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디즈니 소개
디즈니의 사업영역
문제 제기
문제 분석
대 안
디즈니의 사업영역
문제 제기
문제 분석
대 안
본문내용
지금의 글로벌적인 디즈니 홍보전략으로는 이런 한국 관객들을 잡을 수 없으며 한국의 시장을 위한 디즈니 코리아만의 홍보 전략을 짜야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조는 3가지 대안을 제시한다.
1. 국내 유명 배우의 디즈니 애니매이션 더빙
최근 드림웍스의 쉬렉이 우리나라에 개봉되었을 때 가장 먼저 흥미를 끈 부분은 헐리우드의 스타들이 대거 쉬렉의 성우로 참여하였다는 점이었다. 마이크 마이어스, 카메론 디아즈 등이 성우로 참여한 이 영화에 사람들은 일단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쉬렉의 대성공의 발판이 되었던 것이다. 영화의 내용을 떠나서 일단 유명 배우가 참여하게 되면 일반 사람들은 그 영화에 대해서 보다 더 관심을 가지게 된다. 아무리 스토리가 좋고 재미있는 영화라도 사람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게 되면 자신들의 그런 좋은 면을 알릴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러기에 처음 관심을 끌어 줄 수 있는 이런 유명 배우의 더빙은 매우 효과적일 수가 있을 것이다. 굳이 톱스타가 아니더라도 우리가 그 목소리를 듣기만 하면 ‘아 누구의 목소리구나’라고 금새 생각날 수 있는 그런 사람정도라도 괜찮을 것이다. 최근에 방송쪽으로 잘 모습을 비치지 않지만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진 배우라면 더욱 좋을 것이다.
2. 디즈니 존의 설립
디즈니에는 엄청난 수의 캐릭터가 있다. 그러나 이런 캐릭터들을 최소한 우리나라에서는 잘 홍보되고 있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특히 아이들 사이에서는 위의 설문지에서 나타나듯이 일본 캐릭터에게 밀려 선호도가 점점 떨어지고 있다. 아이들은 미래의 주 고객이 될 터인데 이런 어린이들을 일본 캐릭터에게 계속해서 뺏겨 버리게 되면 디즈니의 앞날은 없는 것이나 다름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문제점들을 당장에 TV나 영화에서 만회할 수 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일본 캐릭터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그만큼 크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디즈니존의 설립을 건의한다. 디즈니존이란 것은 디즈니랜드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다. 디즈니랜드를 한국에 설립한다는 것은 비용도 비용이지만 이미 놀이동산이 많이 들어서 있는 이 시점에서 얼마나 성공할 수 있을지 장담할 수도 없는 것이다. 그러기에 서울랜드와 같이 놀이 동산이 구역별로 나뉘어 있는 곳에서 그 구역중 하나를 빌려 디즈니 존으로 만드는 것이다. 그 구역내의 모든 놀이 시설들은 디즈니 랜드에 있는 것과 같이 디즈니 캐릭터를 이용하여 만든 것들 중 인기있는 것들을 설치하고 그 안에 디즈니 전용
여기에서 우리조는 3가지 대안을 제시한다.
1. 국내 유명 배우의 디즈니 애니매이션 더빙
최근 드림웍스의 쉬렉이 우리나라에 개봉되었을 때 가장 먼저 흥미를 끈 부분은 헐리우드의 스타들이 대거 쉬렉의 성우로 참여하였다는 점이었다. 마이크 마이어스, 카메론 디아즈 등이 성우로 참여한 이 영화에 사람들은 일단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쉬렉의 대성공의 발판이 되었던 것이다. 영화의 내용을 떠나서 일단 유명 배우가 참여하게 되면 일반 사람들은 그 영화에 대해서 보다 더 관심을 가지게 된다. 아무리 스토리가 좋고 재미있는 영화라도 사람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게 되면 자신들의 그런 좋은 면을 알릴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러기에 처음 관심을 끌어 줄 수 있는 이런 유명 배우의 더빙은 매우 효과적일 수가 있을 것이다. 굳이 톱스타가 아니더라도 우리가 그 목소리를 듣기만 하면 ‘아 누구의 목소리구나’라고 금새 생각날 수 있는 그런 사람정도라도 괜찮을 것이다. 최근에 방송쪽으로 잘 모습을 비치지 않지만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진 배우라면 더욱 좋을 것이다.
2. 디즈니 존의 설립
디즈니에는 엄청난 수의 캐릭터가 있다. 그러나 이런 캐릭터들을 최소한 우리나라에서는 잘 홍보되고 있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특히 아이들 사이에서는 위의 설문지에서 나타나듯이 일본 캐릭터에게 밀려 선호도가 점점 떨어지고 있다. 아이들은 미래의 주 고객이 될 터인데 이런 어린이들을 일본 캐릭터에게 계속해서 뺏겨 버리게 되면 디즈니의 앞날은 없는 것이나 다름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문제점들을 당장에 TV나 영화에서 만회할 수 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일본 캐릭터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그만큼 크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디즈니존의 설립을 건의한다. 디즈니존이란 것은 디즈니랜드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다. 디즈니랜드를 한국에 설립한다는 것은 비용도 비용이지만 이미 놀이동산이 많이 들어서 있는 이 시점에서 얼마나 성공할 수 있을지 장담할 수도 없는 것이다. 그러기에 서울랜드와 같이 놀이 동산이 구역별로 나뉘어 있는 곳에서 그 구역중 하나를 빌려 디즈니 존으로 만드는 것이다. 그 구역내의 모든 놀이 시설들은 디즈니 랜드에 있는 것과 같이 디즈니 캐릭터를 이용하여 만든 것들 중 인기있는 것들을 설치하고 그 안에 디즈니 전용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주택시장의 구조와 특성 및 변화요인
한국금융시장의 문제점과 대책 그리고 향후 전망
스타벅스의 한국시장 진입전략과 성공
한국자동차시장, 도난차량
Nokia의 한국시장 실패 분석 영문 ppt
월마트한국시장실패
노키아의 한국시장 실패사례와 성공방안
노키아의 한국시장 실패와 새로운 마케팅 전략
한국시장진출사례,구글마케팅성공사례,노키아실패사례,글로벌마케팅,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
아디다스 마케팅전략/서론/ 스포츠 시장환경분석/자사분석/아디다스 한국시장진출/아디다스 ...
[양키캔들]Yankee Candle 프리미엄 향초시장 1위 미국 양키캔들의 성장과 한국시장 발표 PPT
모스버거(MOS BURGER)의 한국 매장 확장 전략 - mosburger 모스버거 기업분석과 모스버거 한...
에이본(Avon) 한국진출 마케팅전략과 글로벌마케팅 마케팅전략분석 및 에이본 기업분석과 SWO...
BMW의 한국시장 진출 성공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