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부터 자문화중심주의, 국수주의적인 시각을 버리고 좀 더 넓고 따뜻한 시선으로 이 구성원들을 바라봐 주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다문화사회에 대한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 이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더욱 많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자국의 아이들만이 우리 사회를 짊어질 미래인 것은 아니다. 다문화가정에서 자라나는 아이들도 위의 아이들과 전혀 다를 것 없는 아이들이며 똑같은 생각, 느낌, 사고를 지닌 아이들이다. 그런 이들에게 이유 없는 차별, 그릇된 시선을 준다면 이 아이들이 느끼는 것은 이 사회에 대한 환멸뿐일 것이다. 이 아이들에게 우리 사회가 참으로 정의롭고 평등하며 성공할 수 있는 기회가 언제든지 열렸다는 것을 보여주면 책임감과 사명감을 갖고 한국 사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초석이 되어줄 것이다.
추천자료
학교현장에서 다문화 교육 시행방안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학교에서 학습한 지식(지)과 사회생활상의 행동(행)과의 괴리 발생의...
(학교사회사업) 초등학교 6학년 대상 흡연예방 집단 교육프로그램
학습권이 현대 사회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관련하여 현대 사회의 특징은...
장애아 통합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학교사회복지사의 개입방안
다문화가정학생 특성, 현황, 문제점, 과제와 대책, 학교사회복지 개입 보고서
교육복지 우선지원 사업 법제화가 학교사회복지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학교사회복지에 미칠 수 있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
학습권이 현대사회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관련하여 현대사회의 특징은 ...
우리나라(한국)의 교육내용 운영관리(교육과정개발, 교육과정의 검토, 학교교육내용에 대한 ...
다문화가정학생지원 보고서(다문화교육정책, 다문화가정학생교육, 다문화가정아동교육, 내수...
다문화의 이해 및 다문화사회, 다문화 교육 A++++
현대사회의 공교육에 대한 위기가 대두되고 있는데 학교복지 부재의 현실과 무너지는 교권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