 1
Ⅱ. 연구기간 및 방법 --------------------------------------- page. 1
Ⅲ. 문헌고찰 ----------------------------------------------------- page. 1
Ⅳ. 대상자 사정, 관찰
1.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 page. 9
2. 검사결과 ----------------------------------------------------------- page. 10
3. 객관적 관찰 -------------------------------------------------------- page. 14
4. 수술 부위 피부 소독 및 준비물품 -------------------------------- page. 15
5. 수술절차 ------------------------------------------------------------ page. 15
6. 마취에 사용한 약물 ------------------------------------------------ page. 17
7. 수술동안 사용한 약물 ---------------------------------------------- page. 17
8. 대상자 회복실로 옮겨 온 후의 Observation. 처치 --------------- page. 18
9. 회복실에서 사용한 약물 ------------------------------------------- page. 18
10. 간호과정 ----------------------------------------------------------- page. 18
Ⅴ. 결론 ------------------------------------------------------------ page. 19
Ⅳ. 참고문헌 ---------------------------------------------------- page. 19
키워드
추천자료
[성인간호학][Dementia][치매]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Burn][화상]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hronic obstru...
[성인간호학][Pancreatitis][췌장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CRF][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Chronic renal failure]
[성인간호학][CPR][심폐소생술]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응급실케이스)
[성인간호학][DM][당뇨]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Diabetes mellitus].
[성인간호학][ICH][뇌출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erebral hemorrhage]
[성인간호학][ICH][뇌출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Intracerebal Hemorrhage)
[성인간호학][Fracture][골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정형외과 실습)
[성인간호학][간경화][LC]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liver cirrhosis]
[성인간호학][DM][당뇨]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diabetes mellitu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