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번의 역사소설 『후한통속연의(後漢通俗演義)』 43회 44회 45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채동번의 역사소설 『후한통속연의(後漢通俗演義)』 43회 44회 45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第四十三回 秘大喪還宮立幼主 誅元舅登殿濫封侯
제사십삼회 비대상환궁입유주 주원구등전남봉후

후한통속연의 43회 국상을 비밀로 하여 궁궐에 돌아와 오린 군주를 세우며 첫째 외삼촌을 죽여 대전에 오르며 봉후를 남용해 주었다.




第四十四回 救忠臣閹黨自相攻 應貴相佳人終作后
제사십사회 구충신엄당자상공 응귀상가인종작후

후한통속연의 44회 충신을 구제한 내시당이 서로 공격하며 귀한 관상을 가진 가인은 종내 황후가 된다.




第四十五回 進李固對策膺首選 擧祝良解甲定群蠻
제사십오회 진이고대책응수선 거축량해갑정군만

후한통속연의 45회 이고의 진상한 대책이 첫째로 뽑히고 거축량이 갑옷을 벗고 여러 남만을 평정하다.

본문내용

交侵, (樂極生悲。) 忙令御醫診視, 服藥罔效。
호용이도료완성 안제홀연불예 음식무미 한열교침 락극생비 망령어의진시 복약망효
매우 쉽게 완성에 도달해 안제가 갑자기 몸이 좋지 않아 음식이 맛이 없고 오한과 발열이 교대로 일어나(즐거움이 지극하면 슬픔이 생긴다) 바삐 어의를 시켜 진찰해 보게 하며 약을 복용해도 효과가 없었다.
那時不便再行, 只好中途折回, 抵葉縣, 已是病入膏, 不可再救, 眼的看着閻后, 及閻顯兄弟等人, 想傳下兩三句遺囑, 奈痰已上壅, 不能出口, 一刹那間, 兩目上, 嗚呼歸天。
나시불편재행 지호중도절회 재저섭현 이시병입고황 불가재구 안정정적간착염후 급염현형제등인 상전하양삼구유촉 즘내담이상옹 불능출구 일찰나간 양목상번 오호귀천
折回 [zhehui] 되돌아가다
眼(눈동자 정; -총11획; zheng) [ynzhngzhng(de)]①눈을 뻔히 뜨고 ②빤히 보면서 ③주시하는 모양
[yizh]①유언 ②유언장
저 때 다시 가기가 불편해 부득불 중도에 되돌아가서 겨우 섭현에 이르러서 안제 질병이 이미 고황에 들어가 다시 구제를 못하고 눈을 주시하면서 간병하는 염황후와 염현 형제등은 서로 2,3마디 유언장을 전해서 어찌 가래가 이미 막고 말을 못하니 저 때 두 눈을 위로 치뜨면서 아아 하늘로 돌아가셨구나.
在位一十九年, 年止三十有二。
재위일십구년 년지삼십유이
안제는 19년을 재위하고 나이는 겨우 32세였다.
閻后記得雨露深恩, 不禁大哭, 閻顯兄弟, 與江京, 樊等在旁, 連忙向后擺手, 叫令休哭。
염후기득우로심은 불금대곡 염현형제 여강경 번풍등재방 연망향후파수 규령휴곡
手 [bi//shu]①손을 흔들다 ②손짓하다 ③손짓하여 부르다
염황후는 비와 이슬같은 깊은 은혜를 기억하여 크게 통곡을 금할 수 없으니 염현형제와 강경, 번풍등은 옆에 있어서 바삐 황후를 향하여 손짓하며 그녀가 곡을 그치라고 했다.
待后收淚, 卽密語道:“今皇上晏駕途中, 濟陰王尙在京師, 被大臣擁立, 必爲所害, 我等將身無死所了!”
대후수루 즉밀어도 금황상안가도중 제음왕상재경사 당피대신옹립 필위소해 아등장신무사소료
황후가 눈물을 거두길 기다려 비밀리에 말했다. “지금 황상께서 도중에 붕어하시니 제음왕이 아직 수도에 있어서 혹시 대신이 그를 옹립하면 반드시 피해를 당하며 우리들은 장차 몸이 장사지낼 곳도 없게 됩니다!”
閻后聽着, 也覺着忙, 急向大衆問計。
염후청착 야각착망 급향대중문계
염황후는 듣고 매우 급함을 느끼고 대중을 향하여 계책을 문의했다.
到底三五權, 有些奸計, 勸閻后秘不擧哀, 但言安帝病劇, 移乘臥車, 至入都後, 方可發喪。
도저삼오권엄 유사간계 권염후비불거애 단언안제병극 이승와거 지입도후 방가발상
到底 [daod] ① 도대체 ② 마침내 ③ 결국
[woch]①침대차 ②소형 자동차 ③승용차
결국 3,5명 권력이 있는 내시가 조금 간계가 있어서 염황후에게 비밀로 하여 애도를 거행하지 말게 하며 단지 안제가 질병이 심해져서 와거로 이동을 한다고 말하며 도읍에 들어간 뒤에야 바로 장례를 치르자고 했다.
閻后依計施行, 便將帝屍置入臥車內, 兼程還都, 路上仍省問起居, 及朝夕進食。
염후의계시행 변장제시치입와거내 겸정환도 로상잉성문기거 급조석진식
염황후는 계책대로 시행하니 곧 황제 시신을 와거안에 두고 두배로 속도내어 도읍에 돌아와 길위에서 문안과 기거를 여전히 하고 아침 저녁으로 음식도 올렸다.
鬼鬼地過了四日, 方得馳入都中, 尙佯遣司徒劉熹, 往禱郊廟社稷, 天請命。
귀귀수수지과료사일 방득치입도중 상양견사도유희 왕도교묘사직 우천청명
鬼鬼(빌미 수; -총10획; sui) [gu gu sui sui] 남몰래 숨어서 못된 짓을 꾸미다
的의 원문은 地이다.
yu tin 天: 向天呼
못된 짓을 꾸미며 4일이 지나 도읍에 수레를 달려 들어가 아직도 가짜로 사도인 유희를 파견해 교묘와 사직에 기도를 보내 하늘에 탄식하며 천명을 청하라고 했다.
俟至間, 方由宮中傳出哀耗, 令卽治喪;
사지만간 방유궁중전출애모 령즉치상
耗(줄 모; -총10획; hao)
治 [zhisng]장사를 지내다
야간을 기다려서야 궁중에 애도 소식을 전해서 곧 장례를 치르게 했다.
一面迎立濟北王壽子北侯懿爲嗣, 尊閻后爲皇太后, 授閻顯爲車騎將軍, 儀同三司。
일면영립제북왕수자북향후의위사 존염후위황태후 수염현위거기장군 의동삼사
한편으로 제북왕 유수 자식인 북향후 유의를 맞아들여 대를 잇게 하며 염황후를 황태후로 높으고 염현을 거기장군에 제수하여 3사와 의식을 같이하게 했다.
濟陰王保, 聞喪入哭, 却被內侍阻住, 不得上殿, 但許在梓宮外面, 遙望擧哀。
제음왕보 문상입곡 각피내시조주 부득상전 단허재재궁외면 요망거애
阻(험할 조; -총8획; zu)住 [zzhu] ① 저지시키다 ② 가로막다 ③ 방해하다
제음왕 유보는 장례소식을 듣고 들어가 곡하려다 내시들에게 저지당해 대전에 오르지 못하고 단지 재궁밖에서 멀리 애도를 거행하게 허락받았다.
可憐保有莫白, 有口難言, 徒向那靈前大慟一場, 幾致暈倒地上, 好多時方趨出, 接連不不食, 約有數日。
가련보유원막백 유구난언 도향나영유전대통일장 기치훈도지상 호다시방재추출 접연불음불식 약유수일
가련한 유보는 원통함이 있어도 말을 못하고 입이 있어서도 말하기 어려우니 한갓 영전 천막앞에서 한번 크게 통곡하여 거의 땅에 어지러워 넘어지고 많은 시간만에야 나가서 연달아 음식을 먹지 않은지 대략 며칠을 하였다.
內外群僚, 見他童年負屈, 又能曲盡孝思, 莫不流涕, 代抱不平。
내외군료 견타동년부굴 우능곡진효사 막불희허유체 대포불평
屈 [fuq]①굴욕을 받다 ②억울한 죄를 뒤집어쓰다
(흐느낄 희; -총11획; x) (흐느낄 허; -총16획; xu) [xx] ① 흐느껴 울다 ② 훌쩍거리며 울다 ③ 훌쩍거리다
代抱不平 [dai bao bu ping]①옆에서 분개하다 ②의분을 느끼다
안팎의 여러 관료는 그가 어린나이에 억울한 죄가 있고 또 효도 생각을 극진히 함을 보고 흐느껴 울어 눈물 흘리고 옆에서 분개했다.
(爲後文迎立張本。)
위후문영립장본
뒷 문장에 맞아들여 황위에 선 장본인이다.
北侯懿, 尙在齡, 閻太后貪立幼君, 所以與閻顯等定策禁中, 迎立幼主。
북향후의 상재충령 염태후탐립유군 소이여염현등정책금중 영립유주
[chngling]①유년 ②어린 나이
북향후 유의는 아직 어린 나이로 여

키워드

후한통속연의,   양상,   양기,   한순제,   유모,   내시,   장규,   공경,   축량,   장교
  • 가격10,000
  • 페이지수73페이지
  • 등록일2015.08.20
  • 저작시기201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92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