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회적 상향 이동이 제약을 받으면서 실업률과 범죄율이 증가하게 되고, 민족, 문화, 종교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 동화주의 정책이 사회분열을 심화 시키게 된다.
최근 논란되고 있는 문제인 장기매매, 불법체류 등의 문제에 이민자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성추행, 시위, 폭행, 강간, 살인, 도둑질 등 각종 범죄행각도 대두되고 있다.
이외의 문제점들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겠다.
한국은 반만년 역사 동안 한민족이라는 단일 민족(동일한 피부, 동일한 언어)로 살아온 까닭에 다민족 국가들의 경우보다 순혈주의가 매우 강하고 또 이민족에 대해서 상당히 배타적인 속성을 갖고 있는 편이기 때문에 이민족에 대한 배척이 있다.
또한 최근 한국이 세계가 놀랄 정도로 짧은 시간에 농업국가에서 산업국가로 이행 했기 때문에 이에 따라 급속한 도시화의 진전, 가파른 임금상승 그리고 3D 직업 기피 등으로 총각 문제와 노동자 수급의 문제를 양산했다.
이에 부응하여 농촌총각들은 동남아 등지의 여성들과 국제결혼의 증가와 저임금을 마다 않는 외국인 노동자의 증가에 걸맞게 다른 민족 출신이 한국에 많이 유입하게 되었다.
이들이 한국보다 소득수준과 문화수준이 낮은 후진국들에게서 온 민족의 경우이다 보니 좀 더 차가운 시선을 받게 된 점도 있다.
예들 들어 서울서 시골로 전학 온 경우는 반대의 경우보다 차별을 덜 받고 서울 말씨가 부러움의 대상이 될 경우가 많으면 많았지 이것 때문에 시골 아이들에게서 놀림감이 되지는 않는 것과 같다. 또한 백인 우월주의 사상이 있기 때문에 백인아이들보다 동남아시아 계 이민계통이 더 차별대우를 받고 있다.
워낙 짧은 시간에 다민족 사회로 전환하다 보니 한국인들이 이에 잘 적응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 소양 교육을 받아 본 적도 없는 상태이다. 그래서 더 많은 문제가 양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한국 다문화 사회의 특징에 대해 짚고 넘어가보자.
첫째, OECD 국가와 비교해볼 때 한국 내 거주하는 외국인의 증가속도가 매우 빠르다.
안전행정부에서 나온 자료에 따르면 매년 국내 거주 외국인 주민 현황은 올해인 2014년도 1월에만 157만명이라고 한다. 지금 시점이 2015년도를 얼마 앞두지 않은 때라 외국인 거주 현황은 200만에 가까울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단순 노무직에 종사하는 이주민의 유입이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거의 대부분 동남아시아 계 외국인들로 단순히 돈을 벌기위해 대한민국에 오게
최근 논란되고 있는 문제인 장기매매, 불법체류 등의 문제에 이민자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성추행, 시위, 폭행, 강간, 살인, 도둑질 등 각종 범죄행각도 대두되고 있다.
이외의 문제점들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겠다.
한국은 반만년 역사 동안 한민족이라는 단일 민족(동일한 피부, 동일한 언어)로 살아온 까닭에 다민족 국가들의 경우보다 순혈주의가 매우 강하고 또 이민족에 대해서 상당히 배타적인 속성을 갖고 있는 편이기 때문에 이민족에 대한 배척이 있다.
또한 최근 한국이 세계가 놀랄 정도로 짧은 시간에 농업국가에서 산업국가로 이행 했기 때문에 이에 따라 급속한 도시화의 진전, 가파른 임금상승 그리고 3D 직업 기피 등으로 총각 문제와 노동자 수급의 문제를 양산했다.
이에 부응하여 농촌총각들은 동남아 등지의 여성들과 국제결혼의 증가와 저임금을 마다 않는 외국인 노동자의 증가에 걸맞게 다른 민족 출신이 한국에 많이 유입하게 되었다.
이들이 한국보다 소득수준과 문화수준이 낮은 후진국들에게서 온 민족의 경우이다 보니 좀 더 차가운 시선을 받게 된 점도 있다.
예들 들어 서울서 시골로 전학 온 경우는 반대의 경우보다 차별을 덜 받고 서울 말씨가 부러움의 대상이 될 경우가 많으면 많았지 이것 때문에 시골 아이들에게서 놀림감이 되지는 않는 것과 같다. 또한 백인 우월주의 사상이 있기 때문에 백인아이들보다 동남아시아 계 이민계통이 더 차별대우를 받고 있다.
워낙 짧은 시간에 다민족 사회로 전환하다 보니 한국인들이 이에 잘 적응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 소양 교육을 받아 본 적도 없는 상태이다. 그래서 더 많은 문제가 양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한국 다문화 사회의 특징에 대해 짚고 넘어가보자.
첫째, OECD 국가와 비교해볼 때 한국 내 거주하는 외국인의 증가속도가 매우 빠르다.
안전행정부에서 나온 자료에 따르면 매년 국내 거주 외국인 주민 현황은 올해인 2014년도 1월에만 157만명이라고 한다. 지금 시점이 2015년도를 얼마 앞두지 않은 때라 외국인 거주 현황은 200만에 가까울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단순 노무직에 종사하는 이주민의 유입이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거의 대부분 동남아시아 계 외국인들로 단순히 돈을 벌기위해 대한민국에 오게
추천자료
이주노동자, 그림자에서 인간으로 - 이주노동자의 경제적 기여도와 한국의 이주노동자 정책 ...
[다문화사회와 학교교육] 다문화가족, 이젠 남이 아닌 우리로.
인간발달과 사회복지실천-다문화가정,한국사회문화변화
단군신화를 통해 본 다문화사회_단군신화,다문화사회
다문화관점(다문화주의, 문화적다원주의, 다문화사회, 다문화가정, 문화적다양성, 다문화복지...
[다문화사회복지] 결혼이민자 관련 주요 나라인 러시아에 대한 이해(자연환경, 정치, 경제, ...
[다문화사회복지] 결혼이민자 관련 주요 나라인 몽골에 대한 이해(자연환경, 정치, 경제, 사...
[다문화사회복지] 유럽의 사회통합정책(다문화정책의 공공철학이 뚜렷한 입장) - 유럽의 사회...
[도덕적딜레마와 정의로운 삶] 다문화사회로의 장려와 지원 정책들에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
[다문화사회복지] 캐나다의 다문화정책(다문화주의 모형) - 캐나다의 이민현황과 정책, 법제...
[다문화사회복지] 다문화 감수성의 특성(성장-개발형 베넷의 6단계 다문화 감수성, 인지-태도...
<지역사회간호학> 건강형평성 이해 및 문화적 다양성의 실무적용(건강개념부터~다문화사회의 ...
사회문제론 D형 한국의 다문화사회와 인종주의
다문화가정 사례다문화가정 사회문제다문화가정 갈등다문화가정 역할다문화 가정이란국제결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