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어의 창조적 계승] 현재 우리말의 실태와 우리말 바로잡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족어의 창조적 계승] 현재 우리말의 실태와 우리말 바로잡기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주제선정동기, 우리말을 올바르게 사용해야 하는 이유

2. 본론 - 현재우리말의 실태 및 해결방안


3. 결론 - 우리말 순화의 해결방안 및 느낀점

본문내용

본론 - 현재우리말의 실태 및 해결방안
3. 결론 - 우리말 순화의 해결방안 및 느낀점
1. 서론
- 주제선정동기
우리는 이번학기 우리말과 글이라는 과목을 수강하게 되면서 발표수업을 준비하게 되었다. 발표주제를 고르던 중 Ⅹ.민족어의 창조적 계승이라는 단원을 보고 수강하는 과목과 가장 어울린다고 생각하여 이번 발표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그리고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우리말의 사용법이 많이 변화되고 있는 현실이다.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사람들이 맞춤법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많은 은어와 비속어들이 등장하게 되면서 세대 간의 대화와 언어소통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우리말에 대한 중요성과 아름다움이 잊어져 가고 있기 때문에 이런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우리의 언어를 제대로 사용하고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이해하기 위해서 이번 발표주제로 Ⅹ.민족어의 창조적 계승을 선정하게 되었다.
- 우리말을 올바르게 사용하여야 하는 이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모든 게 변하듯 언어 역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역사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아무리 아름다운 우리말이라 해도 현대 사회에 맞게 창조적으로 계승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오래된 것이 좋다 하여 옛 것만 고집하는 것은 좋지 못한 태도이다. 많은 것들이 세월의 흐름에 맞게 변하고, 언어 역시 그러하다. 끊임없이 새로운 언어가 생기고 사용하지 않는 언어는 사라지게 마련이다.
옛 우리말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현대 사회에 맞게 고쳐서 사용하는 것이 우리가 우리말을 지키고, 창조적으로 계승하는 방법이다.
2. 본론
- 현재 우리말의 실태와 그에따른 해결방안
현재 우리나라는 세계 두 번째로 인터넷 보급량이 많은 나라이고, 한 가정 당 컴퓨터 보유량이 제일 많은 나라라고 한다. 컴퓨터 사용과 인터넷 보급으로 인하여 인터넷상에는 규모가 큰 하나의 사회가 형성되었다.
그에따라 인터넷 사회의 시민. 일명 네티즌들은 인터넷상에서 자신들 만의 언어를 만들어 그 언어로 대화를 한다. 쉽게 말해인터넷 상의언어를 통신언어라고 한다.
통신언어는 크게 세가지의 특징이 있다. 첫 번째로 표정과 동작이 담기지 않은것. 두 번째로 음성이 담기지 않은것. 세 번째는 신속성이 필요하다는 것 이다.
통신언어에는 표정과 동작이 담기지 않기 때문에 이런 특징을 보완하기 위해 시작적인 표현으로 이모티콘이나 의태어를 사용하게 된다.( 예를들어 방가방가, 헐 등)
그리고 음성이 담기지 않기 때문에 개인적인 발음 습관을 그대로 쓰거나 음운을 변동시키게 된다. (예를들어 마즐래? 알게써)
또한 세 번째 특징으로 신속성 필요하기 때문에 준말을 쓰거나 (일욜,겜방 등) 띄어쓰기를 무시하며 은어(잠수, 초딩)를 사용하게 된다.
최근에 귀여니라는 한 인터넷소설가가 출판한 책을 보면 통신언어의 심각성을 알수있다.
<귀여니소설-늑대의 유혹 中>
\"아, 사귄다구. ^ㅇ^그래, ^^ 그렇구나. ^ㅇ^ 응. ^-^ 잘 어울린다! ^ㅇ^\"
\".........한경아........\"
\"응. ^ㅇ^ 응. ^ㅇ^ 넘 어울려! 선남선녀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9.09
  • 저작시기201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09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